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자-
dc.creator이희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의 교육적 가치와 목표 및 교육목표 설정의 접근 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무용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도와 실현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학교 무용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지역 일반 중학교 무용교사 54명과 일반 중학교 2학년 여학생 267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목표 설정에 대한 Bloom의 분류학적 접근을 기초로 하고, 체육 및 무용교육목표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무용교육목표를 네 부분의 목표 영역-심동적, 지적, 사회정서적, 문화감상적 목표-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전체 22개의 하위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 수정하여 본 조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응답방법은 피험자가 문항을 읽고 난 후 각 문항에 대한 인식정도와 실현정도를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다. 회수된 자료들은 인식도와 실현도를 각 목표 영역별, 하위 항목별로 분석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인식도와 실현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또한 인식도와 실현도 간의 상관관계 및 문화감상적 목표와 각 목표들 간의 관련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무용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학생에 비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용교육목표 중 가장 인식도가 높은 목표 영역은 교사-학생 모두 심동적 목표였으며, 인식도가 가장 높은 하위 항목은 교사가 「동작적 의사소통」, 학생은 「유연성·민첩성」 이었다. (3) 무용교육목표에 대한 실현도는 교사는 긍정적인 반면, 학생은 보통수준으로 교사에 비해 학생의 실현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무용교육목표 중 실현도가 가장 높은 목표 영역은 교사-학생 모두 심동적 목표였으며, 실현도가 가장 높은 하위 항목은 교사의 경우 「유연성·민첩성」, 학생은 「응용 및 창작」이었다. (5) 전체적으로 무용교육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와 실현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표 영역별로는 심동적 목표와 사회정서적 목표에 대한 인식도와 실현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전체적으로 무용교육목표에 대한 학생의 인식도와 실현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표 영역별로는 심동적 목표와 지적 목표에 대한 인식도와 실현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무용교육목표에 대한 인식도와 실현도 간에는 전 항목에 걸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목표 영역별로는 사회정서적 목표가, 하위 항목별로는 「경쟁심」에 대한 인식도와 실현도 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문화감상적 목표와 심동적, 지적, 사회정서적 목표 영역과는 각각의 인식도와 실현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감상적 목표와 심동적 목표에서는 「예술에 대한 감상능력」과 「유연성·민첩성」에 대한 각각의 인식도 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감상적 목표와 지적 목표에서는 「문화적 시각의 확대」 와 「무용의 역사와 가치에 대한 지식과 이해」에 대한 각각의 인식도 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감상적 목표와 사회정서적 목표에서는 「문화의 다양성 이해」와 「긍정적 자아 개념의 가치」에 대한 각각의 실현도 간의 상관 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면 명확하고 구체적인 무용교육목표의 설정을 통해 무용교육의 보다 효과적인 학습결과와 순환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t up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by theoretically reviewing value & objectives of dance education and approaching method to establishment of education objectives, and to provide concrete & effective basic data to establish school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by surveying & analyzing perception & realization of teacher & student toward the goal. Th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54 dance teachers & 267 girl students selected randomly out of general junior hiEh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urvey method was based on Bloom's classificatory approach to settling a goal and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is divided to 4 categories- psychomotor, cognitive, social-emotional, culture-appreciative goals - referencing the previous research on physical &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categories are subdivided into 22 sub-items. Questionnaire draft was completed after examining Sl revising adequacy 8t applicability of questionnaire content through preliminary survey. Surveyeer marked perception Sf realization against each sub-item on his own after reading each sub-ite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demonstrate perception & realization of teacher and student by average SE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each goal category It sub-item. T-test was utilized to check alnalogueness between perception SE realization. Through Pearson Correlation with each goal, correlation of perception & realization toward culture-appreciative goal of student was surveyed. SPSS/PC+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 data analysis .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Most of students and teachers who attended questionnaire positively answered In perception of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Teachers appeared more positive than students in perception degree. (2) Of dance education objectives,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the highest perceptive degree in psychomotor goal. Sub-Item which obtained the highest perceptive degree was 「movement communication」 for teachers and 「flexibility, swiftness」 for students. (3) While teachers answered positively, students showed normal level in realiz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This record reflects lower realization of students compared with teachers. (4) Students and teachers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realization in psychomotor goal of goal categories. Among sub-items, teachers appeared to have highest realization in 「flexibility, swiftness」 and students in 「applicability, creativity」. (5) Totally it is turned out that teachers have no recognizabl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realization in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However, considerable gap appeared between perception and realization in psychomotor and social-emotional goals. (6) Totally student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realization of the whole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But, considerable difference was noted in perceptive level and realization of psychomotor & perceptive goals. (7) High correlation has been shown between perception and realization of dance education objectives over the whole items. Especially, social-emotional goal in goal categories and 「competitiveness」 In sub-item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realization. (8) Remarkabl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perception and actual realization in culture-appreciative, psychomotor, perceptive, 5l social-emotional goal. In perceptive degree of culture-appreciative and psychomotor goal, close correlation took attention between 「art-appreciative ability」 and 「flexibility, swiftness」 In perceptive degree of culture-appreciative and perceptive goal, the highest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cultural insight expansion」 an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dance history and value」. In realization level of culture-appreciative and social-emotional goal, 「culture diversity understanding」 and 「positive self-identity」 were in the highest correlation. Based on the above study, it is concluded that more effective study result and circulative development can be attained by establishing accurate & concrete objectives of danc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D. 선행 연구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무용의 교육적 가치 및 목표 = 7 1. 교육적 가치 = 8 2. 목표 = 10 B. 교육목표의 설정 및 접근 유형 = 12 1. 교육목표의 설정 = 14 2. 교육목표 설정의 접근 유형 = 16 C. 현행 중학교 무용교육목표 = 26 Ⅲ. 연구 방법 = 32 A. 조사대상 = 32 B. 조사도구 = 32 C. 자료수집 절차 = 33 D. 자료분석 방법 = 34 Ⅳ. 결과 및 논의 = 35 Ⅴ. 결론 및 제언 = 61 A. 결론 = 61 B. 제언 = 65 참고문헌 = 66 부록Ⅰ. = 70 부록Ⅱ. = 75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95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무용-
dc.subject교육목표-
dc.subject인식도-
dc.title중학교 무용교육목표 설정을 위한 인식도 및 실현도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realization for establishment of dance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junior high school-
dc.format.pageix, 8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