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실내환경디자인에서의 한국성 표현에 대한 방법적 모색과 공간 작법에 관한 연구

Title
실내환경디자인에서의 한국성 표현에 대한 방법적 모색과 공간 작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findings on expression of Korean qualities and spatial arrangements in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 a case for an interior of a musium
Authors
신서영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실내환경디자인한국성표현공간 작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은 역사를 통하여 각 시대를 걸쳐서 전승되어 내려오는 한 지역의 사회적 집단인 민족이 갖고 있는 문화적 특성을 말한다. 문화의 내용에는 인간의 행동과 인간의 행동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산물이 포함 되며, 문화는 인간과 사회가 존속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수단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축공간이란 일종의 문화적 표현방식이라는 합의 아래 한국 전통 건축과 현대 건축 공간으로 구현된 한국성을 고찰하고 있다. 또한 공간 속에 나타난 한국성의 표현적 특성을 매개로 하여 실내 공간에 한국성을 구현하는 방법론적 고찰을 더하고 있다. 196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전통성 표현에 대한 시도는 그후 계속된 기념적 공공 건물에 있어서 민족 주체성의 확립이라는 문제의식과 더불어 민족문화의 수립과 건축에 있어서의 민족형식의 구현이라는 관주도의 문화정책에 따라 전통 논의의 형태를 띠고 나타났다. 전통이라고 하는 것이 문화의 민족성을 이루는 중요한 근거가 되기는 하나 그 자체가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어떠한 흐름을 일컫는 범주로서의 개념이라고 한다면 이는 문화의 민족성, 전통성이라는 주제의 하위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 논의는 그 출발에서부터 일정한 제한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1966년 '구국립중앙박물관'과 1967년 '부여박물관', 그리고 최근의 독립기념관과 예술의 전당 등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전 통성의 해석과 그 표현 결과, 전통표현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하여 심각한 견해차가 일어난 바 있으며, 이러한 논쟁은 아직도 그 해결책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에게 있어서 전통성 표현과 관련되어 남아 있는 과제는 전통의 실체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떠한 방법으로 전통의 맥을 수용하고 계승, 표현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인식함에 따라 우리조상들의 미의식과 거기에 내재하는 전통적인 한국조형언어를 추출하고 이를 현대적인 표현과정을 통해 재창조하여 적용, 응용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표출해 내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에 따를 표현 방법으로 '제주 민속 자연사 박물관' 을 선정하여 여러 가지 차원의 접근방법을 통해 한국 전통 조형 언어가 현대의 공간 속에 어떤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현재까지 건축과 디자인을 포함한 각 계에서 진행되어 온 전통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전통에 대한 올바른 개념 이해를 도모하고, 현대의 건축과 실내건축에서의 전통계승 또한 그러한 '한국성'의 표현이라는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함께 방법론적 모색을 거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과정의 내용에 대해 개념적으로 기술,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은 한국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로 '한국성'에 대한 용어 정의와 함께 한반도의 풍토적 특성과 유,불,선의 사상적 배경을 가지고 형성된 한민족 고유의 미의식과 그에 따른 미학적 이해의 개념적 접근을 시도한다. 3장에서는 전통공간에 나타나는 한국성의 표현과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 방법적 편의를 위하여 공간을 크게 입지선정과 배치의 특성, 공간적 특성과 시지각적 특성으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부분에서 나타나는 한국성의 표현 특성을 다시 분류하고 있다. 4장에서는 전통공간과 형식이 완전히 달라진 오늘날의 현대공간에 지속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한국성의 표현에 대해 살펴보고 그 한국성 수용방법으로 형태적 재현, 원용과 변용과 개념의 추상화로 고찰, 사례 조사로는 공간적 개념의 추상화, 공간적 기법의 재현, 의장요소에 대한 개념적 추상화, 의장요소에 대한 형태적 재현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앞서 살펴본 한국성 표현특성을 5장에서는 구체적인 디자인 사례에 적용하는 단계로서 대상지를 '제주도 민속자연사 박물관'으로 정하고 지금까지 앞에서 설명한 한국성 표현특성에 입각하여 디자인을 위한 개념 설정과 목표, 전개과정을 제시하고 한국전통성의 현대적 접근을 위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통해 실내 적용방안을 계획하여 박물관의 특성에 따른 한국적 전통성을 부여하고 디자인을 계획한다. 문헌이나 자료를 통한 전반적인 이론의 배경에 따른 계획방법의 적절한 적용과 디자인 과정 및 방법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실제 공간에 전통요소의 적용에 따른 질적 향상 및 연구의 학문적 가치를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Tradition" is defined as cultural qualities of a regional social group-a race, which i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rough history. It's contents include human behaviour as well as all the outcomes from the human behaviour and a culture is materialized by means of fullfil fundamental aspiration, in order to co-exist human being and society. This research has considered an architectural space which both show a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modem architectural space, including Korean nature under a sort of cultural expression. Also, expressive qualities which are shown within a space as a medium, there is more consideration of method to embody Korean nature into an interior space. Trial to express traditional qualities which is started from early 19so's and after that it is continued and expressed in memorial public buildings with establishment of racial independence and cultural embodiment of racial formality on architecture. Tradition becomes a significant evidence which forms racial qualities of culture, but if itself is a notion as a category which is continued from the past, this is to be looked as subordinate notion with subject to racial quality of cultural aspects and tradition. If so, our traditional discussion has regular limitations from its start. As it is expressed in 'Old National Musium' in 1966, 'Bu-Yoe Musium', the most recent Memorial Musium of Independence and performing Art Center, there was a collision of opinion about the needs and values of traditional expression after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qualities and its expression. However, its solutions are still not found yet. There is a subject related to traditional expression of what the real essence of tradition is.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what the method of expression is in order to accomodate, inherit and express the pulse of tradition. As such problems are recognized, there is an aim to draw traditional Korean modeling language inside aesthetic recognition of our ancient. As a method of expression, 'Che-Ju Folk Natural History Musium' is chosed and verified how traditional modeling language can be embodied into a modem space through many different dimensions of approaches. In order to do this, this research includes architecture and design so far and through consideration of all the traditional discussions, promote right understanding of notion. And such problems on expression of "Korean Qualities" will be searched with right recognition. For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conceptually like the followings. Firstly, in chapter two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Korean qualities, there is a trial of inherence of aesthetic recognition of one nation which has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ideal backgrounds of confucianism, budihism and taoism. On chapter three, there is a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spartial expression of aesthetic recognition which is expressed in Korean traditional space. For the convenience of method, i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exterior space, architectural space and interior space, and from each part,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qualities are classified again. On chapter four, modem space nowdays has changed in its formality compared to traditional space and an expression of Korean qualities has examined which is continuously accomodated into modem space. In it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heses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symbolical, sculptural and designing. Symbolical dimension is sensitive, and for cultural aspects, mostly atmosphere and imagery are embodied and emphasized. In order to embody into modem space, spartial dimension has applied a lot of methods which can be seen in traditional space, such as continuation, medium, space for procession and so son. Sculptural dimension is application of aspects of figures into modem space in methods of borrowing, reinterpretaion and abstract paintings which can be seen in a traditional space. Designing dimension is application of material, colors, patterns of designing and decorative aspects. As you can examine in chapter five, it is a step to apply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Korean qualities. As followings, development process of designer's thoughts and relationship of each stage of expressional techniques are to be shown. "Che-Ju" Folk Natural History of Musium is chosen for a design case and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contents for its appl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