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인숙-
dc.creator강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5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2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24-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 적용해 오던 전통적인 학습 방법은 주로 경쟁학습 방법이었다. 그러나 경쟁학습은 학생들 사이에 지나친 경쟁의식과 패배감에서 오는 학습 의욕 상실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나면서 비판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학습 풍토에서 학생들이 겪게 되는 긴장과 학습 불안을 줄이고 모든 학생, 특히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들이 어느 정도의 성공감을 갖고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학습 기법 중의 하나로써 협동학습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의 과학 「Ⅳ.전기와 자기」 단원 중에서 전기에 관한 내용에 대하여 협동학습을 위한 학습지를 개발하고 수업에 도입한 후, 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협동학습의 효과에 남녀 성차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 소재의 N 중학교의 2학년 중에서 과학 학습 태도와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2개 반을 선택하여 실험집단 1개 반에는 협동학습에 의한 수업을 하였고 통제집단 1개 반에는 교사의 강의 중심인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7주간의 수업실시 후, 과학 학습 태도 변화와 과학 성취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학습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전반적인 과학 학습 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세부적인 태도 변화에서 실험반 학생들이 통제반 학생들보다 수업 중에 지루했었다는 반응이 줄었으며, 실험반은 수업 중에 소란스러움을 훨씬 더 많이 경험했다. 또한, 동료와의 학습 시 학생들 자신의 태도 영역에서는 수업실시 후에 실험반은 통제반에 비해서 분단실험에 참여하는 태도를 더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05).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관한 태도는 수업 전과 후에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실험반과 통제반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 학업 성취도 면에서는 실험반과 통제반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협동학습 효과에 있어서 학업 성취도 면에서는 남녀 성차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과학 학습 태도 면에서는 남학생들은 협동학습 후에 교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가 증가하였고(p<0.05), 여학생들은 동료끼리 해결하려는 태도가 증가하였다(p<0.05). 마지막으로 협동학습 후의 소감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교우관계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주었으며, 협동학습의 좋은 점으로 '친구와 친해진다', '공부가 잘 되고 이해가 잘 된다', '토론하며 서로의 의견을 나눌 수 있어서 좋다' 등을 들었고, 협동학습의 나쁜 점으로 '너무 소란스러워서 집중이 어렵다'가 압도적이었으며 '좌석배치를 바꾸기가 귀찮다', '친구들이 잘 참여하지 않아서 재미가 없다' 등을 들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과 협동학습 내에서 여학생과 남학생의 문제 해결 방법에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기간에 협동기술에 대한 사전 훈련이 없이 적은 수의 연구대상을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앞으로는 학습자의 능력수준이나 성차, 지능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차이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탐색해 보는 연구와 학습자에게 협동기술에 대한 사전 훈련을 충분히 거친 후에 협동학습의 효과를 분석하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cience class using cooperative learning over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ex differences of i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second year 79 students of two classes on a middle school in seoul, experimental group 39 and control group 40.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chapter 'electricity and magnetism'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was reconstructed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lessons using cooperative learning(STAD; Student Team Achievement Division) were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ones were performed in the control group for 7 weeks, from October 10 to November 28, 1997. Before the class, pretests about learning attitude and scholastic achievement in 'science were given and questioning about cooperative learning and posttests were administerd after the class.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t-test and ANCOVA, were performed by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arks between the students who traditional lessons and the students who took the lessons using cooperative learning(STAD) in the learning attitude. But in particular, in the aspect of students' attitude on group laboratory work,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more effective in changing student's attitude more actively (p<.05). However, in the aspect of students' problem solving style about the difficult on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st scores (p>.05). 2.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improving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p>.05). 3. There was no sex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in learning attitude , males had a tendency to ask his teacher about difficult problems(p<.05). While, females had a tendency to ask her peers (p<.05). 4.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l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good in becoming more friendly with peers, being more comprehensible and being able to discuss . But they told that it was not good in causing excessive noise, being annoyed in changing their seats, and some peers' only copying without participations in less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3 3.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협동학습의 개념 및 특성 = 4 B.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 18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2 A. 연구 방법 = 22 B. 연구대상 = 23 C. 검사도구 = 23 D. 연구절차 = 2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2 A. 과학 학습 태도에 대한 결과 및 논의 = 32 B. 과학 학업 성취도 결과 및 논의 = 45 C. 협동학습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에 대한 결과 및 논의 = 48 D. 협동학습 후의 소감에 대한 결과 및 논의 = 52 Ⅴ.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2 부록 = 73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370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협동학습-
dc.subject중학생-
dc.subject과학-
dc.subject학습태도-
dc.subject학업성취도-
dc.title협동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1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