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정민-
dc.creator홍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15-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Many unexpected problems happens due to the development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increased complex knowledges. Fine Arts education newly cuts a fine figure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cumculums of the Fine Arts education which is fundamentals to fine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cumculum changes in the Korean Fine Arts of the middle school and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contents of this thesis is composed of a general investigation about the contents and the specific characters of the curriculum in view of fundamental educational directions, global plot of each cumculum, object, contents. and time allocation. Now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may be summed up as follows: · The 1st Period(1954-1963) begins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is curriculum is considered important as the first systematic form of our curriculum. In this period education system in Fine A r t s is formed and relation to the real life is considered firstly. But there are many shortcomings in the objective system of the cumculum. What is worse, the same contents were repeated at least more than couple of times in starting the objectives. · At the 2nd Period(1963-1973) the plot system composed of object-contents -method is formed. Close relation between real life and Fine Arts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However, practicalness and rationality are overestimated in this curriculum. · At the 3rd Period(1973-1981) it is begun to put a heavy weight on the nationalism in the curriculum. Due to the effects of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theory,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emotion-forstering is considered important. The plot system of the curriculum is much more systematic and is given with a object centered concept. · At the 4th Period(1981-1987) due to the effects of man centered curriculum theory, personalities, creativities, and emotions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form a one's whole personality. Accordingly, the major contents are divided into two parts i.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 At the 5th Period(1987-1992) globally the contents are the same as that of the 4th Period. And gradual development is pursued. · At the 6th Period(1992- ) the objectivities and contents of the cumculum are characterized by putting a heavy weigh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of the student, in addition to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The method and estimation of teaching is suggested in detail. The changes and renovations of Fine Arts education is attempted.;오늘날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과 폭증하는 지식이 야기한 인간 소외 현상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미술교육의 역할이 새롭게 부각 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미술교육의 기본 바탕이 되는 미술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의 미술교육의 방향을 설정, 발전시키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史的으로 고찰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1954년-1997년에 이르는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구성 체제, 목표, 내용,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시간 배당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미술교육사에 관련된 문헌과 공포 및 고시된 교육과정을 기본도구로 하였고, 제1차-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굔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이를 각 시기별로 분류하여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영향으로 미술과 교과 체계가 확립되고 생활과의 관련성, 학생의 심리 발달 단계가 고려되었으나, 구성 체제에 있어 미흡한 점이 발견되고 목표와 내용이 중복되어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제2차 교육과정기에는 목표-내용-방법으로 구성 체제가 확립되었고, 창작적 노작활동과 관련된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생활과 미술을 밀접히 관련시켜 지도하였으나 실용주의적, 합리주의적 인간 육성에 치우쳐 있었다.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민족 미술이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영향으로 정서성과 창조성의 개발에 더욱 중점을 두어 내용면에서 미술과 영역 체계와 구조가 명확해졌으며 목표 중심 개념으로 전환하여 제시한 특징이 나타났다. 제4차 교육과정기에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영항으로 전인 교육이 강화되어 학생의 개성과 창의성, 정서성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표현과 감상활동의 영역으로 지도 내용이 간략하게 정선되고 체계화되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에는 전체적으로 제4차 교육과정과 같은 방향에서 점진적 개선을 도모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미술과의 성격을 분명히 하고 표현과 감상 활동외에 학생의 미적 체험 활동을 강조하는 틀로 목표와 내용이 체계화되었다. 여기에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방법과 평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미술 교육 과정의 변화와 개혁을 시도한 특징이 나타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내용 = 2 D.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1954년 이전의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 = 4 B. 미술교육과 교육과정 = 9 Ⅲ.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변천 = 16 A. 제1차 교육과정기 (1954-1963) = 16 B. 제2차 교육과정기 (1963-1973) = 22 C. 제3차 교육과정기 (1973-1981) = 30 D. 제4차 교육과정기 (1981-1987) = 38 E. 제5차 교육과정기 (1987-1992) = 45 F. 제6차 교육과정기 (1992- ) = 51 Ⅳ. 결론 = 58 참고문헌 = 65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90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미술-
dc.subject교육과정-
dc.title중학교 미술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urriculum Change in Fine Arts of the Middle School : 1954-1997-
dc.format.pagevii, 6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