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5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94-
dc.description.abstractThere has been unification education constantly in school since liberation, but in fact it is doubtful whether it has been effective. Looking over the changing history of unification educ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real intention of education is not the unification itself but anticommu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at are choosed as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how they are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ethics textbook which is closely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The problems of the textbooks now in use are as follows. 1. A definite paradigm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not established. 2. There are a lot of sentimental and impractical aspects in the textbook. 3. Lack of objectivity. 4. It doesn't have future-oriented insight. I will present some points of improving direction in a view of the text's details,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se problems. First, we must establish the definite paradigm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As the basic principal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re are the respect for the universal value, reciprocity, and the principal of accord and balance. First of all, we must lay emphasis on democracy-oriented public education and intensification of national security awareness. Secondly, we need to establish the contents which is able to cultivate democracy-oriented public awareness. Our economy has developed rapidly since 1960s. But in our society mammonism, materialism, and selfishness spread far and wide, and community awareness become weakened. It is democracy-oriented public education that is the first consideration which is able to overcome moral crisic like these, and only this education can foster the real workers for the unification. Thirdly, I have examined the specification of national education required to form a truly national community. Our unification must be not one of mere national, political reunion but one which national homogeneity is fully recovered to its original strength, and is able to promise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prosperity optimistically. Fourth, this study have considered peace-oriented education which is capable of preparing for the post-unification periods and of ensuring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the unified nation. The ultimate ideal pursued by our Korean race has always been peace and it is peace that can offer hope to solve some problems we face such as war, discord, violence, etc. Fifth,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able to help our students form the right unification-view. Gitative slogans or blind passion never give us unification. we must relize unification for ourselves. Our elementat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s the unification generation who have to achieve unification in their times.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teach them the right unification-view than any other things. Sixth, we need to remember that the unification we are seeking is not always optimistic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to new ciriumstance and settle economical, social confusion and anxiety the education must form national-sympathy capable of putting up with the harmful effects of unification making Germany our model.;해방 후 현재까지 학교에서는 끊임없이 통일교육을 해 오고 있으나, 실로 그 효과는 의문시된다. 통일교육의 역사를 돌아보면, 통일지향 교육이라기보다는 반공교육이 주를 이루어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주 담당교과인 도덕교과서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서 바람직한 통일교육의 내용으로 어떤 것을 선정, 구성해야 할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통일교육의 정확한 패러다임이 설정되어 있지 못하며, 감정적이며 비현실적인 면이 강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미래지향적인 면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교과서 내용면의 개선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갈다. 우선, 통일교육에 관한 명확한 패러다임을 설정해야 한다. 보편적 가치의 존중, 상호주의, 조화·균형의 원칙을 기초 원칙으로 하여, 민주시민 의식 및 안보의식 강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민주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내용이 필요하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 반면에 한국사회 도처에는 배금주의, 물질만능주의, 이기주의가 만연, 공동체의식이 많이 약화되었다. 이러한 도덕적 위기상장을 극복하고, 통일을 위한 일꾼으로 변모시킬 선결조건이 민주시민 교육이다. 셋째, 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해 민족교육이 필요하다. 한반도 통일은 단순한 민족의 재결합이 아니라 민족 본래의 모습대로 동질성을 회복하고 민족의 발전과 번영을 보장할 수 있는 통일이 되어야 한다. 넷째, 통일이후까지를 대비하고 통일국가의 번영과 발전을 기할 수 있는 평화교육을 실시해야 하겠다. 한민족 공동체가 지향하는 궁극적 이념이 평화이며, 오늘날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 - 전쟁, 갈등, 폭력 - 에서 희망을 줄 수 있는 대안이 평화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통일교육은 올바른 통일관을 형성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통일은 선동적 구호, 맹목적 열정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이 스스로 만들어 가야만 하는 것이다. 통일을 완수해야 할 통일세대인 초·중등 학생에게 바른 통일관 정립을 위한 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이 현재 추구하고 있는 통일은 낙관적인 것만은 아님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통일로 인한 경제·사회적 혼란과 불안감을 해소하고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독일을 교훈으로 삼아 물질적, 정신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일비용 감수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과 범위 = 3 Ⅱ. 통일교육의 이론적 배경 = 4 A. 통일교육의 개념 = 4 B.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 7 C. 통일교육의 역할과 기능 = 17 Ⅲ. 도덕교과서에서의 통일교육 분석 = 19 A. 통일교육 내용 = 21 B. 통일교육 내용상의 문제점 = 30 Ⅳ. 개선방안 = 36 A. 통일교육의 기본원칙 설정 = 36 B. 민주시민 교육 = 42 C. 민족주의 교육 = 45 D. 평화교육 = 48 E. 올바른 통일관 형성교육 = 52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60 영문초록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52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통일교육-
dc.subject개선방안-
dc.title중학교 통일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ing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dc.format.pageiv,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