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소희-
dc.creator강소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3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42-
dc.description.abstractScience and technolog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fact in the modem life. These case wduld be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But in a special situation like the night high school, a new different education progress will be needed.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between the da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night high school ones. This survey was made through 624 day high school students and 434 students of the night high school stud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NOVA in the statistical packages S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core on the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of the day high school students was 59.7 and that of night high school students was 60.6. The night high school students' score was higher and that nearly had no meaning. 2. The score of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of the day high school students was 67.4 and that of the night high school students was 34.8. The day high school students' score was higher and that had meaningful difference(p<0.05)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was low.;현대는 고도로 과학화된 사회로 이에 적응하여 살아가기 위해서는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과학을 생활화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과학을 지식 습득을 위한 암기 과목으로 인식할 것이 아니라 과학적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초석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6차 교육 과정에서도 과학의 지식 체계와 탐구 방법을 습득하여 올바른 자연관 형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런 목표는 교육 과정에서 특정한 목적에 의해 만들어진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제대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 목적고에 해당되는 일반 야간계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을 일반 주간계 고등학생과 조사 비교해서 야간계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새로운 교육 과정 계획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일반 주간계 고등학생 588명과 일반 야간계 고등학생 530명이었다. 측정도구로써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관한 것은 TOSRA(Test of Science - Related Attitudes)를 주축으로 다른 측정도구를 첨가하여 새로운 문항을 만들어 사용하였고, 탐구 능력 측정도구로는 이종기(1988)가 개발한 과학 탐구 기능검사(TSIS: Test of Science Inguiry Skill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점수는 239.5점이고 백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60.1점을 나타냈으며 주·야간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성별과 학년별 비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성취 수준은 19.2점이고 백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53.3점을 나타냈고, 학교유형별, 학년별, 성별 비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는 학교 유형별, 학년별, 성별에 의한 상호 작용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낮은 상관 계수를 나타냈다(p=0.0001) 4.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성취수준은 학교 유형별, 학년별, 성별에 의한 상호 작용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5.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하위 영역과 과학 탐구 능력 성취 수준의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6.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 성취 수준 사이의 전체적인 상관관계는 주간고와 야간고의 경우 모두 낮은 상태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과학 탐구 능력 = 4 B. 과학에 관련된 태도 = 9 C. 선행 연구 고찰 = 12 Ⅲ. 연구 방법 = 15 A. 조사 대상 = 15 B. 측정 도구 = 16 C. 검사 절차 = 21 D. 자료 처리 = 2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3 A. 전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 = 23 B. 전체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에 관련된 결과 = 43 C. 과학에 관련된 하위영역과 과학탐구능력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 = 51 D.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간의 상관 관계 = 55 Ⅴ.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0 부록 내용타당도 검사 = 65 부록 태도 조사 설문지 = 71 부록 과학탐구 기능 검사지 = 75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15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주간계-
dc.subject야간계-
dc.subject고등학생-
dc.subject과학-
dc.title주간계와 야간계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의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