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무용수의 공연 성패 지각과 공연 결과 귀인과의 관계

Title
무용수의 공연 성패 지각과 공연 결과 귀인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Contributive to Success or Failure in Performance by Dances and Result in Performance
Authors
김정숙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무용수공연성패지각귀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ve to successful dance performance by dancers with an aim to discovering which contributive factors are to be utilized by which dancers. In this connection specifically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lationship of such contributive factors with dancers dependint length of their careers, number of performances, types of roles acted, success or failure in the past performance of the dancers were studi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216 dancers who belonged to colleges and dancing troupes in Seoul area who are college junior students or above, with a dancing career of 3 years or longer.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level of consciousness of respondents on such contributive factors questionnaires to be filled in by themselves were prepared. Two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One had 12 questions in 4 fields related to success or failure in performance and another one had 29 questions in 6 fields related to measuring level of consciousness on the factors of success or failures of performance. After measurement collected data were tested by applying t-test which is Subprogram of SPSS, ANOVA and Regression for the purpose of passing judgement on the validity of hypothesis for research.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in terms of their level of consciousness on success or failure of performance female dancers showed higher level compared to male danc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ancers of both genders in terms of level of consciousness on 6 factors contributive to success and roles acted by them. Second, in terms of their level of consciousness on success or failure of performance and 6 factors contributive to such success or failure in performance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responding dancers depending on their specialization, career length and their roles performed. Third, in terms of their level of consciousness on success or failure of performance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responding dancers depending on number of performance they had. Respondents with over 10 times of performance indicated that effort to make a performance a success and supporting performance have higher level of contribution to such success compared to respondents with less than 10 times of performances. Fourth, respondents who considered their past performances as successful regarded factors such as efforts to make performance successful, level of difficulties of performance and support acting etc. possess higher level of relationship with success or failure of performance. Fifth, factors having 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ccess or failure in a performance appeared to be luck, ability, efforts, level of difficulties, colleagues and supporting acts etc.;본 연구는 교육이나 훈련과정에서 무용수의 수행능력 정체현상이나 슬럼프에 봉착할 때에 동기를 유발시키고, 강화시키기 위한 처방의 방안으로 귀인이론을 활용할 수 있는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되고, 또한 학교무용 교육현장에서 체험한 내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 보고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논리적 체계를 세우려는 의도에 따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공연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무용수의 동기화를 위하여 어떠한 귀인요인을 활용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세부적으로 공연의 성패에 대한 귀인요인이 남녀 무용수별, 무용 유형별, 무용 경력별, 공연 회수별, 공연시 역할별, 과거 공연의 성패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교 3학년부터 공연경력 3년이상 및 공연회수 3회 이상의 무용수로서 서울시내에 소재한 대학과 무용단에 소속된 216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무용수의 자각인식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 진술형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두 가지로서 하나는 공연성패에 관한 4가지 영역의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연성패에 대한 귀인요인에 자각인식도를 측정하는 영역은 6개 영역의 29문항이었다. 측정된 자료는 연구가설의 기각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SPSSX의 Subprogram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공연의 성패에 대한 인식도에서 여자 무용수가 남자 무용수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나, 공연성패에 대한 6가지 귀인요인에 대한 인식도는 남녀 무용수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공연의 성패에 대한 인식도와 공연성패에 대한 6가지 귀인요인에 대한 인식도는 무용전공 요인과 무용경력 요인 및 공연역할 요인 등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공연의 성패에 대한 인식도에서 공연회수 요인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공연 성패에 대한 노력과 보조연출 귀인요인에 대한 인식도는 공연회수 10회 이상의 무용수가 10회 이하의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공연의 성패에 대한 인식도와 공연성패에 대한 노력, 난이도, 보조연출 요인 등에 대한 귀인인식에서 과거공연을 성공적이라고 인식하는 무용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수의 공연성패에 대한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귀인요인은 운, 능력, 노력, 난이도, 동료, 보조 연출중에서 노력 요인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