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정아-
dc.creator윤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4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을 통하여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들에게 사회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그 내용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지식을 알아보고 교사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은 어떠한가? 2.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종속개념은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들이 강조하는 사회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2급 정교사 20명과 1급 정교사 20명으로 총 40명 이었다.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념도를 사용하여 내용 분석을 하였다. 또한 유치원 교사들이 강조하는 사회교육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 사회생활 영역의 내용 체계로 질문지를 구성하였으며 5점 척도로 각 문항의 평균 점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개념도에서 총30개의 상위개념을 사용하였으며 교사들 40명중 37명(92.5%)의 교사가 상위개념으로 '나'를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 것이 '기본생활습관(85%), 지역사구(52.5%), 가족(47.5%)'순으로 나타났다. 상위개념을 사회성, 사회과학, 생활주제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 전체 상위개념 중 59.3%가 생활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32.1%가 사회성과 관련된 내용이고, 사회과학과 관련된 내용은 단지 8.6%였다. 이와 같은 상위개념중 많은 빈도수를 기록한 10개의 상위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나'(92.5%)와 '기본생활습관'(85%)을 상위개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그 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와 위계는 높지 않게 나타났다. 특히 '기본생활습관'은 위계에서 낮은 순위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기본 생활습관'과 관련된 내용이 일상생활에서의 실례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반면, '집단생활, 우리나라, 더 넓은 사회'는 상위개념으로 사용되어진 빈도는 높지 않게 나타났지만 위계와 종속개념수, 특성점수에서 모두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즉 이 결과는 주제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교육내용 결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2. 교사들은 개념도에서 총 812개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같은 개념을 표현하는데 비슷한 용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개념도에서 많이 사용된 상위개념중 '나', '기본생활습관', '지역사회', '가족', '친구'를 중심으로 2수준의 종속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은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을 종속개념에서 거주 포함시키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개념까지 연결시켜서 다루고 있었다. 3.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사회생활 영역의 내용 중 '더불어 사이좋게 지내기(4.88), 질서를 지켜 행동하기(4.75), 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4.75)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내용의 실시정초는 '더불어 사이좋게 지내기(4.78), 질서를 지켜 행동하기(4.60), 공공규칙을 이해하기 지키기(4.48)'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사회교육내용중 집단생활과 기본생활습관을 강조하고 있으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실시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by analyz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concept map about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and the lessons for the teachers' educational base on it. To investigate above purpose I mad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s the superordinate concept on teachers' concept map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2. How's the subordinate concept on teachers' concept map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3. On which content the kindergartens teachers' emphasize in the Social Education? The sample is from 40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bachelor's degree.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1 about contents of that. To investigate which content teachers emphasize on, A questionare was used. The questionare consist of category of 'social life' content in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It was devided into two parts, one of which was the perception degree of content and the other was practicing degree of the content. And find the mean of every question was measured by using 5 point likert type sca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 1. Kindergarten teachers used 30's superordinary concept on their concept map. The order of superordinary concept which teachers used was 'I(92.5%)', 'basic life habit(85%)', and 'community(52.5%)', 'family(47,5%)'. Superordinate concept was classified 'sociality', 'social science', 'theme on life'. 59.3% of superordinate concept was used 'theme on life' and 32.1% of superordinate concept was associated with 'Sociality', and 7.7% of superordinate concept was associated with 'social science'. 10's superordinary concept whose frequency was high was as follow. 'I' and 'basic life habit' were high in the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 but were not high in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 and hierarchy. Particularly the concept of because 'basic life habit' wasn't high hierarchy because the concept of 'basic life habit' is mainly the examples of everyday life. 'Community', 'our country', and 'all of the world' were not high in the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 but was high in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 and hierarchy, and specificity measure. In conclusion of these findings, according to the specify of the subject, the determination of the instructional contents shows difference. 2. Teachers used 812 vocabularies. Those vocabularies were similar when they expressed in same concep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econd hieracky of 'I', 'basic life habit', 'community', 'family', and 'friend' were as follow. Teachers used contents of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others. 3. Among the 'social life' in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was in the order of 'getting along with each other(4.88)', 'keeping order(4.75)', 'regarding me as a positive one(4.75)'. And the practicing degree of the content was in the order of 'getting along with 'other(4.78)', 'keeping order(4.6)', 'understanding and keeping the public order(4.48)'. This result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ut their stresses on the 'group life' and 'basic life habit' in the content of child social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사의 지식 = 4 B. 개념도 = 10 C. 유아사회교육의 개념과 내용 = 14 D. 관련연구 = 21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연구도구 = 24 C. 연구절차 = 25 D. 자료분석 = 2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2 A. 교사들의 개념도에서 나타난 상위개념 = 32 B. 교사들의 개념도에 나타난 종속개념 = 40 C. 유치원 교사들이 강조하는 사회교육의 내용 = 50 Ⅴ. 논의 및 결론 = 52 1. 논의 = 52 2.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8 부록 1 설문지 = 6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75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사회교육-
dc.subject교사-
dc.subject개념도-
dc.title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Kindergarten Teacher's Concept Analysis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Instructional Concept-
dc.format.pageviii, 6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