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명숙-
dc.creator장명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3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43-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 다양한 사회문제들은 과학 및 기술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사회문제에 대해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사회 (Science-Technology-Society, STS)간의 상호관계와 작용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대에는 모든 이를 위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중요시한 STS 교육이 크게 강조되고 있고 많은 나라에서 다양한 STS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제 5차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STS 정신을 포함하고 있었고 제 6차 교육과정에서는 STS 내용이 포함된 「공통과학」을 고등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공통과학」은 여러 목표 중에서 STS적인 교육목표를 가지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과학 교육 현장에 STS 교육을 도입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통과학」 교과서 중 생물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STS 교육 내용의 반영정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6종의 「공통과학」 교과서 생물 관련 단원의 STS 교육 내용의 반영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종의 「공통과학」 교과서 내 생물 관련 단원을 분석한 결과 STS 교육 내용은 18.2%에서 34.7%정도(평균 24.4%)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환경' 및 '현대 과학 기술' 단원까지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이고 '생명' 단원만을 분석한 결과는 3.3%에서 16.2%까지(평균 7.9%)를 나타낸다. 내용의 전개면에 있어서 제 6차 과학 교육 과정 목표가 STS 교육 내용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단원 제목, 물음, 연구, 읽을거리, 참고 등에 STS 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나 본문 전개에 있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2. 각 교과서의 단원별 STS 내용의 반영 비율은 생명과학(88.9%), 생물농축(87.2%), 자정작용(24,1%), 영양과 건강(14.0%), 생식(11.6%), 생물 에너지(6.3%), 자극과 반응(5.3%), 유전(1.5%)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 현대과학기술 단원에 STS 내용이 집중되어 있다. 3. 주제 영역별 STS 교육 내용의 반영 비율은 인간공학(34.8%), 기술 발달의 영향(27.5%), 환경문제와 천연자원(24.1%), 과학의 사회학(8.9%), 에너지(3.0%), 인구(1.8%), 우주개발과 국방(0.0%)순이다. 4. 주제 영역별 STS 교육 내용을 단원별로 분석한 결과 '에너지' 주제는 생물에너지 단원에서만 다루어졌고 '인구' 주제는 생식 단원에서, '인간공학' 주제는 영양과 건강, 생식, 유전, 생명과학 단원에서, '환경문제와 천연자원' 주제는 자정작용과 생물농축 단원에서, '과학의 사회학' 주제는 생명과학 단원에서, '기술 발달의 영향' 주제는 영양과 건강, 자극과 반응, 생물농축 단원에서 다루어졌다. '우주개발과 국방'주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5. STS 교육내용의 활동 영역별 분석에서는 구조화된 토론, 자료해석, 조사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현장활동, 역할놀이, 모의실험 등의 활동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Science - Technology - Society(STS) has been concerned with a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s a new direction and goal for science education. The goal of STS education is to develop individuals who understand how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terrelate and who are able to use this knowledge in everyday decision making. In Korea, STS was introduced in the Fifth curriculum and was more emphasized in the Sixth revised curriculum.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iology chapters of six General science high school textbooks according to STS materials in chap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biology chapters of six General scince textbooks, average 24.4% of the total page space was devoted to the STS materials. 2. The STS materials were included 88.9% in the chapter of Biotechnology, 87.2% in Biological Concentration, 24.1% in Self-purification, 14.0% in Nutrition and Health, 11.6% in Reproduction, 6.3% in Bioenergy, 5.3% in Stimulation and Reaction, 1.5% in Genetic Inheritance. 3. Based on the STS topics by Pie1(1981), 33.9% were the topics on human engineering, 27.5% on eff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24.1% on environmental issue and natural resources, 8.9% on sociology of science, 3.0% on energy, 2.7% on population. There were no topics on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se. 4. The topics on energy were included in Bioenergy chapter, population were included in Reproduction. Issues regarding human engineering were included in Nutrition and Health, Reproduction, Genetic Inheritance, and Biotechnology. Environmental quality and utilization of natural resources were dealt with in Self-purification and Biological Concentration. Sociology of science were included in Biotechnology chapter and the topics on eff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were explained in Nutrition and Health, Stimulation and Reaction, Biological Concentration. 5. The STS program in the textbook were mostly consist of data anlysis, inquiry research and group discussion. But there was no spot activites, role playing, sim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STS 교육 = 5 B. 공통과학 교육과정 = 20 C. 선행 연구 = 25 Ⅲ. 연구 방법 = 29 A. 연구 자료 = 29 B. 연구 방법 = 30 C. 분석 방법 = 3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5 A. 공통과학 교과서별 STS 내용의 분포 비교 = 35 B. 각 교과서의 STS 내용의 단원별 비교 = 39 C. Piel의 기준에 따른 교과서별 STS 주제 영역 비교 = 43 D. Piel의 기준에 따른 단원별 STS 주제 영역 비교 = 47 E. STS 내용의 활동 영역별 분석 = 50 Ⅴ. 결론 및 제언 = 53 A. 결론 = 53 B. 제언 = 54 참고문헌 = 56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44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공통과학-
dc.subject생물영역-
dc.title고등학교 공통과학내 생물 영역을 중심으로 한 STS 내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6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