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5 Download: 0

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건강상태 비교 연구

Title
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건강상태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Mental Health between Female University Dance-majors and Non-dance Majors
Authors
조정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무용전공여대생일반여대생정신건강상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간의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 분석해 봄으로써 그들에게 당면해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일반인들에게는 무용이 신체적인 효과 뿐만 아니라,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정서적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지적 정신적 효과, 그리고 자기자신의 감정과 사상을 남에게 표출하고, 이는 개인이 아닌 집단 전달로 나타나 전체에 파급되는 사회적인 효과 등으로 인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임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무용전공자들에게는 무용이 체력증진에 의한 효과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현재의 연구추세를 인식시켜 심리적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하는데에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하여 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 무용전공여대생의 전공별, 경력별 및 전공별-경력별에 따른 정신건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무용전공여대생 250명(한국무용 103명, 발레 66명, 현대무용 81명) 및 일반여대생 100명 총 350명을 대상으로 김광일 등이 우리 실정에 맞게 재표준화한 간이정신진단검사지(Symptom Check List-90-Revision : SCL-90-R, BSI)의 항목들에 대한 반응을 연구조건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진단 검사 결과, 신체화, 우울증 하위요인에서는 무용전공여대생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강박증, 대인민감성, 불안감, 적대감, 공포감 그리고 편집증 하위요인은 일반여대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집단간 정신건강 하위요인별 변량분석 결과 신체화, 우울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진단 검사에서는 9가지 하위요인중 신체화에서만 한국무용 전공여대생이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나 정신건강 정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레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건강 진단검사결과 비교에서는 9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현대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건강 진단검사에서는 신체화에서 현대무용전공여대생이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나 정신건강 정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전공여대생의 무용전공별(한국무용/발레/현대무용)정신건강 진단 검사에서는 9가지 하위요인에서 적대감, 공포불안을 제외하고는 한국무용전공자들에 비하여 현대무용 전공자들이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나 정신건강 정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집단과 발레집단간의 비교에 있어서는 강박증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한국무용집단이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나 정신건강 정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 전공별 집단간 정신건강 하위요인별 변량분석 결과 9가지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무용전공여대생의 경력별(5년미만/5년이상)정신진단검사에서 경력이 많은 5년이상 집단이 경력이 적은 5년미만 집단 보다 9가지 하위요인에서 신체화, 불안감, 적대감을 제외하고 모두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나 정신건강 정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 정신건강 하위요인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강박증, 적대감 하위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각 집단간의 상대적으로 높고 낮은 정신건강 비교 분석 결과는 무용경험에 따른 정신건강에의 영향에 대한 보다 인과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경험적 연구가 후속 되어야 할 것을 제사해 주었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any correlation between danc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By showing that there exist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ance as an occupation and the performers' mental health, this study sought to address to the general audience that Dance, by reducing mental stress, not only enhances physical capabilities but also contributes to mental health.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were 354 female university students; 254 Female Dance Majors (107 Korean Dance Majors, 66 Ballet Majors, and 81 Modem Dance Majors) and 100 non-dance Majors. To examine the mental health among these various groups, the study administered the Symptom Checklist (SCL-90-R) restandardized by Kwang-il Kim et al. (1984). Analyses of data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majoring in dances showed better mental health in subfactors such as somatotigation, depression, psychoticism, while non-dance Major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NDFS) possessed better mental health in terms of obsessive compul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and paranoid ideation.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female Korean Dance majors and NDFS revealed that female Korean Dance majors possessed better mental health as they scored lower only in somatotigation among the nine subfactor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ballet majors and NDFS. Fourth, the comparison between female modem dance majors and NDFS revealed that female Modem Dance majors possessed better mental health as they scored lower only in somatotigation among the nine subfactors. Fifth, the comparison among female dance majors (Korean, Ballet, and Modem Dance) revealed that modem dance majors had better mental health than Korean dance majors in all nine subfactors except two subfactors (hostility and phobic anxiety). Korean dance majors, on the other hand, had better mental health than ballet majors in all nine subfactors except the factor of obsessive compuls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nine subfactors. Sixth, it was found that within female dance majors, group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work experience had a better mental health than those with five years of experience. Those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dance experience had better mental health than those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all nine subfactors except three: somatation, obsessive compulsion and hostility.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obsessive compulsion and hostility subfactors. Finally, the two-way ANOVA in terms of majors (Korean Dance, Ballet, Modem Dance) and dance experience(over and under five years) revealed that major in modem dance and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had the best mental health.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female dance majors scored high in only three subfactors. These results were contrary to our primary expectations that NDFS would have a better mental health compared to female dance-majors. It was also found that modem dance majors had the best mental health, while modem dance majors with over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had the best mental health. The results, however, seemed to have limitations since it onl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in the future that could show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anc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