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의-
dc.creator이현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1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60-
dc.description.abstract제주도는 섬이라는 지리적 환경과 화산활동으로 인한 지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제주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유하고 독특한 문화를 표현하는 제주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를 소홀히 한 결과 다른 문화권과의 차별적 이미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현실을 돌아보면, 디자인 연구·개발을 등한시하여 어느 문화권을 가든지 느끼는 이미지가 대동소이한 실정이다. 더욱이 교통·통신의 발달로 인해 「지구촌」 이라는 말이 성행할 정도로 각국 또는 각 지역의 문화권간 거리가 날로 좁혀져 가는 현실에서, 차별화 되고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 더욱 필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제주에서의 성장과정에서 느낄 수 있었던 감성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획일화된 이미지와는 달리 차별화 된 제주이미지를 표현하고 이를 텍스타일 디자인분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즉, 제주이미지를 대표하는 칼라와 패턴을 연구하고, 착색발염 기법을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시도해보았다. 본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디자인 패션 색채이미지 등 감각적·감성적·개성적 요인이 더 중요시된 타지방과 차별성 있는 디자인 개발에 주력하였다. 둘째, 제주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칼라와 패턴 디자인에 관하여 조사한 후, 제주이미지를 새롭게 표현 할 수 있는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개발해 보았다. 셋째, 작업의 기법적 면에서 섬유위에 염료가 번지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하여 염료와 섬유와의 매개체로서 이염방지의 역할을 하여 염착효과를 높이는 호료를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제주도의 자연적 이미지와 색상의 대비를 충분히 표현하기 위하여 착색발염기법을 선택하였다. 넷째, 위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제주이미지가 반영된 착색 발염기법을 이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수작업을 통하여 12점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디자인개발 단계에서의 칼라와 패턴의 선택은 대중성과 패션 트랜드의 경향에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디자이너가 추구하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소비자의 시선을 모을 수 있는 독창적이고 호소력 있는 텍스타일 개발과, 타 지역 상품과 차별화 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제주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됨을 알게 되었다. 특히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의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시장조사와 수요분석을 통한 칼라와 패턴, 이미지연구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제주를 상징화 할 수 있는 자연물, 인공물 등에서 구체적, 또는 추상적으로 연상되어지는 칼라를 선택하고 이미지에 대한 도식화작업을 통하여 패턴을 연구하여 제주이미지가 선명하게 전달될 수 있는 지속적인 디자인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어느 지역에서나 볼 수 있는 대동소이한 디자인이 아닌 다른 문화권과의 차별적 이미지를 형성하여 제주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고유하고 독특한 상징물들에 대한 도식화작업의 필요성이 인정되었고, 이에 더 많은 패턴 개발과 이미지 전달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작품제작에 있어서 표현기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착색발염의 선택에 있어 어려움도 많았지만 스크린 프린트 디자인과 달리 바탕색과 발색되는 모티브의 관계에서도 오버랩현상과 조인트 라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필요한 패턴과 색을 최대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었다. 작업의 표현 기법으로 선택된 착색발염법은 반복된 많은 실험을 통하여 우연히 얻어지는 현상이 아닌 의도된 디자인과 색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착색발염에서는 탈호성과 발색성의 사전 탐구와 알맞은 조제의 준수, 호료나 발염제의 정확한 파악이 중요하므로 작품제작 이전에 충분한 실험이 필요하였다. 넷째, 제작된 텍스타일 디자인은 대량 생산화 할 경우 상품 디자인에 있어서의 견뢰도, 내구성, 형태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칼라의 변형(color way)과 패턴의 새로운 구성 및 소재변화에 의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나 앞으로 더 많은 이미지 개발을 위한 디자인개발을 통해 타 분야, 특히 관광상품 등과 같은 쇼핑분야에 대한 관심과 조사·연구가 조직적·체계적으로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21C 제주를 대표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있어 작은 밑거름이 될 수 있길 바란다.;With the globalization, we need to develop our peculiar cultural image. Because the image of the certain region can represent the nation as a whole for the foreigner. In reality, there is no such an representative image. Che-ju Island's image is also the same. Due to the geographical features formed by volcanic activities, Che-ju Island has a peculiar image of their own. But There has been no effort to make a special study of such a image. So, Che-ju Island has no differentiated image to the other regions. In that sence, We need to develop our peculiar Che-ju Island's image. My thesis focuses on this need. On the basis of my sensitivity formed in my growth period, I try to express differentiated Che-ju Island's image and adapt it to textile design. That is, I try to find peculiar Che-ju Island' color and pattern and improve textile design through 'colored descahrge dye' technique. The contents of my thesis is as follows. In choosing colors, I chose the ones which can express the natural and soft feeling of Che-ju Island's natural and artificial things, and also express tourist's happy and hopeful emotions. In choosing patterns, I choose Che-ju Island's natural things such as citrus, shellfish etc. To properly express colors and pattern of Che-ju Island's image, I used a coloring tool on the transcription plate to express the image, and also tried coloring technique to transfer the base color to fiber. The texture effect expressed by the transcribing technique was intentionally chosen through a lot repetitive experiments. After examining the future trend of textile design according to '99 S/S trend, I tried to contrast derived colors and patterns of Che-ju Island to it, in order not to be behind the latest trend. As a result, I come to develop unique and appealing colors and patterns which is peculiar to Che-ju Island. But much remains to be done. I only hope my thesis becomes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for the Che-ju Island im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2 2. 제주 이미지 개발을 위한 섬유디자인 현황 = 3 2.1 관광상품 현황 = 3 2.2 섬유를 이용한 관광상품 = 10 2.3 섬유를 이용한 관광상품의 문제제기 = 14 3. 제주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Textile Design) 연구 = 16 3.1 제주 이미지의 칼라(color) = 18 3.2 제주 이미지의 패턴(pattern) = 28 4. 착색발염(Colored Discharge Dye)에 대한 패턴연구 = 32 4.1 착색발염의 일반적 고찰 = 32 4.2 착색발염의 실험 = 41 5. 작품제작 및 분석 = 47 5.1 작품제작 의도 = 47 5.2 작품분석 = 54 6. 결론 = 85 참고문헌 = 89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032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제주이미지-
dc.subject텍스타일-
dc.subject디자인-
dc.subject착색발염-
dc.title제주이미지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착색발염 기법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직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