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아-
dc.creator김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11-
dc.description.abstractModern man has become pursuing an enriched and varied life as the society develops. In accordance, people has much more interest in the creative new area of art. This interest of modern man reflected on the fashion too, which is essential to human welfare, thus various forms of design not merely focusing on the purpose of production that can be defined in the physical terminology have appeared. In modern fashion, various social, psychologic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desires of people should be satisfied and cultural, artistic aspects emphasized. Therefore, fashion not in a mere basic dimension but as a necessary formation of living and also most proper tool to represent one aspect of culture is being regarded as one part of art expressing the inner world of man and a creation reflecting the general spirit of artistic movement. In this regard, fashion can be said it has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 aesthetical function of art, which in turn contributes a lot to fashion. Since aesthetic values of one era influencing fashion act on the other fields of art as the same formative will, fashion and art have a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and interchange. Among many fields of art, painting has shared the aesthetic sense of the same age with fashion, especially much similarity in formation mainly with colour and form, and has been applied to fashion design in many cases. Frank Stella (1936~ ) is an artist who showed a possibility of interpreting painting totally new with his striped works of dealing with the essential problems of it in 1958 when abstract expressionism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since then has developed his works as electrifying the world of fine art. His works have continuously changed from minimal expression to maximal one in various ways of visualizing like plane, relief and carving. In this study, such expressional techniques of Stella have been grafted on fashion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of expression in fashion. At first, this study has paralled theoretical study through referential investigation and actual production of work based on the theo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world of Frank Stella's work,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s American art that has played an important in the contemporary art were examined, while developmental process and artistic spirit of Stella's work investigated mainly around color and form. And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fashion was looked at.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Stella's works, i.e., three striped works of the 1960s, 3 relief works of the 1970s, and one piece of 1986 were sampled as a motive to made total 8 works of fashion by employing his peculiar colours and geometrical relief forms. The material was mainly silk but leatheret and glossy polyester also used. For diverse color expression, gradual dyeing and hand-painting were partly used, and sometimes solid forms were maintained with sponge. Making was mainly done through patchwork and applique´, sometimes relief quality of texture was attained through quilting. And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Frank Stella's work, color-plane abstraction, minimal simplicity and abstract expressional freedom coexist together, and the world is always changing from one-dimension to that of three, so the range of applying them to fashion is very wide. Second, by combining the relief or cubic forms in Stella's painting with the peculiar formativity of human body, unique formative beauty can be produced. Third, in applying Stella's various colours and forms, free visual formativity can be accomplished through patchwork and applique, and those techniques are proper to employ in fashion. Also when reviving those expressional brush touches of Stella's work through hand -painting, originality of work as applying painting can be maximized. Fourth, when employing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pure art as an expression of aesthetic sense and fashion, or artistic sense of painting in fashion it is revealed that the latter can be another formative art with abundant creativity.;현대인들은 사회발전에 따라 풍요롭고 다양한 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새로운 예술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관심은 인간 복지에 본질적으로 필요한, 의상에도 반영되어 물리적 용어로 정의될 수 있는 목적만 중요시하는 의상이 아닌 다양한 의상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현대의 의상은 개인의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감정적,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문화와 예술의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기본적 차원이 아닌 생활조형물로서의 현대의 의상은 문화의 한면을 표현하는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서, 인간의 내적세계를 표출하는 예술의 한부분으로까지 여겨지고 있으며 예술운동의 전체적인 정신을 반영하는 창작물이 되었다. 그러므로 의상은 예술의 심미적 표현기능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예술은 의상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의상에 영향을 준 그 시대의 미적가치는 다른 예술에도 같은 조형의지로 작용하므로 의상과 예술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서로 교류하게 되는 것이다. 많은 예술 분야 중 회화작품도 의상과 동시대의 미의식을 공유해 왔으며, 특히 색과 형을 중심으로 한 조형이라는 점에서 의상과 유사점이 많기 때문에 그동안 의상디자인에 활용한 예도 많았던 예술분야이다.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는 1958년 추상표현주의가 확립된 시기에 회화의 본질적 문제를 다루는 줄무늬 회화로 회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보여주며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면서 발전해나간 작가이다. 그의 회화는 미니멀적인 표현에서 맥시멀적인 표현양식으로 끊임없이 변신하였으며 따라서 시각적으로 평면, 부조, 환조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텔라 작품의 표현기법을 의상에 접목시켜 의상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그것을 토대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세계의 배경이 되었고 현대미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20세기 미국미술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스텔라 회화의 전개과정과 예술정신을 알아보고 색채와 형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회화와 의상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텔라 작품 중 1960년대의 줄무늬 작품에서 3점, 1970년대의 부조회화에서 3점, 1986년 작품 1점을 각각 모티브로, 스텔라 회화의 색채와 기하학적이고 부조적 형태를 의상에 도입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실물 제작하였다. 소재는 실크를 주로 사용하였고 합성피혁와 광택이 나는 폴리에스텔소재도 사용하였다. 다양한 색상표현을 위해 부분적으로 침염과 현드페인팅을 이용하였으며 스폰지를 사용하여 입체적 형태를 유지시키기도 하였다. 주된 제작기법으로는 패치워크와 아플리케를 사용하였고 누빔기법으로 부조적 질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이 시각적으로 색면추상이나 미니멀적인 단순함과 추상표현주의적인 자유로운 표현이 공존하며, 평면에서 입체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로 변화하므로 의상에 응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텔라 회화에서 나타나는 부조적이고 입체적인 형태를 인체 특유의 조형성과 결합시킴으로써 독특한 조형미가 표출될 수 있었다. 셋째, 스텔라 작품의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표현함에 있어서 패치워크와 아플리케를 이용함으로써 의상에 자유롭게 시각적 조형성을 나타낼 수 있었고, 이러한 기법들이 회화를 의상에 도입할때 잘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텔라 회화에서 보여지는 표현적 붓터치를 핸드페인팅으로 의상에 그대로 재현하여 회화를 응용한 작품으로서의 독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넷째, 미적 감각의 표현으로서 순수예술과 의상과의 상호관련성 및 의상의 예술로서의 표현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ⅹ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1 2. 이론적 배경 = 3 2.1 스텔라의 회화 연구 = 3 2.1.1 20C 미국 미술 = 3 2.1.2 스텔라의 작품세계 = 18 2.1.3 스텔라 회화 분석 = 22 2.2 회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 36 3. 작품제작 = 56 3.1 제작의도 및 방법 = 56 3.2 작품 분석 = 59 4. 결론 = 100 참고문헌 = 102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986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프랭크 스텔라-
dc.subjectFrank stella-
dc.subject의상디자인-
dc.title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회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ashion Design Applying The Painting of Frank Stella-
dc.format.pagexi, 10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