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체육교사의 교과에 대한 배경정보와 수업지식 분석 연구

Title
체육교사의 교과에 대한 배경정보와 수업지식 분석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Schoolwork Knowledge Analysis on Thought Process of the Aghletic Teachers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체육교사교과배경정보수업지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증등학교 체육교사의 성별과 경력에 따른 수업지식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으며 분석결과는 주로 관찰 가능한 교사의 행동 연구인 교수방법적지식과 더불어 교과내용적지식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립 중학교에 재직중인 체육교사 90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체육교사의 교과관련 전문지식의 형성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과 수업지식의 하위요소 즉, 수업목표, 학생이해, 수업전략, 교육과정지식등 4개영역으로 구조화하고 선행된 질적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일반화된 유형을 도출하여 총 4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교과관련 사전지식과 수업지식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 x^(2) 검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수업지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경력에 따른 수업지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성별, 경력별로 체육교사의 수업지식에 대한 차이와 성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과에 관한 사전지식에 있어서 변인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았으며 체육에 대해서 가치적 측면을 중요시 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체육을 가르치는 이유에 있어서 신체의 발달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종목에 있어서는 성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자신없는 종목에 관하여 남자체육교사는 체조와 무용을 여자체육교사인 경우 육상과 투기종목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목표에 있어서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심동적 목표인 운동기능 숙달을 일차적 목표로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목표의 성취도에 있어서 실제 수업시 남자체육교사가 여자체육교사보다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력이 적은 교사 일수록 기본기능 습득을 목표로 하였으며, 경력이 많은 교사들의 경우 수업계획시와 동일하게 게임운영을 목표로 하였다. 셋째, 학생이해에 있어서 성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력이 많은 교사일 경우 배구기능수준, 게임운영능력, 개인차, 성차 등 여러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었으나, 경력이 적은 교사일수록 배구의 기능 수준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전략에 있어서 교사들은 성별과 경력에 관계없이 패스와 토스의 기능 습득을 중심으로 교사의 시범과 설명을 통한 교사 중심의 지시학습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능측정을 바탕으로 한 심동적 영역의 평가 방법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과정지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전체적으로 단원계획의 내용 선정 및 조직시 운동기술 형태에 기반을 두고 조직 구심점을 설정하였고 전형적인 ‘선 기술, 후 게임’의 계열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데 경력이 많은 교사의 경우 배구 기능을 수업내용으로 하여 수업 차시에 따라 ‘도입-기술연습-게임’의 계열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경력이 적은 교사는 이러한 계열성이 실제 수업까지는 연결되자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대상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수업지식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수업지식은 '양적'측면에서는 변인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질적 이해' 측면에는 차이가 없었다. 성별간에는 그 차이가 근소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여자체육교사인 경우 각 종목에 대한 전문성과 자신감이 결여된 상태이며 수업지식 측면에서도 수업목표나 학생이해에 대하여 다소 단편적으로 생각하는 성향이 나타났다. 경력별로 교사들을 살펴보면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정의적 목표를 심동적 목표에 우선시한 반면 경력이 적은 교사일수록 심동적 목표를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경력이 많은 교사의 경우 기본 기능의 숙달정도가 미약하더라도 그에 맞는 게임을 주어진 수업시간 내에 실시함으로써 단순 기능의 의미있는 이해와 학생들의 흥미, 참여태도 등을 유도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실제수업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남자체육교사들이 여자 체육교사에 비해,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경력이 적은 교사들에 비해 더 많은 수업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성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것은 단편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고, 실제적인 차이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toward schoolwork knowledge in terms of sex and career. Analysis outcome is mainly to provide necessary data for systematic comprehension on course content information as well as teaching methodology information i.e. a behavior research of teachers observable. In order t o meet this purpose, I made 90 athletics teachers who serve public middle schools as the subject of research. The content of questionnaire was structuralized into general questions for professional knowledge formation related to athletic teacher's course subject, and subordinate elements for class information, that is structuralized with four fields as course goal, student understanding, course strategy, and course information. Also, I derived generalized form based on precedent qualified study outcome, and made a list of total 46 questions. I grasped general inclination through producing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PC^(+) statistic program so as to analyze collected data, and did X^(2) verification process into each question. Also, I practised one way-ANOVA to figure out course information difference in relation to t-test rate career to find out course information difference in terms of sex. Through these processes, the analysis outcome of course information difference and tendency of athletics teachers in terms of sex and career is as below. First, as for previous knowledge on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t did not showed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and it is revealed that eventual reason for gymnastics is considered to physical development mainly, though the aspect of value is much emphasized for physical education.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in terms of sports type. Male athletics teachers are revealed to have little confidence in gymnastics and dance, otherwise female teachers have less favor to field track events and competition. Second, teachers have a tendency to make athletic function proficiency which is hearty-dynamic goal as their first goal, generally. In view of course goal achievement, male athletic teachers have more cognizance rate than female teachers during realtime instruction. Also, less experienced teachers have tendency to make basic function acquisition as their goal, otherwise more experienced teachers settled their goal of game operation the same as the course schedul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in terms of students understanding. However, more experienced teachers understood various aspects such as volleyball function level, game management ability, individual variations, and sex difference, but less experienced teachers considered more for volleyball function level. Fourth, as for course strategy, teachers develop teacher-centered instruction lesson through teachers' showing example and explanation which are centered on pass & toss function acquisition irregardless of sex and career. Teachers were revealed to select heart-dynamic field evaluation method based on function test. Fifth, regarding course information, teachers generally are based on athletic technique form for content selection of syllabus and organization, established manipulation sphere center, and provide typical 'pre technique, later game' systematization. There is some difference in terms of career: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maintain 'introduction-technique practice-game' systematization according to lesson to lesson with the course content of volleyball function, on the contrary, less experienced teachers can not connect and continue this systematization into the real lesson. Based on the above outcome, cours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who were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urse information of teachers on this study shows variable difference in 'qualitative' aspect, but bas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on 'qualitative comprehension'.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sex, but so far female teachers ar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confidence for each subject, and have tendency to think somewhat fragmentary on course goal or student understanding in terms of course information. When it comes to teachers' career, more experienced teachers put emotional goal prior to hearty-dynamic goal, on the other h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put priority on hearty-dynamic goal. The different result may be caused by the fact that more experienced teachers practise proper games during alloted class hour though basic function proficiency is weak, so it derives meaningful understanding of simple function and participation attitude of students' interest. In conclusion, male athletics teachers than female teachers, and more experienced teachers than less experienced teachers are shown to have more class knowledge for practical class operation. However, this ends to fragmentary level, and practical difference is not revealed clearly and definit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