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진희-
dc.creator정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3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5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and work, comparing children who have a high level of playfulness and those who have a low level of playfulnes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1. How do children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playfulness perceive play and work? 2. How do children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playfulness recognize activities in their kindergarten? 3. Do children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playfulness prefer to play/work? and why? 4. Who is a favorite playmate among children with different levels of playfulness? 5. How do children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playfulness recognize activities that they do when they are not play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children 4 or 5 years old at N private kindergarten in Dae-jeon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playfulness. The CPS developed by Barnett for teachers was modified and used to evaluate the levels of playfulness of children. To study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and work, the open questions and questionnaire which were used in the study by Garza et al(1985), Kim((1989), King(1979) and Lee(1992) were used after modifying and editi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hildren have a tendency to indicate instances rather than features when they define the concepts of work and play. But children who have a low level of playfulness indicate feature rather than instances when they define the concept of play. Children perceived features of play and work as spontaneity/obligation, fun/ boredom, physically and mentally easy/difficult process-oriented/product-oriented and active/inactive. Some children recognized play and work as having a double-faced feature. Instances of play are indicated as materials, dramatic play and outdoor play. Instances of work are study, chores, and job related work. 2. Children regarded kindergarten as a place playing with friends or materials not studying. In kindergarten, children who have a low level of playfulness face th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 children, compared to children who have a high level of playfulness. When it comes to the activities in kindergarten, children who have a high level of playfulness recognized more activities as play than the opposite, while children who have a low level of playfulness recognized more activities as work than the opposite. 3. When it comes to the preference of Play/work, most of children like to play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to work. However Children who have a low level of playfulness feel more negative about play but more positive about work than children who have a high level of playfulness. 4. Most children indicated friends as playmates but children who have a low level of playfulness prefer to play .with elder siblings and older friends compared' with the opposite. 5. Most children responded that they are studying or watching TV when they are not playing. So expectation and demand for study at home have more effect on children's awareness of work than that in the kindergarten.;본 연구는 놀이성(Playfulness)이 높은 유아와 놀이성이 낮은 유아가 갖고 있는 놀이와 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놀이성이 다른 유아의 놀이/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놀이성이 다른 유아는 유치원에서의 활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3. 놀이성이 다른 유아의 놀이/일 선호 및 선호하는 이유는 어떠한가? 4. 놀이성이 다른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 대상자는 누구인가? 5. 놀이성이 다른 유아는 놀지 않을 때의 활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본 연구는 대전시에 위치한 N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의 놀이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표집된 만 4·5세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평정하기 위한 연구 도구는 Barnett이 제작한 놀이성 평정 도구(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교사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놀이성이 다른 유아의 놀이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King(1979), Garza et al.(1985), 김소양(1989) 이숙재(1992)의 연구에서 사용된 개방식 질문과 면접 문항을 수정·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유아들은 놀이와 일의 개념을 정의할 때 특성보다는 실례로 지적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놀이성이 높은 유아들은 놀이에 대해 실례보다는 특성으로 개념화하였다. 놀이와 일의 특성으로는 자발적-의무적, 재미·즐거움-재미없고 힘듦, 신체적·정신적으로 쉬움-어려움, 과정중심-결과중심, 신체적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많은 활동-신체적 움직임이 적은 활동 등으로 인식하였다. 몇몇 유아는 놀이와 일을 재미/자발성의 요소에 따라 양면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놀이의 실례로는 주로 특정 놀이감, 극놀이, 실외 놀이를, 일의 실례로는 학습과 가사. 직업에 관련된 일의 종류를 지적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유치원을 공부하는 곳이 아니라 친구들과 혹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유치원에서 놀이성이 낮은 유아들은 높은 유아에 의해 또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에서의 활동에 대해서, 놀이성이 높은 유아들은 낮은 유아에 비해 많은 활동을 놀이로 인식한 반면 놀이성이 낮은 유아들은 좀 더 일로 인식하였다. 셋째, 놀이와 일에 대한 선호에서, 대부분의 유아들이 놀이를 좋아하며, 일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놀이성이 낮은 유아들은 높은 유아들보다 놀이에 대해서는 좀 더 부정적인 반면 일에 대해서는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들은 대부분 친구를 놀이 대상으로 좋아하고 있었으나, 특히 놀이성이 낮은 유아들은 높은 유아에 비해 혼자 놀거나, 손위 형제 혹은 이웃집 언니·형과 노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들은 놀지 않을 때 주로 공부를 하거나 TV를 본다고 응답하여, 유치원보다는 집에서 학습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유아의 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놀이에 대한 개념 및 특성 = 5 B. 유아의 관점에서 본 놀이의 개념 = 11 C. 유아의 놀이성 = 19 D. 놀이와 또래관계 = 23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 대상 = 27 B. 연구 도구 = 28 C. 연구 절차 = 30 D. 자료 분석 = 32 Ⅳ. 결과 및 해석 = 33 A. 놀이와 일에 대한 인식 = 33 B. 유치원에서의 활동에 대한 인식 = 35 C. 놀이/일 선호 및 선호하는 이유 = 39 D. 선호하는 놀이 대상자 = 42 E. 놀지 않을 때의 활동에 대한 인식 = 43 Ⅴ. 논의 및 결론 = 45 A. 논의 = 45 B.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3 부록 = 59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79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놀이성-
dc.subject놀이-
dc.title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놀이와 일에 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rception of Play and Work of Children According to Playfulness-
dc.format.pageviii, 6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