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은정-
dc.creator류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3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33-
dc.description.abstract학교 교육의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가 환경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을 길러내는 것이라 할 때,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환경 교육 영역이 체계화된다면 장기적으로 생활의 질 향상에 큰 공헌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 환경교육에 관련된 목표와 내용의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과에서의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며, 올바른 환경 교육을 하기위해 환경교육의 목적과 그에 따른 환경교육의 목표, 그리고 관련 내용이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 효율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틀은 환경교육의 대표적인 10개 영역(자연 환경, 인공 환경, 인구, 공업화, 자원, 환경 오염, 자연 보존, 환경 보전, 자연 정화, 환경의 질향상)을 사용했고, 분석방법은 5·6차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우선, 환경교육의 목적에 맞게 중학교 사회과 환경관련 단원을 교과 목표, 단원 목표로 나누어 살펴본 후,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환경관련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관련 단원 내용의 비중, 환경교육 영역별 구성비중, 사회과 단원 내용별 환경교육 목표, 환경 영역별 삽화자료의 비중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5·6차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환경관련 단원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내의 환경관련 단원 내용의 비중은 5차보다 6차 사회과 교과서가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15%미만의 비율을 보였다. 또한 학년별 비중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으며, 단원정리에 나타난 환경 교육 영역별 비중은 자연 환경, 인공 환경, 인구, 공업화, 자원과 같은 환경 개념에만 치우치고, 환경 오염, 자연 보존, 환경 보전, 자연 정화, 환경의 질 향상의 비중은 적게 나타나, 대체적으로 환경 대책에 대한 내용이 적었다. 둘째,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환경교육 영역별 구성비중은 5·6차교육과정 모두 자연 환경, 인공 환경, 인구, 공업화, 자원의 내용은 비교적 자세하고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반면 환경 오염, 자연보존, 환경보존, 자연 정화, 환경의 질향상은 적은 분량으로 내용도 자세하지 않았다. 셋째, 중학교 사회과 단원 내용별 환경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5차 때 보다 6차 때 환경교육 목표에 적합하게 내용 구성이 이루어졌는데, 전반적으로 5·6차 교육과정 모두 자연 환경, 인공 환경, 인구, 공업화, 자원은 환경 교육목표중 인식, 지식분야에만 치중한 반면, 환경 오염, 자연 보존, 환경 보존, 자연 정화, 환경의 질향상은 인식, 지식외에 기능, 태도, 참가의 내용들도 포함해, 환경교육 목표에 적합하게 나타났다. 넷째, 중학교 사회과에 나타난 환경 영역별 삽화자료의 비중은 5·6차모두 사진, 지도 자료에 치우쳐, 다양한 삽화자료가 부족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재 우리 나라의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해서는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에 맞는 내용이 추가됨과 동시에 환경자체를 다루는 단원의 비중을 높여, 학생들에게 사회과를 통해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앞으로 환경 교육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in the formal education is to teach the students how they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environment If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systematized in the social studies, which will contribute to make the quality of life higher in the long ru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and to find out how the textbooks deal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fficiently. This paper is considered in the representative 10 ranges which are natur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resources, environmental pollution, nature preservation, environment preservation, nature purifi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environment. Then I adapt the methods that are to check whether they are properly placed in the sense of unit of social studies relat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school textbooks. In the sense of educational purpose, each purpose in Social Studies and each unit purpose, the main of analyzing objects ore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eachers 5th and 6th edition. And then to analyse the textbook, I checked the portion of the units that are related to the environment, the portion of each rang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atio of composition in the each ran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portion of each type in illustration data, the portion of each unit summaries that ar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ajor results ore as follows 1. the portion of the units related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middle-school textbooks of Social Studies is generally increased than the 5th, but it is a little changes, total 15%. Also they have different portions among the grades and their summaries are based to the concept of natur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resources. It means that there are lack of countermeasure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2. The composition of 10 range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middle-school textbooks of Social Studies, Both of 5th and 6th have greater part of natur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resources, than environmental pollution, nature preservation, environment preservation, nature purifi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environment part. 3. In the aspect of adaptability, the purpose and the rang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daptability of the 6th is generally increased than the 5th. In the range of natur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resources are based to concerns and knowledge that are ai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therwise, environmental pollution, nature preservation, environment preservation, nature purifi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environment ranges have proper approaches to the aims of concerns, attitudes and function improvement, in addition to the knowled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4. The portion of illustration data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middle-school textbooks of Social Studies, 5th end 6th, have a tendency to contain photos and maps. So there are lack of various illustration data.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we need not only adding the more contents which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the aim to environmental education, but also adding the more units about environment. Through the improvement we con let the students awar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have on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it needs more studies about th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Ⅱ.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의 환경 교육 = 7 A. 사회과 교육과 환경 교육 = 7 B. 사회과 환경 교육의 변천과 현황 = 15 Ⅲ. 중학교 사회과 환경관련 단원 내용 분석 = 19 A. 제 5·6차 중학교 사회과 환경 단원 교과 목표 비교 = 19 1. 교과 목표상의 환경 교육 = 19 2. 단원 목표상의 환경 교육 = 22 B.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환경관련 단원 내용 분석 = 27 1. 중학교 사회과 환경관련 단원 비중 분석 = 27 2. 중학교 사회과 환경교육 영역 분석 = 35 3. 중학교 사회과 단원 내용별 환경교육 목표 = 38 4. 환경관련 단원의 삽화자료 분석 = 49 Ⅳ. 결론 = 59 참고문헌 = 65 ABSTRACT = 70 부록1. 제5·6차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교과서 환경 관련 단원 = Ⅰ 부록2. 제5·6차 교육과정 환경 관련 단원 내용별 구성 비중 = Ⅲ 부록3. 제5·6차 사회과 환경 단원의 환경 영역별 단원정리 비중 = Ⅴ 부록4. 제5·6차 사회과 환경 단원내용의 영역별 분석 = ⅩⅠ 부록5. 제5·6차 사회과 환경 단원의 삽화자료 유형별 비중 = ⅩⅤ 부록6. 중학교 사회과 환경교육 영역별 환경 단원 내용 = ⅩⅤⅡ-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04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사회과-
dc.subject환경-
dc.subject사회과 교육-
dc.subject지리교육-
dc.title중학교 사회과에 나타난 환경관련 내용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5·6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ontent Analy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 on the base of the 5th, 6th curriculum-
dc.format.pagevi, 73, xxxi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