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상미-
dc.creator강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94-
dc.description.abstractThe daily dieting habits of the modern person has changed considerably in comparison to the past. As the economy gradually prospered, and the society more developed, people began to accept many western life patterns. Furthermore, cultural exchanges have become more accessible. Hence such influences have brought about major changed in the general lifestyle of the Korean people. In the past, people were more concerned about whether they had sufficient amount of food to feed themselves. However, today, with the flourishing economy, people's past psychology has now changed. Quality of things, rather than quantity, has become more emphasized and more important. In addition to this, the general lifestyle took on a universal change from sitting to standing. Taste in food has changed from pure authenentic Korean food to a more westernized form of diet. People enjoy eating out more than cooking indoors and one can easily try different food tastes from different cultures. This shows that our eating habits can only change. Rather than thinking about what to eat, today,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how to eat.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one should naturally think about presenting each food type-which plates to use for what food type. Hence, this study concentrates on developing a variety of ceramic ware designs, fit for the modern transition in dieting habits. Here, the ceramic wares can be designed using different sizes, functions and applications. As our eating habits began to become more westernized, the bowl shape is used extensively in the Korean kitchen. Yet, the shapes that are being manufactured presently, are not satisfactory, in terms of design and quality. This can be further researched in order to create a design that will appeal to the modern person. Therefore creating a table that is both functional and pleasing to the eye. The concepts and variations, in functional ceramic wares, have been examined as the basis for this study. The study is focused around the bowl form because in comparison to other functional shapes, the bowl does not have a defined specific function. It is not independent as other shapes. The differences in usage, shape, structure, diversity and character of the bowl form, of the east and the west, have been examined for this study. Today, people's living spaces have also become very important. People wish to create a particular lifestyle for themselves. Hence the growing interest in interior design. Much care is taken to form a pleasant table. Consequently, the need for a good design is questioned. In this study, the clay work was based around the basic bowl form. The two-dimensional circular, triangular and 4-sided shapes were made into three-dimensional bowl forms. The slip-casting technique was applied in order to experiment with a definite surface. The porcelain white(Super White) clay body and the Miryang white clay body was used. The surfaces were hand-painted using coloured stains and slips. The work was then fired in a 0.5m gas kiln. The first firing was for 8 hours, reaching a temperature of 850℃. Coloured and transparent glazes were applied and then fired in a second firing for 12 hours. The work was fired to 1260℃, in a reduction firing. The work with coloured stains and slips were fired in an electric kiln, in order to maintain the necessary colours. This was fired to a temperature of 1250℃. This study has shown that design is not a purely commercialized concept but it can be used to fit the taste of the modernizing society. To satisfy the needs of the changing psychology.;경제가 발전하고 사회가 개방되면서 우리는 서구의 문물을 많이 수용하게 되었고 각국의 여러 가지 문화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그러한 영향은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 양식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생활수준의 향상은 현대인의 식생활에도 변화를 주었다. 양 보다는 영양가나 질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생활 양식도 좌식 생활 습관에서 입식 생활 습관으로 보편화 되었다. 또한 순한국식의 식단에서 서양식의 요리가 가미되었다. 최근에는 외식 산업의 발달과 다양하게 외국의 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각국의 음식을 맛보고 즐길 수 있게 되어 우리의 전통전인 식습관도달라져 가고 있다. 사람들은 무엇을 먹을까 하는 문제에서 어떻게 먹을까 하는 형식적인 문제에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어디에 담을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차릴 것인가가 중요하게 되었다. 위와 같이 변화하고 있는 식생활에 따라 식기의 크기와 사용에도 많은 변화가 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이 서양식으로 바뀌어 가면서 현대인들의 기호를 충족 시켜 줄수 있는 기능적이면서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도자 Bowl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작하려고 한다. 형태면에서는 단순하면서 현대적인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는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을 기본으로 한 기하학적인 도형을 사용하였으며 자연물에서 유도된 단순한 곡선을 부분적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기능적인 면과 미적인면을 조화시켜 반구형의 Bowl 형태를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현대인들의 생활방식에 적합한 Bowl의 구성을 위해서 기존에 대량생산되고 있는 Bowl의 크기에 변화를 주어 4개를 한세트로 제작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선 Bowl에 이용된 기하학적 형태에 대해 알아보고Bowl과 동양에서 Bowl의 용도와 같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鉢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일반적인 형태와 종류, 특성, 용도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다음에는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면서 단순한 형태인Bowl의 예술적인 면과 산업적인 면을 살펴봄으로서 그 중간인 수공예의 발전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태토는 식기인 점을 감안하여 백색도와 강도가 뛰어난 슈퍼 화이트(Super White)를 밀양백토와 3:1로 혼합해서 사용 하였다. 작품 제작은 다량의 생산과 간결하면서도 자유로운 형태의 표현에 적합한 석고형 틀을 제작하여 이장주입성형 하였다. 형태의 단순함 때문에 지루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 색화장토를 사용하여 핸드 패인팅을 하였다.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850℃로 8시간동안 1차소성 한 후 투명유와 무광택유를 담금시유하여 0.5㎡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60℃까지올려 12시간동안 산화소성 하였고 코발트, 산화동, 망간을 사용한 기물은0.5㎡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에서 12시간동안 환원 소성하였다. 장식의 효과를 위해 안료를 사용한 기물은 안료의 발색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9시간 산화소성 하였다. 디자인에 따라 전사지와 상회 안료로 장식하고 마침온도 800℃로 5시간 동안 3차 소성하였다. 본 연구는 기하학적인 도형의 형태를 이용하여 현대인들의 생활양식에 부합하고 충족 시킬 수 있는 도자 Bowl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면서 단순하고 경직되어 보일수 있는 기하학적인 도형을 반구형의 식기인 Bowl과 연결시켜 표현했을때 기능성과 시각적인 요소를 갖춘 다양한 디자인을 모색할 수 있었다. 현대 사회의 디자인은 모든 사람을 위한 상품이 아니라 물건의 사용자를 선택하고 구분해야하는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는 점을 인식하고 가장 기본적인 식기 형태를 차지하고 있는 Bowl에 대해서 연구해 봄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식기 사용과 현대인들의 개성에 맞는 실용적이면서 시각적인 아름다움에 뒤지지 않는 수공에적 식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본론 = 5 2.1 도자 Bowl의 대한 일반적 고찰 = 5 2.2 기하학적인 형태에 대한 고찰 = 10 2.2.1 기하학의 일반적 특성 = 10 2.2.2 기학적인 도형의 특징 = 13 2.3 제품과 수공예 = 17 3. 작품제작 및 해석 = 31 3.1 디자인 과정 = 31 3.2 작품제작 및 해석 = 49 4. 결론 = 72 참고문헌 = 74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87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도자-
dc.subjectBowl-
dc.subject디자인개발-
dc.subject기하학-
dc.subject도형-
dc.title도자 Bowl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하학적인 도형을 이용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Examining to Develop the Bowl Design-
dc.format.pagexii, 7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