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전통색채의 실용화를 위한 전통염색법 연구

Title
전통색채의 실용화를 위한 전통염색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Dyeing Method for Practicality of Traditional Colors
Authors
고정은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전통색채실용화전통염색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염색법은 20세기에 들어서 합성염료의 범람으로 천연염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그 맥이 끊어졌으나, 일각에서 전통염색법을 재현하고 전통색채를 규명하여 체계화하려는 노력이 일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전통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전통염색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전통색채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전통염색의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현대에 적합한 전통색채의 개발 및 실용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색채와 전통 염료 및 염색법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전통염색 기능보유자의 도움을 받아 염색 실험하였다. 염색 실험의 소재는 전통소재인 모시와 명주, 현대 많이 이용되고 있는 레이온 크렙(Rayon Crepe)과 면 보일(Cotton Voile)을 선택하였다. 염료로는 청색계의 쪽과 황색계의 황련, 적색계의 홍화와 소목을 선택하였고, 이들 각각의 염료와 그리고 쪽과 황련, 황련과 홍화를 교염하여 모두 31가지색을 염색하였다. 염색된 실험물들의 색채는 측색기로 측정하고 먼셀 표색계와 CIE L*a*b* 식으로 객관적인 계측치를 제시하였다. 염색 실험 결과, 동일한 양의 염료로 염색하여도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 다양한 색채로 염색되었는데, 전반적으로 명주, 레이온, 면이 모시에 비하여 명도가 높게 염색되어 부드럽고 온화한 분위기를 내었다. 4가지 소재들 중에서는 레이온이 가장 밝게 염색되었으며, 면은 가장 탁하게 염색되었고, 홍화 염색에 있어서는 동물성 섬유인 명주는 셀룰로우즈(cellulose)계 섬유인 레이온, 면과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이 전통소재 뿐만 아니라 현대소재에 염색실험을 함으로써 현대에 적합한 다양한 전통색채의 표현 및 새로운 소재 개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쪽과 홍화의 전통염색법은 조선시대 문헌인 「규합총서」에 나타난 염색법과 구전에 의한 염색법이 차이를 보였는데, 구전에 의한 염색법은 문헌에 기록된 방법보다 발달된 것으로 쪽염색의 경우는 석회와 잿물을 사용하여 환원 및 산화 발색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었으며, 홍화의 경우도 염색 방법 자체는 동일하더라도 매염제의 사용에 있어 보다 발달된 상태를 보여주었다. 이는 전통염색법을 과거의 방법 그대로 답습하는 단계를 넘어 기본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리적으로 개선하려는 시도로 전통의 계승·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전통염색법의 문제점으로 대부분 개인의 숙련된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향후 전통염색법을 체계화하고 과학적으로 정량화하기 위한 관련 여러 분야의 공동연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의 결과가 전통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전통색채를 현재 산업체에 응용·실용화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As it goes with flooding of synthetic dyestuff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as it develops not to use natural dyestuff the traditional dyeing method has ceased its pulse to beat. Meanwhile, efforts are rising to systematize reproducing traditional dyeing and trailing traditional colors, This kind of efforts can find the meaning in terms of succession and growth of the tradition. So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objective data for traditional colors, to prepare the basic raw materials for he textile development of traditional dyeing and to contribute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ity of traditional colors that fits today. First of all, literature studies on traditional colors, traditional dyestuff and dyeing method have been made, then upon those theoretical foundations performed a practical dyeing experiment with the assistance of those who hold professional techniques. Traditional materials like linen and silk and also rayon and cotton which are commonly used today have chosen for the basic material of dyeing experiment. For the dyestuff, indigo, safflower, plugiorhegma dubium maximwicz, Salpinia Sappan are chosen. Furthermore, a very special methods of cross-dyeing technique have been adopted to dye all of those 31 colors altogether. Indigo and Carthamous Tinctouius Linne dyeing hav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traditional dyeing method. But has been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and an experimental dyeing method. Experimentally dyed color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and the objective measurements have presented by the Munsell renaotation system and the CIE Lab. The study made it possible to find the possibility of a new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colors. But go well with modernity through the dyeing experiment on not only the traditional textiles but also on the modern textiles. Even though used the same dyestuff, it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 of textiles. So silk, rayon, and cotton appeared softer and milder mood then linen, as it dyed closer to pastel shade. In general, cotton appeared darker and rayon appeared brightest and clean for the result of dyeing. Meanwhile, as it understood, the classical dyeing method in old literature is only the beginning stage, the traditional dyeig method which has been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is a step ahead way of dyeing method through reduction, oxidation and decolorization procedure. It has been realized that it is a meaningful kind of trial which have tried to find improved plan in a reasonable way in a limit of not deviating from the basic idea, overcoming just following the traditional way of dyeing. For a controversial point of the traditional dyeing it would be considered that mostly they are depending on the personally well-trained technique.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of some practical help for the application and practicality of traditional dye stuff to today's industry as it contributes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