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일반인의 환경문제 의식과 사회환경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Title
일반인의 환경문제 의식과 사회환경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eneral Public
Authors
박소현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Keywords
일반인환경문제사회환경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환경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공동 관심사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만일 지금과 같은 속도로 환경오염과 자연파괴가 계속된다면 얼마 가지 못하여 더 이상 인류는 이 지구상에 살아남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미래학자들은 말한다.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서구에서 200여 년 걸렸던 산업화와 도시화를 30여 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루면서 상당한 정도의 경제성장은 이루었으나 그 반대급부로서 생존의 기반인 물과 공기, 땅과 식품의 오염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따라서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와 함께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환경의식, 환경교육, 환경보전행동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 내용은 크게 10개의 주제별로 나누었으며, 설문조사 대상의 배경조사를 기본으로 하여 그 내용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체감 오염도, 환경에 대한 일반지식, 환경문제 관련 의식, 환경교육에 대한 견해, 환경단체에 대한 입장 및 교육 경험 내용, 장래환경 교육방향, 환경보전 기여도, 정부 주관 환경정책, 환경보존을 위한 캠페인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인들의 환경 의식,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연령과 성별 등에 관계없이 높았으며, 과거에 비해서 보다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주 지역 환경오염의 체감정도는 대도시나 공업도시의 거주민들이 농·어촌 지역의 주민들보다 오염이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기오염의 원인은 거주지와 상관없이 대부분이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왔으며, 수질오염의 원인으로는 지역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가정의 생활 하수와 공장의 산업폐수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들어 신문지상이나 각 언론사들에 의해 환경문제가 부각되고 다양한 환경보전운동이 각 단체별로 행해지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 환경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구환경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의 수준도 높아져옴을 알 수 있다. 셋째, 환경교육에 대한 견해에서는 환경교육이 대부분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환경교육의 목적의식이 불분명하게 나타났으며, 더욱이 실제로 환경교육프로그램이나 환경단체에 가입하여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을 받아본 경우에도 적절하고 타당한 교육프로그램이나 교육내용 및 방법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나왔다. 넷째, 환경교육의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환경교육의 내용에는 지구환경이나 자원, 토양, 물, 대기 등의 직접적인 자연환경뿐 아니라 인위적으로 환경문제를 도출시키는 쓰레기와 산업폐기물 및 화학물질 처리문제 등에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정책과 법, 환경윤리 등 행정적인 범위까지에도 많은 일반인들은 높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환경문제를 단순히 문제로만 인식하고 끝낼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의 생활에서 인식을 새로이 정립시키며, 실제 환경보전을 할 수 있는 방법론에서의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환경교육 과정이나 환경교육 교재와 그 교재를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단체들이 보다 많이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Today, the global community is confront serious environmental crisis derived from related problems energy and resources. To deal this crisis, people must take action in order to preserve current environment with ec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The principle of this thesis is to observe public endeavor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behavior, and the influential factors to those conducts. First of all, I will look into the perception towar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nvironmental percepti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behavior which thought to be a ground solution to lesson the problems, and the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ose research, it will be presented the feasibl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public. This research consists of 10 topics. The topics are the interests of public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perceived pollution level, general knowledge about environment, percep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 opinion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ttitude towards environmental organizations, suggestions for futur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campaign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rough the research, I have reached some analytical conclusions are followed: First, the level of public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is high regardless its age and sex, and the level has been growing compared to the past one. The result also shows that people in urban and industrial areas feel much more seriously pollution problems than those in rural and coastal area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household and industrial sewage are regarded as the primary causes for water pollution. Secondly, the results show general public's understanding on environment have been universalized and thus the level of common knowledge on glob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a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raised by newspapers and mass medias and various movements have been accomplished by environmental protection organizations. Thirdly, although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mphasized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unclearly appeared. Besides actual participation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taking courses by joining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ere rarely shown. Although some cases have the experience of taking education courses, the negative reactions came out in the opinion of education content and methodologies. Fourthly, the analysis on curriculum of future environmental education show various opinions. This tells the attentions have drawn on the dealings of waste industrial and chemical wastes which will cause environmental problem artificially, as well as on global environment, or natural environment such as resources, land, water, atmosphere. The results show many people recognized administration extent such as environmental policy, law and ethics as environmental categories. This implies even one of those areas have not been properly founded and more researches should be followed. From above results, environmental problems should not be regarded as simple problems and it should bring out new recognition for general public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s, or materials in methodology of practic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ograms and organizations which will utilize thos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more activ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