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侑景-
dc.creator李侑景-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5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5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548-
dc.description.abstract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세계 각국은 교육과정 개혁을 포함한 교육 개혁에 대해 국가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음악 교육과 정도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일례로 1989년 개정된 일본의 교육 과정과 1992년 개정된 우리나라의 교육 과정은 개성적, 창조적, 주체적인 학습이 행해지도록 한 점에서 과거의 교육 과정에 비해 혁신적이라 할 수 있다. 음악과 역시 이러한 교육 과정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수정·보완 개정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된 중학교 음악 교과서가 교육 과정의 내용이 충실히 담긴 교육자료로서의 역할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일 양국의 교육 과정의 변천과 음악교과의 목표 그리고 가창, 감상, 기악, 창작의 4개 학습영역별 전체 비율과 영역별 문제점을 비교·분석하여 교육 자료로서의 내용과 교육방향을 알고, 포괄적이고 심미적인 음악 교육을 지향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창에 있어서는 우리 나라가 서양 음악 제재곡에 편중설을 보인 반면 일본은 자국 중심의 가창 제재곡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양국 모두 자국의 전통 음악인 민요를 소홀히 다루고 있다. 2. 감상에 있어서는 양국 모두 자국 중심음악 보다는 서양 음악제재가 많이 사용되어 서구 문화의 편향성을 보일 뿐만아니라 시대 양식에 있어서도 국한성을 보이고 있다. 3. 기악에 있어서는 양국 모두 중주와 합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사용된 악기로는 리코더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이 리코더에 치중한 반면 우리 나라는 자국의 악기인 단소와 리코더를 동시 병행 학습을 하였다. 4. 창작에 있어서는 우리 나라가 체계적인 학습내용으로 구성된 반면 일본을 광범위한 창작 제재의 제시로 창작 학습의 체계성의 결여를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양국의 중학교 교과서가 개정된 교육 과정에의 구조를 충실히 이행하려고 애썼으나 그 방향에 있어서는 아직까지도 서구지향적이다. 따라서 향후 우리 나라의 교과서를 개발할때는 4개 학습영역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가창에 있어서는 서양 음악 중심의 가창곡보다는 자국 중심의 음악으로 구성 되어야 한다. 둘째, 감상에 있어서는 시대 양식과 음악 양식의 국한성 없이 모든 시대, 모든 음악 양식, 문화가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기악에 있어서는 다양한 형태의 악곡과 악기의 선정으로 음악에서의 협동미를 강조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기악 학습이 되도록 기악 교재를 따로 분리하여 교재로 삼아야 한다. 넷째, 창작에 있어서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에서 점차 확대해 학생 스스로 음악을 체험하고, 음악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포괄적인 음악 교육이 되도록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음악사조인 근대와 현대의 다양한 음악 경향을 신속하게 받아들이고 전통 음악에 대한 연구와 노력에 힘써야 할 것이다.;Coming into the 1980s, the major countries have shown strong interest in education reform including curriculum. Both Korean and Japanese curriculum were reformed in 1992 and 1989 respectively to enable individual, creative and independent learning to occur. Music curriculum as a part of school curriculum was revised to meet the needs of epocal change.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may be estimated innovative in that it is oriented toward music itself.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investigate how well junior-high school music textbook played the role of educational materials of junior-high school music curriculum. In this end, the questions developed were to review the curriculum change in Korea and Japan and to compare the ratio and problems in such areas of singing, appreciation, instrument and composition. Ultimately this study focused on presenting the desirable contents and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The findings by area are as follows; 1. Singing : Korean textbook is more biased toward western music materials than Japanese textbook. In other words Japan uses more vernacular music materials in junior-high school music textbook than Korea. Both countries, however, tend to neglect their folk music. Therefore both countries should make efforts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creatively. There remains how to express traditional music and select singing music materials on a creative basis. 2. Appreciation : Both countries prefer western music materials, showing the western culture-biasedness. In addition, it is concentrated on a particular era, showing biasedness in era of selected music. 3. Instrument : Both countries tend to give considerable weight to duet and ensemble. Recorder is preferred. While Japan attaches importance to recorder, Korea mainly uses both recorder and Danso,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It may be interpreted that Korea provides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suitable with her emotion. 4. Composition : Korea provides a systematic composition learning while Japan presents a wide range of composition materials. So it can be judged that Japanese textbook shows its lack of systematic composition learning.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indicate that in structure both countries made efforts to comply with the curriculum introduced newly, but in direction both countries are oriented toward western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ollowing recommendations in writing a junior-high school music textbook. First, regarding as singing, it should be composed of vernacular music rather than western music. Second, in appreciatio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lude all kinds of music beyond the limits in era and style of music. Third, it is recommendable to place more emphasis on cooperativeness in music by including a diversity of instrumental pieces and instruments. In order to provide a systematic instrumental learning it is urged to introduce a separate textbook of instrumental music. Fourth, in composi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and meaning of music and experience music for themselves on a step-by-step basis. Lastly,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ntroduce a new trend of music rapidly in parallel with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raditional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1. 대상 교과서의 수집 = 2 2. 분석 = 3 3. 연구의 제한점 = 5 Ⅱ. 한국과 일본의 음악과 교육 과정의 변천 = 6 A. 한국의 음악과 교육 과정의 변천 = 6 1. 한국의 음악과 교육 과정의 발달 (1차~6차) = 7 2. 목표 내용의 변천 = 8 3. 내용 영역 체제의 변화 = 11 4. 교과서의 개편 = 13 B. 일본의 음악과 교육 개혁의 변천 = 15 1. 일본의 교육개혁 = 15 가. 일본 교육개혁의 방향 = 15 나. 교육 과정 개혁의 방향 = 16 2. 교육 과정의 개정 = 17 가. 교육 과정 개정주기 = 17 나. 일본의 교과서 정책 = 19 Ⅲ.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음악과 교육목표 = 20 A. 한국의 중학교 음악과의 목표 = 20 1. 교과목표 = 20 2. 학년별 내용 체계 = 21 B. 일본의 중학교 음악과의 목표 = 29 1. 중학교 음악과의 개선사항 = 29 2. 개선내용 = 30 가. 목표 개정 내용 = 30 나. 제6차 개정 내용 = 30 3. 교과목표 및 학년 목표 = 31 가. 교과목표 = 31 나. 학년별 교과 목표 = 31 4. 일본의 학년별 내용 체계 = 32 Ⅳ.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37 A. 한국의 음악 교과서 분석 = 37 1. 가창영역 = 38 2. 감상영역 = 45 3. 기악영역 = 51 4. 창작영역 = 54 B. 일본의 음악 교과서 분석 = 56 1. 가창영역 = 58 2. 감상영획 = 61 3. 기악영역 = 65 4. 창작영역 = 67 Ⅴ. 한국과 일본의 음악교과서의 비교·분석 = 69 Ⅵ. 결론 = 82 참고문헌 = 86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57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일본-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음악교과서-
dc.title韓國과 日本의 中學校 音樂敎科書 內容 比較·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ce of junior-high school music curriculum between Japan and Korea-
dc.format.pageiv, 9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