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혜량-
dc.creator유혜량-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5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50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paratively two different types of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m.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kinds of activities, children's interaction types, group formations and teacher's roles between the two teaching methods?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fostering cognitive growth between the two teaching methods? 3.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foste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between the two teaching methods? 4.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fostering school readiness between the two teaching methods? Fifty children were selected at random as the subject for this study and assigned to each of two equal-quality groups, experimental Group Ⅰ (Group Ⅰ) and experimental Group Ⅱ (Group Ⅱ), with reference to their age and sex, the education status of their parents, and the results of pre-testing. Group Ⅰ selected small group, child-centered strategy and corner-area activity as teaching method. Group Ⅱ selected large group and teacher-directed strategy. In order to assess it, observations, I.Q. tes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rating tests and school readiness tests were used. Observationa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of individual children over 17-week period, were analyzed from frequency of activities and were estimated in percenta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ests of I.Q., social-emotional development rating and school readiness analyzed by statistical procedures and got standard deviation applied to t-tests measuring the degree of difference in scores obtain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whole group, optional, and free activities to analyze structuring progra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gram structures between the two methods. Optional activity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children in Group Ⅰ and the whole group activity in Group Ⅱ.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interaction type. The child-child interact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children in Group Ⅰ. The child-teacher interaction in Group Ⅱ. The child-material interaction in Group Ⅰ. 3. In terms of children's behavior and teacher's role, such characteristics as follows appeared in the two teaching methods. a) Children's initiating behavior and active participation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children Group Ⅰ. b) Children's concentration on material in child-material interaction was frequently observed in children in both Groups. The tendency of carelessness was observed in children Group Ⅱ. c)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activity, the activities having a purpose were frequently observed in children in both groups. Role-play activity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children Group Ⅰ. d) In terms of teacher's role demonstration, explanation, control, instruction and punishment were observed in teachers Group Ⅱ while permission, compliment, conversation conducted individually were highly observed in teachers Group Ⅰ. e) Concentration of teachers on large group were more frequently (81.5%) observed in Group Ⅱ and on small group (78.7%) in Group Ⅰ.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gains between the two teaching methods.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emotional rating gains between the two teaching methods (P<.01). The teaching method of Group Ⅰ wa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foste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t indicates that the teaching method of small groups which are child-centered group depending upon the interests and the needs of children had a great effect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readiness between the two teaching methods.;본 연구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유아교육의 서로 다른 유형의 두 가지 교수방법을 두 집단에 각각 적용시켜서 비교 분석하고 그 효율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에는 활동의 종류, 상호작용 유형, 집단 형성,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유아교육 프로그램 계획에 있어서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의 교수방법에는 유아의 인지발달 증진에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유아교육 프로그램 계획에 있어서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의 교수방법에는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증진에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유아교육 프로그램 계획에 있어서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의 교수방법에는 학교준비도의 발달 증진에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 대상은 남녀 유아 50명을 무선적으로 표집하여 성별, 연령, 부모의 교육 정도, 사전검사 결과 등을 고려하여 동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Ⅰ과 실험집단 Ⅱ로 나누고 실험집단 Ⅰ에는 소집단 유아가 중심이 되며 학습활동은 영역별 코너 활동을 통한 교수방법을, 실험집단 Ⅱ에는 대집단 유아를 중심으로 교사중심의 지시적인 교수방법이다. 측정도구는 관찰과 일반지능검사,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 학교준비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찰은 대상 유아를 개별적으로 17주간에 걸쳐 실시되었고,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고 두 집단간의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하였다. 일반지능검사와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 학교준비도 검사의 수집된 자료들은 기본적인 통계 처리 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고 두 집단간의 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의 구조화를 분석하기 위한 유아가 하는 활동의 종류를 단일, 선택, 자유활동으로 나누어 관찰한 결과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에는 프로그램의 구조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 Ⅰ의 교수방법이 선택활동 (73.5%)의 비율이 높았으며 실험집단 Ⅱ의 교수방법은 단일활동 (73.5%)의 비율이 높았다. 2. 또한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에는 유아가 관계하는 상호작용의 유형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유아 상호작용 유형은 실험집단 Ⅰ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교사 상호작용 유형은 실험집단 Ⅱ가 높았다. 유아-교구 상호작용 유형은 실험집단 Ⅰ이 높았다. 3.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에는 유아의 행동과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가. 유아의 행동에서 유아가 활동을 주도하는 행동은 실험집단 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나. 교구와의 상호작용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아-교구와의 상호작용시 대부분의 유아가 교구에 주의와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주의의 경향은 실험집단 Ⅱ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 유아 활동의 성격은 유목적적인 활동이 두 가지 유형에서 전반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극화활동은 실험집단 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라. 교사의 역할 중에서 시범, 설명, 통제, 지시, 벌 등은 실험집단 Ⅱ가 유의하게 많은 반응을 보이는 반면에 허락, 칭찬, 개별적 대화의 경우 실험집단 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 교사의 주의집중 상황에서 대집단 형태는 실험집단 Ⅱ가 약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소집단 형태는 실험집단 Ⅰ이 80% 로 나타났다. 4.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에는 유아의 인지발달의 증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에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증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p < .01) 있었다. 실험집단 Ⅰ의 교수방법이 사회·정서적 발달면에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유아의 흥미와 요구에 따라 유아를 중심으로 한 소그룹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6. 선정된 두 가지 유형간에는 유아의 전체적인 학교준비도의 발달 증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 7 B. 유아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 = 1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의 대상 = 25 B. 측정 도구 = 26 C. 연구 절차 = 28 D. 자료 처리 방법 = 33 Ⅳ. 결과 및 해석 = 34 A. 프로그램의 구조화와 교수방법 = 34 B.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 = 43 Ⅴ. 결론 및 논의 = 47 A. 결론 = 47 B. 논의 = 49 참고문헌 = 51 부록 = 55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4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교수방법-
dc.subject유아-
dc.subject발달-
dc.title유아교육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of Teaching Methods on Children's Development-
dc.format.page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