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신-
dc.creator김성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1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Korean music education for preschool, grasp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with subject of Korean music exhibition. Kindergartens and other general ones, and examine specific programs on Korean music education to grope for the drection of the future Korean music education for preschool.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determined as follows. 1. Research on-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practicing Korean music education, on Korean music and its education. 2. Research on the present situation of education Korean music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n it. 3. What about the text, equipment, and instrument in the kindergartens practicing Korean music education? 4. What a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s practicing it? 5. How are the reactions of infants and parents to Korean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6. What are the specific contents and practice method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n music exhibition Kindergartens? 7. What are the specific contents and practice method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other general Kindergartens? Two tools are used for this study. The first one is the paper with 33 questionaries, made and revised by the researcher, and used in the research from number 1 to 5. The second one includes the management report, study plan, class participation record, and interview record with teachers of Korean music exhibition Kindergartens and other general Kindergartens and is used in the research No. 6, 7. In treating the material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questioning were analyzed by percentage and frequency. Also, the Korean music exhibition Kindergartens is divided into seven contents - Singing Korean music rhythm,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reative Korean songs, and folk songs, examining and treating Korean music instruments, rhythmic movement according to Korean music, appreciating Korean music, and creative Korean music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s in the Kindergartens practicing Korean music education do Korean music education to implant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from babyhood, but they feel uncomfortable in class because of the lack knowledge Second, teachers recognize that we lack in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training, Korean music for infants should be employed as a regular course in child education, and Janggu should be also mandatory in the course Third, the reserved Korean music instruments in the Kindergartens practicing Korean music education are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Janggu, drum, gong, small gong, and tabor, and there turned out to be many texts and equipment related Korean music education, which are not appropriate for infants' level. Fourth, the proportion of Korean music in Kindergarten's musical rhythm activity is about 10-30%, and many Kindergartens do Korean music education in certain units. ① They instruct rhythms such as Semarchi, Gutgeori, Jajinmori., Danmori, and Taryong, using rhythm education, the sound of Janggu, body rhythm, language rhythm, Janggu and fabor. ② The large part of Korean music singing education is traditional children's song, and not many teachers instructed or played Korean classic music style songs. ③ There were some places where they make rhythmic movements to songs or instruct traditional dance regarding rhythm activity according to Korean classical music. ④ Examining or treating Korean music instruments are done through various audio-visual material and real things, and instructing levels are diversified simply from discriminating the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the name of instruments, and teaching how to play to guiding rhythm ensemble. ⑤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reative Korea classical children's songs, folk songs and folk music are variously used in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However, many don't do appreciation education, and indirect appreciation, which could be made naturally in daily life, is hardly done. Fifth, infants' interest and learning achievement in Korean music are high, and parents also feel positive about Korean music education. Sixth, programs on Korean music education for infants are divided into programs on Korean music education for infants are divided into programs related to daily life, and specific Korean music contents The programs related to everyday life are the ones using Korean music instruments in the beginning and end of various activities, changing songs related to Kindergarten life-saying grace at meal, birthday songs, washing hands songs-into Korean children's songs, and walking to the rhythm of Janggu. Also, there are programs related to the contents of rhythms, singing traditional songs, and folk songs, rhythmic movements according to Korean music, examing and treating Korean music, and creative Korean activities, and many of them were the ones integrating various education content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education.;본 연구는 유아 국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국악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을 대상으로 국악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구체적 국악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유아 국악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국악교육실시 유치원 교사의 국악 및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를 위한 국악 교육 실태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국악 교육 실시 유치원의 교재 및 교구, 악기는 어느 정도인가? 4. 국악 교육 실시 유치원의 국악 교육 내용 및 방법은 어떠한가? 5. 유치원 국악 교육에 대한 유아와 학부모의 반응은 어떠한가? 6. 국악 시범 유치원 국악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은 무엇인가? 7. 일반 국악 교육 유치원 국악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과 실시 방법은 무엇 인가? 본 연구의 도구는 2가지를 사용하였는데 첫번째는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작성한 33문항의 질문지로 연구 문제 1 ~ 5번까지의 조사에 사용하였다. 두번째는 국악 시범 유치원과 일반 국악교육 유치원의 운영보고서, 연구계획서, 수업 참관 기록, 교사들과의 면담기록을 연구 문제 6, 7의 조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에 있어서 설문결과는 백분율과 빈도로 산출하여 분석 하였다. 그리고 국악 교육 실시 유치원의 교육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과정에 근거하여 일상생활 관련 국악 프로그램, 국악 장단, 전래 동요·창작국악동요·민요등의 노래 부르기, 국악기 탐색 및 국악기 다루기, 국악에 따른 율동하기, 국악 감상, 창의적 국악활동 등의 7가지 내용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교육 실시 유치원 교사는 유아기부터 우리나라 정서와 문화를 심어주기 위해 국악 교육을 실시하나, 국악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수업 진행에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국악 연수 내용이 부족하여, 앞으로 유아교육과에서 유아국악이 정규과목으로 채택되고 장구도 필수화되어야 한다고 많은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악 실시 유치원의 보유 국악기는 장구, 북, 징\꽹과리, 소고 등의 타악기이며, 국악 교육의 교재 .교구는 유아들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악이 유치원 음률활동시간에 차지하는 비율은 10~30% 정도이고, 특정 단원에서만 국악 교육을 실시하는 유치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① 장단 교육은 장구의 구음, 인체리듬, 언어리듬, 장구, 소고 등을 사용하며 주로 세마치, 굿거리, 자진모리, 단모리 등의 장단을 지도하였다. ② 국악가창교육은 전래동요가 큰 부분을 차지하였고 국악풍의 노래 지도 및 반주를 하는 교사는 많지 않았다. ③ 국악에 따른 음률활동은 노래에 맞추어 율동하거나 전통춤을 지도하는 곳이 있었다. ④ 국악기 탐색 및 국악기 다루기는 여러 가지 시청각 자료와 실물로 악기 탐색을 하고, 단순하게 악기의 소리 구별 및 악기 이름과 치는 법 지도부터 리듬합주 지도까지 지도 수준이 다양했다. ⑤ 국악 감상 교육은 전래동요, 창작국악동요, 민요, 민속악등 다양한 곡이 감상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감상 교육을 하지 않는 곳이 많았고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는 간접감상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들의 국악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 성취도가 높고, 학부모도 국악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생활 관련 국악프로그램과 구체적 국악교육의 내용에 따른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일상생활 관련 국악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활동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신호에 국악기와 국악을 사용하는 것과, 식사기도, 생일노래, 손씻기 노래 등과 같이 유치원 일상생활과 관련된 노래를 국악동요로 바꾸어 부르는 것, 장구장단에 맞춰 걸어다니기 등이 있다. 그리고 장단, 전래동요·창작국악동요·민요 등의 노래부르기, 국악에 따른 율동, 국악기 탐색 및 국악기 다루기, 국악감상, 창의적 국악활동 등의 국악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있는데, 유치원 교육 특성상 여러 가지 교육내용이 통합된 형태의 프로그램이 많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아기 음악적 특징 및 능력 = 4 B. 유아 국악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 6 C. 유아 국악 교육의 실시 내용 = 7 D. 선행연구 = 20 Ⅲ. 연구 방범 = 22 A. 연구 대상 = 22 B. 연구의 도구 = 22 C. 연구의 절차 = 23 D. 자료분석 = 2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4 A. 국악교육 실시 유치원 교사의 국악 및 국악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 24 B. 유치원 교사를 위한 국악 교육 실태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 26 C. 국악 교육을 하는 유치원의 교재 · 교구 조사 = 27 D. 유치원 국악 교육 수업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조사 = 28 E. 국악수업의 유아와 학부모의 반응및 향후 유아국악교육에 대한 견해 = 39 F. 국악 시범 유치원의 프로그램 조사 = 41 G. 일반 국악교육 유치원의 프로그램 조사 = 73 Ⅴ. 결론 및 제언 = 76 A. 결론 = 76 B. 제언 = 80 참고문헌 = 82 부록 = 86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204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국악-
dc.subject유치원-
dc.subject프로그램-
dc.title유아국악 교육실시 유치원의 실태 및 프로그램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Study on the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and Programs of the Kindergartens Practicing Korean Music Education-
dc.format.pageix, 11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