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수교육 교수 접근법에 따른 효과 연구

Title
수교육 교수 접근법에 따른 효과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Number Education Approach Method's Effects
Authors
김미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수교육교수접근법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수교육 교수 접근법에 있어 과정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부분-전체 도식의 이해에 중점을 둔 교수법과 결과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세기-쓰기 기술에 중점을 둔 교수법이 유아의 수개념, 수학문제 해결력, 그리고 자리값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증해 봄으로써 유아 수학교육의 교수방법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교육 접근법에 있어 과정중심 접근법을 강조한 집단과 결과중심 접근법을 강조한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 간에 유아의 수개념이 차이를 보일 것인가? 2. 수교육 접근법에 있어 과정중심 접근법을 강조한 집단과 결과중심 접근법을 강조한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 간에 유아의 수학문제 해결력이 차이를 보일 것인가? 3. 수교육 접근법에 있어 과정중심 접근법을 강조한 집단과 결과중심 접근법을 강조한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 간에 유아의 자리값 이해력이 차이를 보일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S유치원의 5세반 4학급에서 각 20명씩 총 80명을 표집하여 사전검사시 수개념, 이야기형 문제, 자리값 이해에 관련된 과제를 실시하여 각 과제에서 만점을 받은 유아를 제외한 총 6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이들 60명의 유아에게 네 과제의 점수를 합하여 1등부터 60등까지 번호를 붙인 다음, 과정중심 강조 집단, 결과중심 강조 집단, 통제집단 3개 집단에 20명씩 무선배치 되었다. 연구기간은 4주로써, 과정중심 강조 집단과 결과중심 강조 집단 두 집단에게 매일 1활동씩 20가지 활동을 실시하였다. 과정중심 접근법을 실시한 집단에게는 수의 부분-전체 도식을 강조하였으며, 결과중심 접근법을 실시한 집단에게는 수의 세기-쓰기 기술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수개념 검사, 수학문제 해결과제, 그리고 자리값 이해력 측정도구가 사용되었으며, 각 도구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사용되었다. 수개념 검사도구는 Fischer(1988)가 제작하여 조은영(1993)이 연구를 위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학문제 해결과제는 Carpenter & Moser (1984), 그리고 Riley 등(1983)이 분류한 유형을 토대로, 여러 사전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과제를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고안하였으며, 자리값 이해 검사도구는 Fischer(1988)가 제작한 검사도구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공변량분석(ANCOVA)과 사후비교를 위한 Student-Newman-Keuls(SNK) test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정중심 접근법을 실시한 집단의 유아의 수개념은 향상되었다. 즉, 과정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부분-전체 도식에 중점을 둔 집단이 결과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세기-쓰기 기술에 중점을 둔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 유아의 수개념이 더 향상되었다. 2. 과정중심 접근법을 실시한 집단의 유아의 수학문제 해결력은 향상되었다. 즉, 과정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부분-전체 도식에 중점을 둔 집단이 결과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세기-쓰기 기술에 중점을 둔 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유아의 수학문제 해결력이 더 향상되었다. 3. 과정중심 접근법을 실시한 집단의 유아의 자리값 이해력은 향상되었다. 즉, 과정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부분-전체 도식에 중점을 둔 집단이 결과중심 접근법을 강조하여 수의 세기-쓰기 기술에 중점을 둔 집단과 통제 집단 보다 유아의 자리값 이해력이 더 향상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process-approach method that emphasize part-who1 schema of cardinal number and conclusion-approach method that emphasize counting-writing skill in number education method on young children's number concept, mathemat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lace value understanding ability.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 impro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number concep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and the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of number education and control group ? 2. Is the impro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mathmatic problem solving ability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and the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of number education and control group ? 3. Is the impro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place value understanding ability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and the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of number education and control group ? For this study, 80 children of 5 years old in 4 classes from S kindergarden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The children were tested at number concept, mathematic problem-solving ability, and place value understanding ability test, and then except the children who were received the highest score at each test, 60 children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children were assigined to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and the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and control group randomly. Each group was consist of 20 children. Each approach method of number education was designed that reflected constructive program and behaviorism program. Each activitie was performed every day in two groups that are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and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The experimental period was 4 weeks. The part-whole schema of carninal number was emphasized in the process-approach group and the counting-writing skill of number was emphasized in the conclusion-approach group. The instrument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were number concept test, mathematic problem-solving test, and place value understanding test. The mathematic problem-solving test was story problem. Each instrument was used for pre-test and post test. The number concept instrument were created by Fischer(l988) and Cho(1993) translated and used for her study. Based on Carpenter & Moser(1984), and Riley(1983)'s model, mathematic problem-solving test instrument was designed for this study. Place value understanding instrument were created by Fischer(l988) and I translated and modified.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and Student Newman-Keuls procedure was used in post-hoc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ocess-approach method of number education improved chilren's number concept. That is,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that emphasized the part-whole schema of cardinal number was improved than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that emphasized the counting-writing skill and control group in number concept test. 2. Process-approach method of number education improved chilren's mathematic problem- solving ability. That is,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that emphasized the part-whole schema of cardinal number was improved than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that emphasized the counting-writing skill and control group in mathematic problem-solving ability test. 3. Process-approach method of number education improved chilren's place value understanding ability. That is, process-approach emphasis group that emphasized the part-whole schema of cardinal number was improved than conclusion-approach emphasis group that emphasized the counting-writing skill and control group in place value understanding ability t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