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초등학교 영어 수업의 상호작용 분석

Title
초등학교 영어 수업의 상호작용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nglish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 Focus on teacher's verbal and doter interaction activities
Authors
강경숙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초등학교영어수업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ince 1997, all third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have been taught English as a regular subject in Korea. However,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English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is really going on in classes, and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is study two Korean teachers' and one native speaker teacher's classes were videotaped once monthly for five months. The three teachers' verbal and other interaction was observed and analyzed. And a questionnaire was made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interaction activities in English classrooms of 170 teachers who were teaching English in 1997. The analysis of interaction activities was based on the COLT Observation Scheme in terms of class organization, contents, modalities and teaching materials. All three teachers seemed to encourage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with less than 50% of the time doing teacher-centered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y led their classes in a learner-centered way. For class contents, the teachers focused on sentences rather than just words, phrases, or pronunciation. They did not teach grammar at all. Interestingly, the Korean teachers' classes were listening and speaking skill-oriented and the native speaker teacher's class was reading and writing skill-oriented. And the Korean teachers used twice as many teaching materials as the native speaker teacher did. Most of the teaching materials were made by the teachers themselves. Viewed in terms of linguistic interaction, the number of Korean teachers' utterances was more than native speaker's. Korean teachers are more likely to provide various linguistic input with students than native speaker teacher is. The two Korean teachers modeled or explained key sentences from the text themselves and adopted a lot of classroom management talks related with the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native speaker teacher gave more feedback to the students than the Korean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in terms of six categ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accuracy than in fluency for their English commands. When they introduced new words or sentences, they preferred audio-visual materials the most. Often they adopted TPR(Total Physical Response) method to get attention from the noisy students. Most their questions were display questions for practicing sentences from the text. They thought that group activities complied with learners' interests and stimulated their participation, and, accordingly, facilitated interaction, which would finally help learners with language acquisition. In terms of error correction, the teachers corrected wrong pronunciation and those errors that blocked natural conversation flow, but ignored grammatical errors. For the teaching materials, they used such materials that they could get or make easily, like flash cards.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action in the class was varied according to each teacher's teaching style and class management style. The native speaker teacher did not seem to understand the English curricula. Thus, he led his class in his own wa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at is going on in the English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by analyzing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 longitudinal research will b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language acquisi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should help understanding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should give some practical advice to teachers.;세계적으로 자주 왕래하고 많은 정보를 교환하는 시대에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도 요구되는 하나의 기술이 되었다. 1997학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정식 교육과정으로 채택되어 실시되는 영어교육은 실지로 어떻게 전개되는지 많은 궁금증을 불러 일으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영어 교육과정이 처음으로 실시되던 1997년에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국인 교사 2명과 원어민 교사 1명의 수업을 한 달 간격으로 3기로 나누어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교실 내 상호작용 활동과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170 여명의 초등학교 3학년 영어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교실 내 상호작용 활동은 COLT 도구를 사용하여 참여자 조직, 내용, 학생의 학습활동 양식, 자료 면을 분석해 보았는데, 세 교사 모두 순수하게 교사가 주도하여 학습을 이끌어 가는 경우는 50% 미만으로 학생으로 하여금 활동에 참여하는 환경을 많이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의 내용은 문법 면이 배제되었으며, 낱말이나 구, 발음보다는 문장단위를 습득하는 것이었다. 학습활동 양식에서 두 한국인 교사는 대화나 듣기, 말하기를 많이 활용하였고, 원어민 교사는 읽기, 쓰기 시간을 상당히 도입하였다. 교수자료는 두 한국인 교사가 원어민 교사보다 두 배 이상의 비율로 활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이 자작한 자료인 시각자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을 보면 두 한국인 교사의 평균 발화 횟수가 원어민 교사보다 많아 한국인 교사가 다양한 언어적 상호교환을 통해 학생들에게 언어적 입력을 많이 제공하였다. 두 한국인 교사는 수업내용, 즉 의사소통 예문을 직접 발화하거나 설명하였고, 수업 내용과 직접 관련하여 진행하는 발화를 많이 하였다. 원어민 교사는 한국인 교사보다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좀 더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관찰연구 만으로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실 내 상호작용을 알 수 없어,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적인 교실 내 영어 수업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연구로는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교사의 교실 내 상호작용 활동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영어담당 교사는 영어사용 면에서 자신의 유창성보다는 정확성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수업운영 면에서는, 새로운 언어요소를 제시할 때 시청각 교재로 가장 많이 하였고, 소란스러울 때는 전신신체반응(TPR)으로 주의를 집중시켰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하는 질문의 유형으로는, 예측할 수 없는 대답을 요하는 조회용 질문보다 문장 형식을 익히기 위한 제시용 질문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그룹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도가 높아진다고 여겼으며, 그룹활동이 학생 간에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영어 습득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류수정은 교사가 직접 해 주되, 문법적인 측면은 배제하고 내용의 흐름에 맞지 않을 경우와 잘못된 발음 부분을 수정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료는 교사자작 자료로서 손쉽게 구하거나 제작할 수 있는 그림카드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교실 내 상호작용 부분은 관찰연구하여 전사한 것을 바탕으로 교실에서 일어나는 예들을 제시하여 실제현장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영어 수업의 상호작용이 각 교사들의 수업 전 준비와 수업운영 기술에 따라 상당히 다른 형태로 나타났고, 원어민 교사가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이해하지 않고 임의대로 영어 수업을 진행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교실 내 상호작용을 연구하였지만, 초기 영어 학습자의 교실 내 발화형태를 긴 기간 동안 수집, 분석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연구한다면 조기 영어교육을 위한 현장 교육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