View : 1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기정수-
dc.creator기정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4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48-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에서 영화는 영상커뮤니케이션 시대를 주도하는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동시에 그 문화적 특성과 산업/경제적 특성으로 인하여 영향력을 더해가고 있다.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사회 문화적 성격을 지닌 영화는 흥행이라는 경제적 변수와 맞물려 사회라는 콘텍스트안에서 공급자인 제작자와 수용자인 관객이 상호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변화되어왔다. 1990년대 한국의 영화도 사회전반에 걸친 변화와 함께 형식적/내용적 변화를 거듭했다. 특히 여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는 여성영화의 등장과 그에 따른 비평은 90년대 여성영화와 비평의 한계와 이후 한국의 여성영화와 비평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90년대 한국의 여성영화 비평을 분석함으로써 여성영화를 평가하는 비평의 시각과 비평에서 어떠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는가등 90년대 한국의 여성영화비평의 경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 진정한 의미에서의 여성영화와 페미니즘비평을 지향하며 90년대 한국의 여성영화비평에서 페미니즘시각이 어떠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첫째, 1990년대 한국의 여성영화 비평의 특성과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7편의 각 영화별로 비평을 분석한다. 각 영화별 비평이 다루고 있는 주된 분석대상은 무엇이고 각 영화별 비평의 서술논리와 비평태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이다. 둘째, 각 영화별 비평분석을 토대로 1990년대 한국의 여성영화비평의 특성과 경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90년대 한국여성영화 비평에서 페미니즘에 근거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 이다. 이와같은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1990년부터 1995년까지 개봉된 영화중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7편의 영화를 선정, 종합일간지 시사주간지 월간지 학회지 평론집 등에서 각 영화에 해당하는 비평을 표집, 56개의 비평을 분석대상으로 양적/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영화별 비평을 양적/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990년대 한국의 여성영화 비평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비평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대상은 텍스트가 단연 우세했으며 대부분의 비평에서 텍스트 비평과 콘텍스트 비평이 혼용되고 있었다. 둘째, 비평대상을 분석하는데 적용된 비평의 근거는 인상비평이 여전히 우세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영화에 대한 비평가들의 평가는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평의 대안제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다섯째, 비평의 구조는 비평대상에 대한 정보제공 차원의 기술적 진술에서 분석/해석적 진술과 평가적 진술로 이향하고 있었다. 한편, 1990년대 한국여성영화비평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페미니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비평에서 선정된 7편의 영화가 지니는 여성영화로서의 가치와 의미부여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었다. 여성영화비평의 기준으로 유용되는 페미니즘 이론이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적용된 비평은 수적으로 많지 않았으나 간접적이나마 페미니즘을 비평의 잣대로 사용, 영화의 분석/해석과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비평에서 페미니즘 시각이 드러나는 논의를 분류해보면 첫째,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한국사회에서 억압받는 여성의 문제를 영화의 소재/주제화한 것에 대한 평가다. 둘째, 영화가 여성문제를 다루는 방법은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에서 페미니즘 시각이 드러난다. 주로 페미니즘시각이 보여지는 분석의 대상은 영화를 이끌어가는 등장인물 묘사와 내러티브 그리고 장면, 대사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등장인물에 대한 분석은 여자주인공과 남자주인공의 극단적인 이분법적 관계 설정에 대한 논의가 가장 많았고 내러티브, 대사, 장면 분석등을 통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서 탈피하고 있는가 아니면 더욱 심화시키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같은 페미니즘 논의를 종합해보면 90년대 한국여성영화는 상업영화권내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갖는 제약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의 여성 영화라고 보기에는 그 한계가 분명히 드러났다. 그러나 이전의 영화와는 차별되는 소재/주제를 영화에 등장시키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새로운 이미지의 여주인공 설정, 그리고 한국의 여성문제에 대한 문제의식 제기라는 측면에서 한국의 여성영화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1990년대 한국의 여성영화비평의 모습은 페미니즘을 영화비평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틀로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문성 부재로 인한 이론적 분석틀과 대안의 부재는 페미니즘 비평의 한계점으로 남아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oks of criticism of the Korean feminist film in 1990s which have become the subject of controversy. Those films appeared as one of the outstanding features with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in 1990s. On the premise that the film is worthy of text itself and also mirror of the times in the context,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what is the viewpoint of criticism, in what ways it issues, looks out and suggests an alternative about Korean feminist film which came out as a reflection of the social change in Korea. For the examination of these cases, 7 films among films that were released between 1990 and 1995 which were compatibl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chosen. The 56 criticism on these films were selected from daily newspaper, weekly/monthly magazines and academic papers. To scrutinize these data content analysis is used. The following are the main questions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1) to analyze the criticism on 7 fil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 and trend of Korean feminist criticism in 1990s. It's an inquiry about what the main object of criticism is and what the logic of description and the manner of criticism, 2)to scrutinize synthetically the feature and the trend on the Korean feminist criticism in 1990s based on criticism analysis of that film and 3)to investigate whether the academic discussion based on feminism is being made in Korean film criticism in 1990s. Followings are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feminist criticism of Korean feminist films in 1990s. 1)the major concern on which criticism focused was the text overwhelmingly and in most criticism, both text criticism and context criticism were used together, 2)the basis used to analyze the critical subject was mostly impressionistic method, 3)the critics generally evaluated the films positively, 4)there were few alternative suggestions and 5)in terms of t h e structure of criticism, descriptive statements on the critical subject were shifting to interpretative and evaluative statements. Then, discussions on Korean feminist films in 1990s were summarized in following. First of all, the worth and meaning as a feminist films that the selected 7 movies have had were discussed actively in the 56 criticisms. The number of criticisms which referred to feminism theory systematically was less but it is obvious that critics used feminist perspectives as the standard of criticism indirectly. The discussion disclosing feminism viewpoint is classified as followings 1)statements on women's problem under the suppressing circumstances of patriarchal ideology dominated in Korean society, 2)feminism is showed from analysis in what way films dealt with women things. The main subject of analysis are description of characters, narrative, scene and dialogue. For description of characters, most of criticism were concerned with the extreme divis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statements were made whether it secede from patriarchal ideology or vice versa through narrative, scene, and dialogue analyses. In Summary,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n Korean feminist films in 1990s, there were limitation as a 'true' feminist film, because they were made in commercial production system. But new trends such as brand-new themes, heroins who are considered to be fresh and increasing proposal of woman's issue in Korea are rising the positive prospects on the Korean movies in recent days. In conclusion, the looks of the Korean feminist films in 1990s have shown that there are lots of efforts to fix the feminist criticism as the standard of theory. But due to the lack of specialty the absence of analytic structure and alternative suggestion leaves limi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중요성 = 1 B. 연구문제 = 7 Ⅱ. 관련문헌연구 = 9 A. 영화의 특성과 기능 = 9 B. 비평이론의 전개 = 11 1. 비평의 개념과 유형 = 11 2. 비평의 역할 = 12 C. 페미니즘 영화비평이론의 전개 = 13 1. 영화비평의 개념과 유형 = 13 2. 페미니즘 영화비평의 전개 = 16 1) 페미니즘의 태동 = 16 2) 페미니즘 영화비평의 전개 = 18 3) 한국영화비평의 전개 = 27 Ⅲ. 연구방법 = 33 A. 여성영화의 정의 = 33 B. 분석대상 = 34 C. 분석방법 = 3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0 A. 한국의 여성영화 비평의 분석 = 40 B. 한국의 여성영화비평의 종합분석 및 논의 = 97 Ⅴ. 결론 및 제언 = 104 A.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104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107 참고문헌 = 109 부록 = 112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96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c.subject한국여성-
dc.subject여성영화-
dc.subject1990년대-
dc.subject언론정보-
dc.title1990년대 한국 여성영화 비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1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보과학대학원 언론정보학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