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정연-
dc.creator허정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4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70-
dc.description.abstract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이라는 의사결정은 많은 장애아동의 부모들에게 갈등을 유발하는 어려운 과제이다. 이 과정에서 부모들은 자신들이 원하거나 고려하는 것들을 판별하는데 관심을 가진다(Fowler et al., 1988). 전문가들은 이들을 돕기 위해 장애자녀의 학교 프로그램, 서비스 옵션을 검토하면서 요구되는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며, 부모들이 고려하여 염려하는 것에 대해 들어줌으로써 지원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Diamond et al., 1988; Fowler et al., 1988; Hains et al., 1988; Hanline, 1988).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배치를 결정하기 위해 부모들이 실제로 고려하고 있는 것들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들과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과 관련된 부모들의 의견 사례를 참고하여 질문지를 개발하고, 실제로 부모들이 고려했다고 한 경험적 응답을 바탕으로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고려한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반학교 혹은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간에 각 요인들을 고려한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자녀의 초등학교를 선택한 경험이 있는, 현재 장애자녀가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부모들(N=278)이었다. 이 부모들은 장애자녀를 47개교의 일반학교에 입학시킨 부모들(n=103)과 장애자녀를 3개교의 특수학교에 입학시킨 부모들(n=175)로 구성되었다.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고려하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SPSS/PC+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학교나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간에 각 요인들을 고려한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들이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많이 고려한 요인들의 순위를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선택과 관련된 개방형 질문에 대한 부모들의 응답은 부록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요인분석을 통해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고려하는 9 개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각 요인에 속한 문항들의 특성을 검토한 후, 부여한 요인명은 다음과 같다. - Ⅰ (일반아동 및 일반교사 관련변인); Ⅱ (진학관련 의견, 조언 및 정보); Ⅲ (통학방법 및 통학시간); Ⅳ (장애자녀의 특성); Ⅴ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 Ⅵ (장애자녀의 부모로서의 지위 및 역할); Ⅶ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 Ⅷ (장애자녀 및 일반아동의 부정적인 행동); Ⅸ (장애자녀와 관련된 비장애자녀의 학교생활). 2.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가장 많이 고려했다고 응답한 요인은 Ⅶ요인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이었다. 그 다음으로 부모들이 많이 고려했다고 나타난 요인들의 순위는 Ⅷ요인 (장애자녀 및 일반아동의 부정적인 행동), Ⅵ요인 (장애자녀의 특성), Ⅰ요인 (일반아동 및 일반교사 관련변인), Ⅴ요인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 Ⅱ요인 (진학관련 의견, 조언 및 정보), Ⅲ요인 (통학방법 및 통학시간), Ⅵ요인 (장애자녀의 부모로서의 지위 및 역할), Ⅸ요인 (장애자녀와 관련된 비장애자녀의 학교생활)의 순이었다. 본 질문지 총 35문항 중에서 부모들이 가장 고려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것은 교육비, 진학과 관련된 부모교육 강좌의 내용이었다. 3. 일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과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간에 추출된 9개 요인 중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 요인에 대해서만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이 더 많이 고려함으로써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 요인이 부모들의 특수학교 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말해준다. 일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과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간에 각각의 요인들내에 포함된 문항들을 고려한 정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즉, Ⅱ, Ⅲ, Ⅳ, Ⅷ, Ⅸ 요인내에 포함된 각각의 문항들을 고려한 정도는 두 부모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반아동 및 일반교사 관련변인' (Ⅰ) 요인내에서 일반아동에 관련된 문항들에 대해서는 일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이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보다 더 많이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자녀의 부모로서의 지위 및 역할' (Ⅵ) 요인의 '학교에서 정보를 나누거나 친하게 지낼 수 있는 다른 장애아동 부모와의 관계' 및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 (Ⅶ) 요인의 '장애아동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이 일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보다 더 많이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들은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를 더 많이 고려했으며, 일반학교를 선택한 부모들은 일반아동과의 상호작용을 더 많이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자녀의 초등학교를 선택할 때 이 두가지 요인을 모두 만족시킬만한 학교 옵션이 아직 없기 때문에 부모들이 이 두 요인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하는 대신 다른 한 가지에 대해서는 포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장애아동을 위한 특별한 시설 및 관련 서비스 등의 제공으로 초등학교 환경의 개선이 촉구되어야 할 것이다. 두 부모집단 모두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을 가장 많이 고려했다는 연구 결과는 그러한 학교 환경의 개선이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그리고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상호작용에 대한 부모의 기대감에 부응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장애자녀를 위한 초등학교 선택의 역할을 감당하는 부모들을 돕기 위해서는 이들이 무엇을 얼마나 고려하며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들의 초등학교 선택과 관련된 지각, 관심을 파악하는 일에 매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arents of disabled children are compelled to select and make difficult dicisions related to various thing about their children.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elementary school can be stressful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We should observe how parents accept these kinds of changes. Also we should know parents' expectations and considerations for their childrens' school placemem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factors that the parents consider when select elementary schools. For this, factor analysis is employed using common factor analysis model. And second purpose is to exa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n each factor among the parents who selected regular school and those who selected special school. To compare the scores of each factor which was rated by two groups, T-test was used. For this purpose, a questionaire which included 35 items was developed through a series of steps. This listing was then rated by two groups (a total N=287) : (a)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gular school (n=103) ; (b)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special school (n=175). Then, they were asked to fill in the questionaire asking how much considered when selected elementary education options for their childe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9 factors obtained in the factor analysis and the specific item loadings on each factor. Factor 1 is labeled "the variation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nonhandicapped peers". Factor 2 is labeled "school environments and services provided for disabled children", and Factor 3 is comprised of items relating to "opinion, advice and information related entrance to a school". Factor 4 consists of items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ern with disabilities". Fator 5 is comprised of items relating to "means and time taken to go to school". Factor 6 is labeled "the status and roles in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Factor 7 includes items relating to "nega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lities and nonhndicaped peers". Factor 8 is comprised of items relating to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actor 9 is labeled "school life of the nonhandicapped siblings related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ated most consider is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lso agreed on the consideration of several factors related to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tes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the degrees of consideration about only factor Ⅴ (p<.00l). Statistically, parents that selected special school concerned more about the factors Ⅴ . No siginificant difference could be seen between the two groups in factors Ⅰ , Ⅱ, Ⅲ, Ⅳ, Ⅵ, Ⅶ, Ⅷ and Ⅸ. And parents that selected regular school concerned more about the items relating to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and nondisabled peers in the factor Ⅰ.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assisting parents who select elementary school options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초등학교로의 전이 = 5 B. 초등학교의 배치 = 9 C.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고려하는 사항 = 1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8 A. 연구 대상 = 28 B. 연구 도구 = 30 C. 연구 절차 = 32 D. 자료 처리 방법 = 33 Ⅳ. 연구결과 = 34 A.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고려하는 요인 = 34 B.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요인을 고려한 순위 = 48 C. 일반학교·특수학교 부모 집단간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각 요인을 고려한 정도의 차이 분석 = 50 Ⅴ. 논의 및 제언 = 60 A. 논의 = 60 B. 연구의 제한점 = 68 C. 제언 = 68 참고문헌 = 70 부록 = 79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293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장애자녀-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부모-
dc.subject요인-
dc.title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선택시 부모들이 고려하는 요인에 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1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