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수원-
dc.creator최수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20-
dc.description.abstractIn modern society where learning and technology radically advance,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the literature for studying is raising its nead as an important task. Especially, the subjects treated in the same field are being continuously studied with similar contents because of not enough information on precedent studies, so rearranging the contents of precedent studies is very necessary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 In this study, I collected and divided Korea's master's degree thesises related to singing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since 1990 into major items, and made an external analysis and contents summary, dividing analysis unit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contents of the stud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topic on the future singing education by giving correct and systematic information to the researchers in singing field. Most of precedent studies consist of external analysis with the subject of the title of thesis. However,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takes a general view of collected studies and makes superintendenc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tudies. In theoretical background, I examined cotent analysis as a study method, and grasped the precedent study objects generalizing each music education field's master's degree thesises. Also, I sum- and arranged the literature on the importance of singing education. After dividing 33 thesises on singing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submitted since 1990 into thesises on 'text analysis', 'singing instruction' and making superintendence with them, I made an external summary and analysis with the subject of submitted year and place. First, there were total 13 thesises on text analysis, and most of the composition of the thesises were similar but different researchers. Textbooks are an important learning material used by both students and teachers. I hope there should be materials which can directly help revise the future curriculum by analyzing textbooks with the new point of view. Second, 20 thesises on singing education are divided into thesises on effective singing teaching, singing teaching in the age of the change of singing, the present situation of singing education, and the suggestion of singing teaching lesson plan. These thesises deal with how to correctly do singing teaching, but over all they were focused on the literature rather than useful contents adaptable to real singing teaching. Accordingly, studies which can give help to actual lesson are needed The thesises on singing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submitted since 1990 are pointing out that singing education actually occupies the most of music class. Teachers who don't recognize the value of music are often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students enjoy and are good at singing, but today's music education schould be more comprehensive education which can raise not only singing ability but also general music ability. I hope the arrangement of precedent thesises on singing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made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future singing education.;학문과 기술이 급진적으로 발전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학문 연구를 위한 문헌 정보의 체계적인 정리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선행 연구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같은 분야에서 충분히 다루어진 주제들이 비슷한 내용으로 계속해서 연구되고 있으므로 선행 연구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은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 중ㆍ고등학교 가창 교육과 관련된 1990년 이후의 한국 석사학위 논문을 수집하여 중심이 되는 항목으로 분류하고, 논문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분석 단위로 나누어 외형적인 분석과 내용 요약을 한다. 이 연구는 가창 분야의 연구자에게 선행 연구물에 대한 올바르고 체계적인 정보를 주어, 앞으로 가창 교육에 관한 논제의 선정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들은 논문 제목만을 대상으로 한 외형적인 분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수집한 각각의 논문을 개관하여 논문의 내용에 근거하여 총람을 작성 한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인 내용 분석법에 대해 조사하였고, 음악 교육 각 분야의 석사 학위 논문을 종합한 선행 연구물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가창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문헌을 요약ㆍ정리하였다. 1990년 이후에 제출된 중 ·고둥학교 가창 교육에 관한 논문 33편을 '가창 교재(교과서) 분석'에 관한 논문, '가창 지도'에 관한 논문으로 나눈 후에 총람을 작성하고 학위 수여지와 제출 연도를 대상으로 외형적인 분석과 내용 요약을 하였다. 첫째, 창 교재(교과서) 분석에 관한 논문은 모두 13편이며, 대부분 연구자의 이름만 다를 뿐 구성은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교과서는 전국의 학생들과 교사들이 함께 사용하는 중요한 학습 자료이므로, 좀 더 새로운 시각에서 교재를 분석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했으면 한다. 둘째, 가창 지도에 관한 논문 20편은 효율적인 가창 지도법에 관한 논문, 변성기의 가창 지도법에 관한 논문, 가창 교육의 실태에 관한 논문, 가창지도 수업안 제시에 관한 논문으로 나우어진다. 이 논문들은 결국 가창 지도를 바르게 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실제의 가창 지도에 도움이 되는 내용보다는 문헌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실제의 수업 현장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1990년 이후에 제출된 중ㆍ고등학교 가창 교육에 관계된 논문들은, 실제의 수업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가창 교육임을 지적하고 있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교사는 흔히 학생들이 즐겁고, 유창하게 노래부른다는 사실에 만족하지만 오늘날의 음악 교육은 노래 부르는 능력만을 길러 주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음악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포괄적인 음악 교육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작성한 중ㆍ고등학교 가창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물들의 정리가 앞으로의 가창 교육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내용 분석법 = 6 B. 선행 연구 = 10 C. 가창 교육의 중요성 = 13 Ⅲ. 중·고둥학교 가창 교육 관련 논문의 총람 및 외형적 분석 = 16 A. 논문의 총람 = 16 B. 외형적 분석 = 22 Ⅳ. 석사 논문의 내용 분석 = 25 A. 가창 교재(교과서) 분석 = 25 B. 가창 지도 = 35 Ⅴ.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50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26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고등학교-
dc.subject가창-
dc.subject교육-
dc.subject석사학위논문분석-
dc.title중ㆍ고등학교 가창 교육에 관한 석사학위논문분석 (1990-1997)-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master's degree thesises related to singing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1990~1997)-
dc.format.pagevi, 5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