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수-
dc.creator이경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54-
dc.description.abstractIn the beginning, there was light and man has coexisted with the light ever since. It would not be exaggerating to say that the civilization of mankind began to form its shape only after the discovery of fire by man who had depended on the natural sources of light such as the sun and the moon. Since the discovery of an artificial light source, lighting lamp has undergone rapid innovation and progress due to the invention of electricity and industrialization, and now we have come to the state where the life without lighting is unimaginable. Due to advance of civilization, the fundamental function of lighting, which is to light up the space, has become insufficient. The purpose of lighting has become satisfying the man's need to fulfil the aesthetic sense, as well as its functional aspect which is a convenient tool in our daily lives, a credit to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way of life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changing so rapidly. The brightness and the ambience of the light, and the exterior designing of lighting lamp have come to influenc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 of a person. The concern for the decorational purpose, meaning the visual design of a lighting lamp, is increasing evermore, in addition to its fundamental function which is to light up the darkness. It is true, however, that the artificial lighting inflicts more visual fatigue, than the natural lights of the sun and the moon. Therefore, reducing the visual fatigue inflicted by the artificial lightings is an assignment we must solve since we spend a considerable portion of our daily lives under the lightings. One may think that it is the problem which should be solved at the level of lighting sources such as incandescent light bulbs or fluorescent light bulbs, but the lighting lamps on which they are attached, is believed to also have much to do with it. That is why the significance of the design and the material of lighting lamps are increasing. I feel, therefore, it is accutely necessary to dedicate a study on ceramic lighting lamp since the clay which is the material of ceramic, shares the closest intimacy with mankind and has a superior ability of bringing up the liveliness in indistinct and visually less stressing light that is close to natural lights compared to other lamp making materials such as glasses and metals. The ceramic lighting lamps, however, has been playing a passive role of a container for the light source for the partial lighting, instead of widely diffusive lighting, due to its distict opaque characteristic, unlike glasses which has transparency as its characteristic. But the usage of ceramic lighting lamps is expected to grow in the future since preference on partial lightings or indirect lightings are increasing for the ambience and the mood of an room interior. Therefore, I intend to produce lighting lamps that' are entirely made of cera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a basis of a ceramic expression which can come closer to our lives by satisfying both the artistic and functional aspect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up-style stand which has opening on the top for the upward lighting, since the ceramic is more suitable for stand lamp which is movable instead of fixed lighting lamps such as chandelier, pendent, or bracket, due to its weightiness. I, especially emphasizing on the harmony with the nature, tried to express the nature of plant on the over all embience of the lighting lamp by visualizing the image of liveliness given by plants, focusing on artforms of plants' outer shape.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method of viewing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lamp matters to be studied and the art forms of plants through reference literatures and related materials, before the production stage, and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inspired by the outer shapes of plants such as opuntia, lilies, lotus roots, trees, bladder cherries, tree trunks, annual rings of a tree, leaves, pinecones, etc. to the shaping of the work. As for the method of production, coiling technique was mainly used in order to express the natural forms of plants and slab building technique and the technique of slip casting by means of plaster mold was partially employed when it was appropriate. As for the clay, stoneware clay and superwhite, etc. were used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 of light emission, and the surface was finished with variety of coloring glazes such as bronze glaze, black glaze, ash glaze, transparent glaze, matt glaze, ivory glaze, jade glaze, etc.. and brown, yellowgreen, black, white, etc. low temp. stains from Johnson Matthey Co. As for the firing, the first firing was taken up to 850℃ in the 0.3㎥ electric kiln for 5 hours, and the deoxidization was taken up to 1250℃ in the 0.7㎥ draft gas kiln for 8 hours.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produce some ceramic works which satisfy the aesthetic as well as functional needs of man who desires for closer intimacy with nature in this complex and heartless society, through ceramic stand s which posess the tenderness of plants, although, it is regretable that there were lack of visual stability because the production was focused on up-style shades and due to insufficient supply of electrical materials. I hope this study offers an oppertunity for the ceramic expression which can come closer to our daily lives by harmonizing the plasticity and the practicality for the future.;태초에 빛이 창조된 이후 인간은 빛과 더불어 살아왔다. 자연적인 태양빛과 달빛에만 의존해왔던 인간이 스스로 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 인간의 문명은 비로소 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공광원을 발견한 이래로 전기의 발명과 산업화로 인해 조명등(照明燈)은 급격한 변화와 발달을 거듭했고, 이제는 조명(照明)없는 인간적인 삶이란 도저히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문명 발달은 조명을 단순히 공간을 밝혀주는 역할로만 만족치 않았다.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사회구조와 생활양식의 변천은 인간으로 하여금 조명을 단순한 생활수단 즉, 그 기능적인 요소 뿐만이 아니라 그 심미적인 것까지 만족시켜야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결국 조명등을 통한 빛의 밝기와 빛의 분위기, 그리고 조명등의 외형적 모양 등 인간의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부분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조명등은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기능적인 면 외에도 장식적인 효과, 조명등의 시각적인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현대인이 하루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을 조명 아래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에 의한 시각적 피로도를 낮추는 것은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는 형광등이나 백열등과 같이 광원 자체적인 부분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고 볼 수도 있으나 그것을 부착하는 조명등의 역할 또한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조명등의 디자인과 그 소재에 대한 중요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조명등은 여러가지 인공적인 소재를 선택하기보다는 원초적으로 인간과 가장 친밀한 흙을 소재로 한 도자기류가 천연의 빛과 유사한 은은하면서도 피로감이 적은 불빛을 살리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어 도제 조명등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도제조명은 지금까지 유리와 같이 투명성이 있는 것과는 반대로 태토(胎土)의 특수성 때문에 전반확산(全般擴散)조명으로는 사용되지 못하고 단순히 광원의 부수적인 용기(容器)로 부분조명의 소극적인 역할만 감당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실내 인테리어와 분위기를 감안해서 전반확산 조명보다는 간접조명이나 부분조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도제 조명등의 이용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전히 도자재(陶磁材)로만 된 스텐드를 제작하고자 한다. 도자재는 그 특유의 중량감 때문에 샹들리에나 팬던트, 브라켓같이 벽에 부착시키는 조명기구보다는 이동식 조명기구인 스텐드 램프에 가장 적합하므로 상단부분이 개방되어서 배광이 위로 향하는 업스타일의 스텐드 램프에 가장 적합하므로 상단부분이 개방되어서 배광이 위로 향하는 업스타일의 스텐드를 중심으로 조형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켜 우리 생활에 좀더 가까이 갈 수 있는 도자표현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특별히 연구자는 자연과의 조화에 중점을 두어 도제 조명등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식물의 외형에서 나오는 조형성을 중심으로 식물이 주는 생명감 넘치는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식물의 자연스러움을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방법은 참고문헌과 관련 자료를 통해 제작에 앞서 연구되어야 할 조명의 전반적인 특성과 식물의 조형성에 관해 살펴본 후, 기둥선인장, 부채선인장, 백합, 연과, 나무, 꽈리, 나무줄기, 나이테, 나뭇잎, 솔방울 등 식물외형의 여러가지 특징을 응용하여 조형화하였다. 제작 방법은 식물의 자연스런 형태를 표현하고자 말아올리기(Coiling)기법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적절한 판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을 하였다. 태토는 석기소지와 투광의 효과를 위해 밀양자기토 등을 사용하였고 식물의 이미지에 알맞도록 청동유, 흑유, 재유, 투명유, 매트유, 아이보리, 옥색유 등의 색유와 Johnson Matthey사의 저화도 안료 Brown, Yellowgreen, Black, White 등으로 다양하게 표면을 처리하였다.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850℃를 최고 온도로 5시간 1차 소성한 후 0.7㎥ 도염식가스가마에서 1250℃를 최고온도로 8시간 환원소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업스타일 갓을 중심으로 제작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부족하거나 전기재료가 다양하지 못해 아쉬움이 있었지만, 식물외형의 부드러움을 지니는 도자스탠드를 통해 복잡하고 각박한 현대인의 생활속에서 자연과 좀더 긴밀함을 취하려는 인간에게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것까지 만족시키는 도자제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앞으로 좀더 깊이있는 조형성과 실용성을 조화시켜 우리 실생활에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는 도자표현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 2 Ⅱ. 조명 = 3 1. 조명에 대한 일반적 고찰 = 3 2. 조명기구의 기능 및 종류 = 6 2.1 조명기구의 기능 = 6 2.2 조명기구의 종류 = 7 3. 스탠드 램프의 기능 및 종류 = 9 3.1 도자 스탠드 = 16 Ⅲ. 식물의 조형성 = 20 1. 식물의 생태적 특성 = 20 2. 식물의 조형성 = 21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27 1. 디자인 과정 = 27 2. 작품제작 및 해석 = 38 Ⅴ. 결론 = 60 참고문헌 = 62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667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도제-
dc.subject스탠드램프-
dc.subject식물-
dc.subject조형성-
dc.title도제(陶製)스탠드램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식물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eramic Stand Lamp-
dc.format.pagei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