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辛演珠-
dc.creator辛演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77-
dc.description.abstractAffected by inner and external factors, human values are changeable. With economic growth, technical innovation, development of mass media, expansion of education and the absence of total war for almost fifty years, people in the 1990's live in remarkable affluence and peace. Change of environment could be the source of changing values. Most of all freedom from poverty and physical threat enables people to give increasing emphasis to higher types of needs like love, belonging, esteem, and intellectual and aesthetic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is changing of value priorities is occurring in the transition from Materialist values, which place emphasis upon economic stabilization and physical security, toward Post-Materialist values which stress self-expression and a greater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young generatio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measures the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influences on democratic development. The meaning of democracy is politics by the people, and the principles of it are based on individual, political freedom and equality. Therefore, social members participate in politics with a democratic attitude, noble character and an ability as democratic citizen. According to Ronald Inglehart, a professor of University of Michigan, Materialists give top priority to items like a stable economy, economic growth, fighting rising prices, strong defense forces, fighting crime and maintaining order, Post-Materialists prefer more personal society, more say on the job, community in government, protecting nature from pollution, the importance of ideas and free speech. Thus, Materialist values reflect a relatively strong attachment to maintaining order and preserving economic gains and Post-Materialist values emphasize individual self-expression, achieving more participation, and a greater quality of life. So, it is forecasted that Post-Materialists could affect the process are of democracy. To examine this hypothesis, first, the value types of students are measured according to Inglehart's indicator, and then how Materialists differ from Post-Materialists in democratic attitude--tolerance, trust, compromise and political efficacy---and political disposition-a degree of issue-oriented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s t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aterialists and Post-Materialists show differences in democratic attitude. First, Post-Materialists are more tolerant of minority opinions and alienated classes like criminals, alcoholics, mental patients, foreign laborers, homosexuals and AIDS patients than are Materialists. Second, Post-Materialists are less trustful of a political regime and its power elite but more trustful of people. Third, Post-Materialists are more positive to compromise with <. people with a different opinion and truth. Lastly, Post-Materialists have higher political efficacy to the power elite and operation of society. To sum up, first, Materialists have a high democratic attitude relativ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s like tolerance and compromise but not people who are disadvantaged in this society like the alienated classes Post-Materialists have a more democratic attitude than Materialists do. Second, Post-Materialists are more critical of the polity at large. Finally, Post-Materialists have higher political efficacy to operation of society than the power elite. Because of the lack of confidence in a political regime and its power elite, the belief that statesmen would listen to people's opinions is low, so they expect to influence the operation of society in other channels. Therefore, Post-Materialists are in more pursuit of humanity, more critical to the political regime and its power elite and more confident of political process. 2) Materialists and Post-Materialists show differences in political disposition. First, Post-Materialists are more issue-oriented than Materialists, especially in post-material issues lik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the role of women and so on. Second, Post-Materialists have a desire for more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Materialists do. Materialists also pursue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TV, newspaper and conversation, have a high will to participate at voting but low at party activity, contribution to the press, and demonstration. So, Materialists have a high intention in case of passive participation comparatively, but the more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type needed, the weaker Materialists' will to participate is. As mentioned above, Post-Materialists have a more democratic attitude, are more issue-oriented to items related to a higher quality of life and more participatory. So we can come to this conclusion: Post-Materialist values contribute a positive influence on democratic development in our society.;인간의 가치를 여러 가지의 내적·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으며, 변화 가능한 대상이다. 우리 나라는 경제 성장과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매스 미디어의 보급 그리고 교육 기회의 증가 등으로 1990년대에 이르러는 놀라운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게 되었으며, 특히 1960년대 후반부터 꾸준한 경제 성장과 함께 한국전쟁 이후 거의 반세기 동안 지속되어온 평화는 편안하고 안락한 생활을 누릴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물질생활의 풍요, 생활에서의 편리, 풍부한 정보, 교육의 확대 그리고 전쟁의 공포로부터의 해방과 같은 환경적의 변화는 사람들의 가치관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는데, 무엇보다도 배고픔과 신체적 위협으로부터의 해방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 이상의 가치들을 추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가치의 변화는 역사적으로 가장 풍요한 성장기를 보낸 오늘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가치 우선 순위에 있어서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는데, 물질적인 복지와 신체적 안전을 중요시하는 물질적인 가치로부터 자기 표현과 더 높은 생활의 질을 중시하는 탈물질적인 가치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의 대학생들이 과연 어떠한 가치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실제로 이들이 탈물질적인 가치를 더 선호하고 있다면 이것이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의 발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민주주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보다도 정치 과정에 관한 것으로 한 사람에 의한 정치의 독점을 반대하고 다수에 의한 정치, 즉 민중에 의한 정치를 의미한다. 그런데 민주주의는 이러한 정치과정으로서의 요소뿐만 아니라 정치원리 즉, 내용면에서도 개념 정의에 포함되어야 하는데, 정치 원리로서의 핵심 개념은 정치적 자유, 개인의 존엄성, 법 앞에서의 평등, 양도할 수 없는 어떤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는 이념에 기초하고 있다. 때문에 민주 정치는 사회 구성원들이 민주시민으로서의 일정한 덕성과 능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즉 일반 대중들이 민주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고,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정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미시건 대학의 잉글하트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물질주의자들은 경제성장, 물가안정, 강력한 국방력 그리고 사회 질서 유지 둥과 같은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며, 탈물질주의자들은 환경개선, 언론의 자유, 인간적인 사회로의 발전 그리고 정치 참여의 확대 등과 같은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다. 즉, 물질주의자들은 질서 유지와 경제적 이익에 비교적 강한 집착을 나타내는 반면, 탈물질주의자들은 개인의 자기 표현과 더 많은 정치 참여 그리고 보다 나은 생활의 질을 중요시여기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탈물질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치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를 측정하기 위해 잉글하트가 고안한 12개의 문항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가치유형들이 민주적 태도와 정치 참여에 나타내는 성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민주적 태도에 대한 물질주의자와 탈물질주의자의 입장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관용적인 측면에서 탈물질주의자들은 물질주의자보다 소외계층과 소수의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 포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는데, 소수의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물질주의자들도 비교적 관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두 번째, 신뢰의 태도에 대해서는 탈물질주의자들은 이웃에 대하여는 물질주의자들보다 높은 신뢰의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정부기관과 정치 엘리트에 대하여는 물질주의자보다 강한 불신의 태도를 갖고 있다. 세 번째, 타협에 대한 태도에서 탈물질주의자들은 물질주의자들보다 보다 높은 타협의 태도를 지니고 있는데, 물질주의자들도 역시 타협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정치적 효능감에서는 탈물질주의자들이 물질주의자들보다 높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는데, 정치인에게 보다는 사회의 운영에 대한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사항을 다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물질주의자도 주위사람들과의 관계에서는 비교적 민주적인 태도가 높다. 즉 자신에 속한 집단내에서 소수의견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 주위 사람들에 대한 인간적인 신뢰 그리고 이들과 의견 차이가 발생했을 때 타협하려는 태도가 높다. 그러나 소외된 계층과 같이 사회에서 냉대를 받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탈물질주의자들이 물질주의자들보다 훨씬 높은 관용성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 물질주의자와 탈물질주의자 모두 정부기관과 정치 엘리트 모두에게 불신감을 나타내고 있으나, 탈물질주의자들이 물질주의자들보다 더욱 강한 불신을 나타내고 있어 이들이 정치 전반에 매우 부정적인 비판을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탈물질주의자들은 물질주의자들보다 높은 정치적 효능감을 보이고 있는데, 이들은 정치인에 대한 효능감보다 사회의 운영에 의한 효능감이 높다. 즉 정치인에게 자신들의 의사가 반영되리라는 생각보다는 사회의 운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더 강하다. 즉 탈물질주의자들은 정부 기관과 정지 엘리트에 대한 낮은 신뢰로 인하여 정치인이 자신들의 의견을 수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낮으며, 따라서 다른 경로를 통하여 사회의 운영에는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갖고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치에 참여에 있어서 탈물질주의자들이 물질주의자들보다 정치적 사항들에 대하여 더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외교역량, 부정부패 척결과 같은 물질적인 성격의 쟁점들에 대하여는 물질주의자들도 높은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런데 물질주의자들과 탈물질주의자들은 탈물질적인 쟁점들에 대해서 그들의 인식의 차이를 선명하게 보이고 있는데, 물질주의자들은 여성문제, 의약·보건문제와 같은 탈물질적인 쟁점들에 대해서는 그다지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정치 참여 성향에서는 전체적으로 탈물질주의자들이 물질주의자들보다 정치 참여의 의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정치 참여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 신문 읽기, 뉴스보기 그리고 친구와 정치에 관한 대화와 같은 소극적인 참여에 대해서는 물질주의자들도 참여의 의사가 높다. 두 번째, 정규적인 참여에서 가장 보편적인 행위인 투표 참여는 물질주의자도 높은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으나, 보다 높은 정도의 참여를 요하는 정당 및 정치조직 가입과 선거활동과 같은 경우 물질주의자들의 참여 의지는 낮다. 세 번째, 비정규적인 참여에 대하여 물질주의자들의 참여 의지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적극적인 참여를 요하는 시위 참여의 경우 이러한 입장 차이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위의 결과를 정리하면 정치 참여에 있어서 참여의 정도가 높은 것일수록 물질주의자와 탈물질주의자간의 참여의 의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적극적인 행위를 요하는 정치 참여의 유형일수록 물질주의자들의 참여의 의지는 낮아지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탈물질주의자들은 좀 더 민주적인 태도를 갖고 있으며, 이들은 더 나은 생활의 질과 좀 더 많은 자기 표현을 추구하면서 정치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탈물질주의자들이 많아진다고 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표차례 = ⅲ 국문초록 = ⅳ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대상과 방법 = 5 Ⅱ. 가치의 유형 = 8 A. 가치유형의 이론 = 8 B. 가치유형의 측정 = 16 Ⅲ. 이론적 배경 = 20 A. 민주주의의 의미와 성립조건 = 20 B. 민주적 태도 = 25 1. 민주적 태도의 의미 = 25 2. 가설의 설정 = 31 B. 정치참여 = 33 1. 정치참여의 의미와 조건 = 33 2. 정치참여에 있어서의 변화 = 39 3. 가설의 설정 = 43 Ⅳ. 민주적 성향의 척도에 대한 타당성 검증 = 46 A. 민주적 태도의 척도에 대한 타당성 검증 = 46 B. 정치적 쟁점 사항의 척도에 대한 타당성 검증 = 49 C. 정치참여의 척도에 대한 타당성 검증 = 51 Ⅴ. 민주적 성향에 대한 결과 분석 = 53 A. 가치유형과 민주적 태도 = 53 1. 관용에 대한 태도 = 53 2. 신뢰에 대한 태도 = 58 3. 타협에 대한 태도 = 64 4. 정치적 효능감에 대한 태도 = 66 B. 가치유형과 정치적 쟁점의 추구 = 69 1. 투표이슈들에 대한 성향 = 71 2. 조직활동에 대한 성향 = 74 C. 가치유형과 정치참여의 성향 = 76 1.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른 성향 = 77 Ⅵ. 결론 = 83 참고문헌 = 87 ABSTRACT = 91 설문지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06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대학생-
dc.subject가치관-
dc.subject민주주의-
dc.subjectValues-
dc.title韓國 大學生의 價値觀과 民主主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alues and Democrac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dc.format.pageviii, 10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