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사회과의 소비자교육 내용분석과 중학생 소비행태의 조사

Title
사회과의 소비자교육 내용분석과 중학생 소비행태의 조사
Authors
임정원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사회과소비자교육중학생소비행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the concern over gratuitous spending in Korean society has grown because this behavior is spreading from adults to teenagers. In addition, modern society can be represented by the injection of various new goods and services, advertisements which overwhelm the consumer, and its change to a high-information based and laissez-faire credit society in relation to consumptious living. These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ing consumer living; yet, there is no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 for consumer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which detail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Particular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sumer behaviour which focused on the practical aspect in actual consumption living and utilized it as basic data for consumer education. The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the summarized results as follows: Firstly,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makes a point to emphasize theoretical aspect. In contrast, practical aspect are devalued. The consumptious living field should connect pragmatically to obtain positive results from education. Therefore the content's structure must emphasize practical aspect. Secondly, there is doubt that the contents are effective for the actual consumptious living due to non objective and extremely deserved contents. It is required concrete contents to implement positive consumer's role. The results of the questionaire focused on practical aspect the consumption behaviour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The amount of pocket money is related to household income, means of acquiring the funds, and the decision on the amount of money given. It is larger in proportion to higher-income households, unscheduled acquirement of pocket money, and the student's own decision on the amount of money. Consequently, how to reduce expenditure is to decide resonable pocket money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and give a pocket money on schedule. The frequency of pocket money shortage is related to the behaviour of pocket money spending rather than the amount of that so to solve the pocket money shortage it must be required the guidance how to use the pocket money rightfully and properly rather than giving more pocket money. 68.9% of students have the experience that they made pocket money unfairly on unfrankly like claiming the money to buy books school things without actual buying.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part-time job experience and the instruction and guidance is required how to spend the earned money correctly and properly. The behaviour of pocket money spending is related to the plan of pocket money spending and the frequency of pocket money shortage so there are many pocket money shortage cases result from pocket money spending without plan. Consequently, there will be need to guide how to make a good plan for pocket money spending to reduce expenditure. When students buy goods and products it is considered students prefer fashion to utility and take the buying information through family, friend, their own experience and advertisement respectively therefore it will be needed the ability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advertisement provided by mass media. The research shows that checking change and manufacturing date is relatively good. Also it shows that they have a little bit lukewarm attitude in comparative buying, high-priced article preference and well-known brand preference. It is required to have subjective consumption competency because 76.9% of men had an imitate consumption experience. Most of students have a experience with product malfunction, damaged product or un proper service. To response against those cases both male and female they claim exchange, money back or keep it without claim and are not many claim cases through consumer protection agencies. In case of losing personal belongs,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firstly try to find but they give up shortly after, it shows that most of them have very passive attitude to manage their personal belongings.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must contain necessary details for today's actual living and give some assistance to teenager's behaviour feature and actual consumption living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consumer education as follows: Firstly, consumer education in school must be supplemented with contents of consumer's role field which come out through actual consumption living and the contents could be connected with an actual life or a description of an undeniable fact. Secondly, Korea's economy today it is time to require consumption living based on healthy consumer consciousness than ever before so the consumer moral is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student's consumption behaviours. Thirdly, to implement systematic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overlap or sequence between subjects because the consumer education in Korea is implementing through many different subjects or fields also it dose not reflect the overlap or steps between subjects.;최근 우리나라 경제에 만연된 과소비 현상은 비단 경제 능력이 있는 어른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요즘의 청소년들에게서도 엿 볼 수 있다는 데 그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또한 현대 사회는 소비생활과 관련하여 새롭고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의 등장,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광고의 범람, 고도의 정보화와 개방화 신용사회로 이행 등이 가시화되면서 이러한 소비생활에 새롭게 적용해야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교 소비자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과에서 다루는 소비자 교육내용을 이론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중 실제 소비생활로 나타나는 실천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 소비행태를 조사하여 소비자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우선 중학교 사회과에서 다루는 소비자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교육내용은 주로 이론적 영역에 치중하고 실천적 영역은 양적구성이 매우 빈약하다. 소비는 일상적으로 행하는 생활이므로 학습활동이 실제 학생활동으로 이어질 때 교육의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실천적 영역의 내용 구성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둘째, 내용 진술이 추상적이고 지극히 당연한 내용으로 기술되어 실제 소비생활에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내용이 필요하다. 다음으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소비자 교육이 주로 이론 측면에 치중하고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중학생들의 소비행태는 어떤지 실천적 영역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서울시 중학교 3학년 학생 427명을 대상으로 실천척 영역을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여 만든 설문지를 통해 SPSS/WIN을 이용해 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한달 평균 용돈은 남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용돈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만원 이상의 용돈은 남학생이 더 많았다. 용돈 수준은 가계소득, 용돈 수령 방법, 용돈 액수 결정과 관계가 있어 소득이 높은 가정일수록 비정기적인 용돈 수령일수록, 용돈을 자신이 결정할 때 용돈수준이 높아졌다. 따라서 학생과 부모가 합의하여 적정한 용돈을 정하고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는 것이 낭비를 줄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용돈이 부족한 빈도는 용돈 수준보다는 용돈 사용 태도와 관계가 있어 용돈부족은 용돈의 증가로 해결할 것이 아니라 용돈 사용 계획을 통한 계획적인 용돈 관리 지도가 필요하다. 학용품을 산다고 필요이상의 용돈을 청구하는 부당한 방법으로 조달하는 방법은 68.9%의 학생들이 사용해본 경험이 있었다. 아르바이트 경험은 남녀간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경험은 책에서만 배우는 노동의 가치와 돈의 소중함을 배울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전한 용돈 관리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지만 용돈의 사용지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돈 사용 태도는 용돈 사용 계획, 부족빈도와 관계가 있어 용돈 사용계획을 세우지 않을수록 낭비하고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용돈의 낭비를 줄이려면 용돈 사용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상품 구입시 학생들은 실용성보다는 유행을 더 고려하고 구매정보는 가족이나 친구, 자신의 경험, 광고 순으로 영향받는다고 하여 대중 매체에서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판별능력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거스름돈 확인과 제조연월일 확인은 비교적 그렇다고 응답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구입, 고가품 선호도, 유명상표 선호도에 대해서는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고 모방소비에 대해서는 76.9%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체적인 소비능력이 요구되었다. 학생들은 대부분 소비자 피해를 경험했고 이에 대한 대책은 남녀 차이 없이 구입한 곳에서 교환, 환불하거나 그냥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소비자 단체 이용은 별로 없었다. 소지품 분실시 일단은 대부분 찾으려 하지만 꼭 찾는다는 경우는 24.3%에 불과하고 대부분 찾다 없으면 포기한다고 하여 자신의 소지품 관리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소비자 교육내용은 현재의 실제 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다루어야 하고 청소년의 행동 특성과 학생들의 실제 소비생활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위의 조사 결과를 통해 소비자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 소비자 교육내용은 실제 소비생활로 나타나는 실천적 영역의 내용이 보강되고 그 내용은 당위론적, 관념적 내용이 아니라 실생활과 접목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예컨대 용돈의 무계획적인 사용이 낭비와 부당한 용돈 조달로 이어지므로 소비자 교육내용 중 탐구활동에 용돈 사용 계획이나 용돈 기입장 활용 등의 내용이 첨가되면 실생활에 유용할 것이다. 둘째, 오늘날 한국 경제는 어느 때 보다도 건전한 소비의식에 바탕을 둔 소비생활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학생들의 소비행태와 관련지어 소비자 윤리측면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소비자 교육은 여러 과목에서 분산 실시 되고 있기 때문에 과목간에 내용의 중복이나 단계 등을 고려하고 있지 못하므로 소비자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과목간의 중복이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하여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