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해방이후 무용교육의 사적 의의

Title
해방이후 무용교육의 사적 의의
Authors
황숙영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해방이후무용교육조선교육무용연구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근대화 과정 속에서 우리의 교육이 거쳐온 시대사적 특수성을 생각할 때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교육정책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해방이후 미국식 교육정책의 도입으로 무용교육도 외국의 교육방법에 기준하여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수차례에 걸친 교육과정의 개정으로 상당부분 발전을 보이고는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 사적 발달에 따른 무용교육에 대한 검증과 이를 토대로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겠다. 특히 해방 직후는 무용이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학교교육 내에서 체계적인 발전을 시작한 시기로 현대 교육의 기틀을 형성한 본격적인 무용교육사 연구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무용교육사를 정리해봄으로써 해당 시기 무용교육의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 그 사적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여 무용교육사 연구 자료로서 의미를 지니며 나아가 우리 현실에 적합한 무용교육의 발전 방향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은 역사적 사실의 검증과 고찰을 위한 적합한 연구 논문이나 자료를 종합하여 정리하는 문헌연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무용교육의 범위를 교육무용에 해당하는 학교무용교육에 한정하지 않고 전문 인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 무용교육까지 포함하였다. 해방 직후 창설된 조선교육무용연구소는 교육무용 활성화의 계기를 만들어 이후 무용교육의 정착에 중대한 역할을 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활동과 역할 및 의의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설연구소를 중심으로 펼쳐졌던 전문교육 형태의 무용교육을 살펴보고, 학교 수준을 기준으로 초·중·고둥학교에서의 교육무용과 전문교육의 맥락에서 대학 무용교육의 발달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 시기의 무용교육은 교육무용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으로 정착되고 함귀봉을 비롯한 중심세력이 6?25로 월북하기 이전까지는 학교교육의 하나로 다른 어느 시기보다 강력히 추진되었으며, 전문교육은 사설연구소를 중심으로 공연 활동과 교육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대학교육이 발달하면서 대학 중심의 무용활동이 이루어지는 현 무용경향과는 매우 다른 현상이며, 입시위주의 교육현실과 맞물려 입시무용이 성행되고 있는 오늘날 사설연구소를 생각할 때 무용 훈련이라는 순수한 목적을 가지고 개인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졌던 당시의 무용교육 형태가 전문교육의 차원에서 더욱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입시위주의 현실에서 학교무용교육은 전체 교과과정에서 거의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해방 직후 추진되었던 교육무용의 상황과 비교하여 거의 발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해방 이후는 의욕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무용교육의 기틀을 형성하였던 시기로 오늘날 무용교육이 모색하여야 할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As the U. S-type educational policy had been introduced since the 1945 Liberation, dance education also has been carried out based upon foreign educational method, although there's urgent need of educational policy fit for our country's situ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ur education passed through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Several revisions of curriculum brought about considerable development. However, more basic approach is needed to examine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historical development and to seek a way, based upon the result of examination, which it should follow. In particular, it's right after the 1945 Liberation that dance was given educational meaning and started to develop systematically in school education. Thus,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which formed the basis of modem education, can be said as a starting point of research on the educational history of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rve as a basis for research on the history of dance education, by keeping its history, from right after the 1950's, in other, by investigating the state of da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by reviewing its historical meaning and limits, and to find out a direction dance education should follow to be suitable for our rea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rm of literature research, which synthetically arranged dissertations or data appropriate for inspection and review of historical facts. The scope of dance education in this study included not only school dance education, which belonged to educational dance, but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which aimed at cultivating professionals. The activity, role and meaning of the Chosun Institute of Educational Dance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was investigated, since that institute made an opportunity to activate educational dance and played a critical role in settling down dance education. The dance education in the form of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was promoted mainly by private studio, was examined. Also, an investigation was made over educational dance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upon school level, and over the development of college dance education as one of professional educ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t's found that, in this period, the social recognition of educational dance was established and dance education was more strongly promoted as one of school education than any other period, before key influential persons, including Ham Gui Bing, was to North Korea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The professional education and performance activities were conducted mainly by private studios. This phenomenon is very different from the current dance trend that colleges become the center of dance activities according to college education development. As it's considered that today's private studios are busy with dance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due to exam-centered educational reality, the form of dance education in that period is thought to be more desirable in the dimen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offered individual-centered education with a pure goal of dance training. Moreover, the exam-centered reality is nearly putting aside school dance education from the entire curriculum. Compared with the situation of educational dance right after the Liberation, school dance education shows little development. The period just after the Liberation formed the basis of dance education with ambitious movements, and suggested a direction today's dance education should purs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