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현-
dc.creator이승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3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4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372-
dc.description.abstract복식(服飾) 디자인은 기능적, 구조적, 장식적인 것의 세 가지 특성을 모두 포함한다. 의복이 고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측면에서 성공해야 하고 다른 측면들과도 상호 작용을 해야 한다. 오늘날 복식은 위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나가서 개성적인 자아를 표현하는 기능까지 갖춰야 한다. 점점 세계화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국제 감각에 부응하기 위해 복식에서의 독창성은 더욱더 요구되는데 이에 부응하고자 예술 창조에 있어서 새로운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대미술의 경우 작품이 평면에서 입체로 발전하였는데 그 다음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이 키네틱 아트(Kinetic Art)와 같은 움직임이 있는 미술이다. 움직임이 있는 미술은 복식에서도 나타나는데 복식에서의 움직임은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는 발전의 가능성이 더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복식의 독창성과 국제 감각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전통의 올바른 인식과 연구가 기본 바탕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이에 우리 민족의 정서와 미의식이 반영된 떨잠을 의상에 접목시킴으로써 그 정신적 바탕의 상징성을 규명하려는 것과 동시에 우리의 미의식의 새로운 인식을 통하여 현대 예술과의 연결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후기 여자수식품(女子修飾品) 중에서 떨림이 나타나는 떨잠을 모티브(motif)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떨잠의 조형적인 특성을 나타내어 현대 의상에 접목시켜 연구함으로서 고부가가치 의상 창출, 표현 영역의 확대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불 규정적인 떨림으로 인해 나타나는 시각적인 현상과 시간적인 현상을 국내·국외 디자이너로 구분하여 연구,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조선시대 후기 여자수식품 중 떨림이 나타나는 떨잠, 비녀, 뒤꽂이의 형태, 문양, 색채, 재료 및 기법을 중심으로 문헌 자료와 실물을 토대로 연구, 분류하였다. 둘째, 시각적·시간적인 현상이 나타나는 사례를 색채, 빛, 움직임(속도), 공간감으로 분류하여 복식에 나타난 사례를 현대 패션으로 전개시킨 국내·국외 디자이너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떨잠의 조형적 특성을 재구성하고, 모피에 인장스텐스프링과 비즈(beads)를 사용함으로써 이질적인 소재를 제시하였으며 비딩 기법으로 아트 패브릭(art fabric)개발을 시도하였으며 총 8점의 떨림이 나타나는 복식을 디자인하였고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떨잠은 장식비녀가 커진 것으로 다른 수식품에 비하여 장식적인 목적이 크므로 사용자의 신분에 따른 제약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고가의 재료를 많이 사용하여 제작하였는데 이는 비딩(beading)기법을 이용한 아트 패브릭에 풍부한 자료가 되었다. 둘째, 떨새의 방향은 대체로 위로 향하고 있고 가는 용수철로 연결되어 있어 움직임에 민감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파르르 떨린다. 떨새의 떨림을 이용한 복식은 불 규정적인 움직임으로 인하여 환영적(Illusion)인 '색채' 나 '빛'이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시각적인 현상이 나타났으며 실제적인 움직임 외에도 착시 현상이 나타나 시각의 극대화를 이룸을 작품 제작 결과 알 수 있었다. 셋째, 떨림 운동으로 주변 공간이 자연히 형성되었으며 공간감 형성에 따른 미세한 소리와 속도로 인하여 시간적인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네째, 주재료로 사용된 모피에 비즈로 표현한 복식은 새로운 소재 표현이었으며 조선시대 후기 떨잠 모티브의 사용은 전통 복식에서 출발하여 현대적이고 나아가 미래 지향적이며 국제사회에서도 차별화 되는 복식이 되기에 적절하였다. 이와 같이 떨림이 있는 복식은 고정되어 있던 기존의 형태에서 탈피하여 떨림 현상이 나타나는 흔들림의 미학이 있는 복식을 형성하였다. 또한, 한국의 미의식이 반영된 복식의 개발로 국제사회에 미래주의 예술의 조형적 특성을 제시하여 복식 표현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The three characteristics found in fashion are functional, structural and aesthetical. For fashion to achieve its uniqueness, it should succeed all standards in different aspects and also blend in among the different aspects. Today, fashion not only fulfills the above but also serves as an expression of ones individuality. Due to the emergence of globalization, originality in fashion has become ever more demanding and introduction of new concepts a necessity for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has started from drawings, than sculptures and later into motions that is also known as kinetic art. Motions are also found in fashion and it too has its own uniqueness and potential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transformed by expressing the infinite movements of the human body. Therefore, to better understand the originality of fashion and for universal recognition, a correct understanding and study of its tradition is deemed necessary. As such, this study will use fluttering ornaments, ttoljam, from women's hair ornaments of the latter Chosun Dynasty as a motif to express the movements and unique feature of ttoljam in its application to modern day fashion. The asymmetrical fluttering movements have been reviewed and compared with an emphasis on visual and time phenomenon by categorizing the local and international designer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t shapes, drawings, colors, materials, and functions of fluttering womens hair ornaments of the latter Chosun Dynasty, (i.e. ttoljam, pinyo, twiggoji) have been studied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and actual items. Second, selection of fluttering art-to-wear, with an emphasis on the visual time phenomenon, categorized by color, light, movement and space, have been studied based on its application in modern day fashion design by local and international designers. To further demonstrate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ir applications in fashion, spring and beads have been used on fur to introduce a revolutionary concept and introduce a new material. A total of 8 items with fluttering ornaments have been designed and prepar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or and light reflections of the fluttering ornaments on fashion resulted in a visual phenomenon that in addition to the actual movements caused an optical illusion that made it more pleasurable to the viewer and thus adding more familiarity to fashion. Second, fluttering movements naturally mad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ller and this caused speed that in turn produced time phenomenon. Third, the unique combination of fur and beads was a new concept that embodied around from the traditional ttoljam of the latter Chosun Dynasty and adequately introduced a new modernistic and futuristic fashion that has also differentiated itself internationally. In conclusion, the use of fluttering ornaments produced asymmetrical fluttering movements in fashion that has differentiated itself from the traditional fixed fash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futuristic artistic ornaments on fashion has opened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fashion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ⅹⅰ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1 Ⅱ. 조선후기 떨잠의 이론적 배경 = 3 1. 떨잠의 정의 = 4 2. 떨잠의 유형 및 특성 = 6 2.1 유형 = 6 2.2 소재와 기법 = 8 2.3 조형적 특성 = 11 Ⅲ. 떨림과 현대 패션디자인 = 21 1. 떨림의 정의와 특성 = 21 2. 떨림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분석 = 25 Ⅳ. 작품 제작 = 37 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 37 2. 작품 및 해설 = 41 Ⅵ. 결론 및 제언 = 92 참고문헌 = 94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604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조선후기-
dc.subject떨잠-
dc.subject복식디자인-
dc.subject복식사-
dc.title조선후기 떨잠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uttering ornaments in fashion design with an emphasis on the Chosun Dynasty-
dc.format.pagex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