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윤희-
dc.creator심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7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3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727-
dc.description.abstractAs our society has industrialized and our family system has become nuclearized, our general idea about the aged that they are weak and dependent has been changed. The aged enjoy more independent life, spending their time on free activities. It is seems that the aged are willing to take their self- improvement an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in their society,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ir demand for participation is not answered and encouraged because of younger people's misunderstanding for them. Now our society should be more concerned about the aged and try to make new products of better quality for them by analyzing the products that older people usually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design direction for the aged.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aged as the advent of the aged society and to illustrate the life-style of the aged in future society based on that definition. The physical, med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were investigat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research of the environment of old people.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the result was reflected in design plan. Second, the study provided useful criteria for design by analyzing on the process of visual communication focused on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aged as using products. Third, this paper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sign by constructing the design position and area in the aged society, designed the unified remote controller of Audio, Television, and VTR as representative home electronic products in modern leisure life.;현대는 산업화, 핵가족화 하는 산업사회로 변화하면서 나약하고 의존적이라는 노인들에 대한 개념은 달라지고 있다. 그들은 의존적 생활관에서 벗어나 독립된 생활을 전개해 나가고 자유로운 생활을 하면서 보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현시대 상황은 노인에 대한 인식부족과 오해로 이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제 우리사회는 이러한 노인들을 위해 보다 많은 관심과 배려를 해 주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노인들이 사용하는 생활용품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재검토를 통해 고령자를 위한 제품을 디자인 하는데 있어서 디자인과정보다도 노인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얼마만큼 이해하고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가올 고령화사회에 대하여 현시대를 재조명하여 디자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고령자를 위한 가전제품 디자인연구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화사회 도래에 따른 노인의 개념과 노인의 특징 및 라이프 스타일을 고찰한다. 둘째, 노인들의 가전제품 사용 인지과정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전개해 나갈 경우의 필요한 기준들을 설정하였다. 셋째, 고령화 사회에서 디자인의 현 위치와 영역을 재구성하고, 현대 여가생활의 대표적인 가전제품으로 AUDIO, TV, VTR의 통합 조정을 위한 원격조정장치를 디자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제1장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범위 및 방법 = 2 제2장 고령화 사회와 노인의 위상 = 3 1. 고령화 사회와 노인문제 = 3 1-1. 고령화 사회의 도래 = 3 1-2. 고령화에 따른 문제점 = 5 2. 노인생활의 일반적 특성 = 8 2-1. 신체적 특성 = 8 2-2. 심리적 특성 = 10 2-3. 사회적 특성 = 11 3. 고령자의 생활유형 = 12 4. 고령자를 위한 제품개발의 필요성 = 17 5. 고령자의 지각능력과 인간공학적 특성 = 19 제3장 노인생활의 가전제품 사용실태 분석 = 31 1. 가전제품의 사용실태 = 31 2. A/V 리모트 콘트롤의 일반적 특성 = 33 2-1. 리모트 콘트를 = 33 2-2. T.V.A 리모트 콘트를 주기능/사용방식및 조작순서 = 33 2-3. T.V.A 리모트 콘트를 종류와 기능분석...(국내외제품비교) = 37 2-4. T.V.A 리모트 콘트롤 주기능과 주기능 버튼 형상 = 45 3. 리모트 콘트롤사용의 문제점 및 효율성 검토 = 49 제4장 고령자를 위한 리모콘의 개발방향 = 51 1. A/V 리모콘 디자인 방향 = 51 2. A/V리모콘 분석 및 방향설정 = 54 2-1. 고령자의 T.V.A 사용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 54 2-2. 결과분석과 방향설정 = 57 2-3. 고령자를 위한 A/V 통합리모콘 제안 = 58 3. 고령자를 위한 A/V 동합리모콘 사례연구 = 60 제5장 결론 = 64 參考文獻 = 66 ABSTRACT = 67 부록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505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audio-
dc.subjectvisual-
dc.subject통합리모콘-
dc.titleA/V(audio & visual)통합리모콘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령층의 제품사용행태 및 인지과정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V(Audio & Visual) Unified Remote Control Design : An analysis of the behaviour and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aged as using products-
dc.format.pagev,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제품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