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순미-
dc.creator배순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5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18-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과학과 기계 문명의 발달로 이루어진 대량 생산의 산업 구조는 획일적 생활 양식, 개성의 정체감 형성과 같은 사회 현상을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산업주의적 특성에 반기를 들면서 사회 일각에서는 인간의 감성과 개성을 존중하며 좀더 독창적이고 독특한 문화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우리 고유의 민족혼이 서려 있는 훌륭한 문화 유산이 많이 있다. 이러한 전통 문화를 계속 유지·발전시키면서 새 시대의 감각에 맞도록 재창조하고 재정립해 나가는 것이 범람하는 외래 문화 속에서 우리의 뿌리를 지키고 민족의 주체성을 살리는 방법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현대 복식에 우리의 전통 문화를 도입한 독특하고 개성적인 복식의 창조는 이 시대의 사회 문화적 요구에도 부합될 뿐 아니라, 다변하는 국제 사회 속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안으로 떠오를 수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 문화적 요구와 흐름에 따라 한국전통매듭의 기법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을 응용하여 현대 복식에 접목시킴으로써 가장 세계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연구의 범위는 조선 후기 이후의 문헌, 사진 및 박물관에 소장된 고전 작품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자료 및 작품을 대상 범위로 삼았다. 연구 방법은 상기 자료의 수집, 이론적 고찰 및 조사·분석하고 실연을 통해 실습 후 이를 토대로 하여 한국전통매듭을 응용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한국전통매듭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고, 전통매듭의 일반적 고찰로써 한국전통 매듭의 재료와 색, 형태와 종류 및 용도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전통매듭의 조형적 특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매듭을 응용한 현대 복식 디자인의 사례를 들어서 한국전통매듭의 현대적 감각에 있어서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은 전통매듭 기법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이루어졌고 수공예적인 섬세함과 고급스러운 복식 구성에 초점을 두었다. 작품 제작 방법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두 가닥으로 짜는 전통매듭법만으로는 옷의 구성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매듭의 실로 연결된 여러 개의 문양을 실크 공단 위에 올려놓고 여러 개의 매듭 문양으로 연결된 실을 하나씩 세로 줄로 배열하여 꿰매거나, 단일한 문양으로 만들어서 실크 공단 위에 배열하여 제작함으로써 서양 복식에서의 레이스 효과를 주었다. 매듭의 소재에 있어서 다회(매듭실)는 폴리에스텔 실과 전통 매듭실인 견사를 함께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전통매듭도 서양 매듭과 같이 종적 및 횡적 연결을 가능케 하여 복식을 만들 수 있는 천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대 복식에 전통매듭을 도입하여 폴리에스텔 실의 매듭과 공단 실크의 광택의 조화로 인해 서양의 레이스 효과를 냄으로써 고급스런 복식 분위기를 창출해 낼 수가 있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셋째, 매듭 실 소재에 있어서는 주로 전통적인 매듭실인 견사로 맺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와 견사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견사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종류의 소재들을 사용해도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매듭실은 견사로 매듭을 맺어야 한다는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 매듭실 소재가 다양할 수 있으며 소재에 따라 연출되는 분위기 또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넷째, 한국전통매듭의 현대적 응용 기법을 통해 복식 디자인에 있어 전통매듭의 현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독창적이고 동서양이 조화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알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전통매듭의 현대 복식화는 국제 무대에서 주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세계화에 응용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전통매듭은 한오라기의 끈목으로 엮기 때문에 크기의 제한이 있고, 맺는 방범이 복잡하다. 이와 같은 한계점은 본연구를 위시해서 앞으로 더욱 연구 노력하여 개선하여야 할 점이다. 또한 한국전통매듭의 현대적 응용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소재의 다양한 기법들이 창출됨으로써 한국의 전통미를 이용한 한국 복식이 국제 무대에서 각광받을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생각된다.;Modern society have been developed into many varieties due to the rapid growth in science and mechanical civilization but also respected to individual personality and sensitivity of human being who have antiindustrial specificity and changed to more specific and creative life style than uniformly one. We have possessed good traditional cultures which is contained, native conciousness and must recover our independent racial characteristics by making recreate new-time senses for manufacturing and developing of this traditional cultures. Now-a-day, our traditional cultures are regressed progressively, especially, it appears more c1early in custume-cultures. So, as we adapted our traditional culture to the modem custume, style, we creat specific, personal and initiative custume, and it is the manner of having competition in this world-wide times. Korean Mae-Dup has a charmness, worth-wise looking,solitary grace-ful beauty , many essential type and beautiful color dues. Superiority .of Korean MaeDup is excellent to, fibric industrial making of other countries. The Three oriental countries of Korea,China,Japan made and used knots but their uses and composition are so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Compare with these,the Korean knots have its own unique formative element and specific beauty. The Mae Dup, Korean traditional knots cannot be learned from historical documents and material, but handed down literally through generations of Korean men and women over the centuries. The cord, called Dahye in Korean Mae Dup, ornamental knot,were used in old cloth to ornament traditional dress and ritual objects. Especially, during the choson dynasty period(1392~1910), the cord, knot and tassel were such indispensable item for daily use. Today, Fashion industry is a sencial industry which trend to individualization and fashion designer must show to future fashion trend as a creating course which is satisfactory for desire of time and should try to create of new idea which is satisfactory for interest and desire of fashion. So, Korean knot, Maedup is a unique thing which is all satisfactory for fulfil of aged, Korean vernacular and international desire of modern fashion industry. The aims of this study are conjoint of the our native internal beauty and formative nature of traditional knots to modern custome and offering the possibility to expression for modern custome, basis on the our traditional culture in international fashion markets. For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author involved consideration from various angle, especially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form, type, and formative specificity of traditional knots,MaeDup. Also, study on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knots which expressed at the remaining ancestor's cultural property. And my eight manufactures are consist of Haute Couture-like high valued using to Korean traditional knots which adjust formative beauty and actual functions. On the basis of this,the author has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of follows. First, our traditional beauty conciousness has been come from nature and concerned to own life. It has been expressed throughout the our traditional knots, Mae Dup and we know it from traditional knots. Second, offered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of ornamental and traditional knots to modern custome by reconstruction. Third, according to modern individualized ages, attempt the harmony of Korean vernacular formative beauty to customal function. As the above, the study try to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actual custome design by adjust Korean vemamental traditional and for mative beauty to modera cust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2 1.2. 연구 방법 및 범위 = 3 2. 이론적 배경 = 4 2.1. 한국전통매듭의 역사 = 4 2.2. 한국전통매듭의 일반적 고찰 = 14 2.3. 한국전통매듭의 조형적 특성 = 48 2.4. 매듭을 응용한 현대 복식 디자인 = 57 3. 작품 제작 = 68 3.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 68 3.2. 작품 및 작품 해설 = 71 4. 결론 및 제언 = 133 참고문헌 = 135 ABSTRACT =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937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한국전통매듭-
dc.subject복식디자인-
dc.subject조선후기-
dc.title한국전통매듭을 응용한 복식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선 후기의 한국전통매듭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Design used of Traditional Knots In the centering of the Method of Traditional Knots-
dc.format.pagexi, 13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