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천정아-
dc.creator천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5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54-
dc.description.abstractModem society has now entered the intensive age of information. As information processing becomes more advanced, not only do basic linguistics such as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become more necessary, but literacy in mathematics also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there are some factors that hinder the learning process. Among them is the prevalent stigma I call "mathematical anxiety". This research entails in minimizing this problem to instill higher levels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 have dealt especially with methods targeted towards treating math anxiety within the context of a large class. Moreover, We have employed two types of correct feedback treatments. The first type, F1, encompasses details and explanations, whereas the second correct feedback treatment , F2, merely indicates correctness or incorrectness. After application, the effectiveness of both methods has been measured with respect to degree of anxiety and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 have sought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 1. Are there any difference in anxiety levels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males and females? 2. What changes came about in entire group, in the respective groups of F1 and F2, in the respective group of males and females? Is anxiety degree decreasing ? 3. What changes came about for performance in first and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4. Has any method proven to be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anxiety and increasing performance? How do the two treatment groups differ in terms of anxiety level and performance? Here, again, the case will focus on gender in the respective group of F1 and F2. 5. What corrolation are there in mathematics anxiety and performance? From my experimental research, I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aren't any difference in anxiety levels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males and females. 2. Feedback does effect on anxiety decreasing in entire group, the respective F1, F2 group, males and females group. 3. Both first and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not affected in terms of their performance improvement in 5% meaningful levels. 4. The kind of anxiety treatment is negligable and irrelevant in entire group. but F2 is more effective than F1 in anxiety decreasing with respect to males and females. About performance, the comparison is impossible. because first and second grades performace don't improve in 5% meaningful level. 5. There exists negative corrolation in mathematics anxiety and performance. Mathematics anxiety occurs naturally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it is an important problem to solve. However, most research about mathematics anxiety are performed on a small scale, and only a few means for treatment have been found. We hope to see more effective programs coping with mathematics anxiety develop in the future.;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에 장애가 되는 '수학불안'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대규모 교실을 대상으로 연구해 보았다. 불안처치를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각각의 처치를 Fl처치 및 F2처치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Fl처치는 답안을 돌려줄 때 답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달아 주는 방법이고, F2처치는 단지 틀린 합을 수정해 주고 빈칸에 올바른 답을 적어 주며 더 이상의 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방법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 2학년의 수학불안에 대한 학년차와 성차가 있는가? 둘째, correct feedback처치가 수학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셋째, correct feedback처치가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넷째, 만일 correct feedback 처치가 수학불안 감소 및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면 , 두 종류의 feedback 즉, F1처치와 F2처치 사이에 수학불안 치유 및 성취도 향상효과면에 차이가 나는가? 다섯째, 수학불안도와 성취도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이 실험은 서울시내 남녀공학 중학교의 1학년 두 반, 2학년 두 반을 대상으로, 약 7주간 실시하였고, 이상의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수학불안에 대한 중학교 1, 2 학년 학생들의 반응은 5% 유의수준으로 볼 때, 학년별, 성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년별로 불안도에 차이가 없으므로 학년에 구별 없이 correct feedback 처치의 효과를 알아 본 결과, 두 가지 종류에 상관없이 학습자의 수학불안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두 종류의 처치간에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간에는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더 강한 효과를 나타냈다. 처치와 성별 요인간의 교호작용을 본 결과,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1·2학년 모두 correct feedback 처치에 의한 성취도 효과는 5% 유의수준으로 볼 때,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2학년의 경우는 10% 유의수준일 경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결론을 단정짓기가 어렵다. 넷째, Fl·F2 처치간에 불안도감소 효과상의 차이는 5% 유의수준으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성취도 효과 측면의 차이는 성취도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지 않으므로 비교할 수 없었다. 단, 2학년의 경우 10% 유의수준으로 효과차이가 없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다섯째, 수학불안과 성취도는 1, 2학년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리 = 6 D.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수학불안'의 개념 = 9 B. 수학불안 요인 = 10 C. 수학불안과 기타 불안과의 관계 = 13 D. 수학불안과 성 및 학년과의 관계 = 14 E. 수학불안과 성취도와의 관계 = 16 F. 수학불안과 평가도구 = 17 G. 수학불안 처치 자료 = 18 H. Feedback의 개념 = 24 I. Feedback의 유형과 역할 = 26 J. Feedback 효과 = 2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2 A. 실험대상 및 일시 = 32 B. 실험설계 및 절차 = 34 C. 실험 자료 = 36 D. 수학불안 검사 측정도구 = 37 E. 수학 성취도 검사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 MAT) = 38 F. 자료처리 = 38 Ⅳ. 결과분석 및 논의 = 40 A. 결과분석 = 40 B. 결과논의 = 52 Ⅴ.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60 부록1. 사전 성취도 검사지-1학년 = 66 부록2. 사후 성취도 검사지-1학년 = 70 부록3. 사전,사후 불안 검사지 (1, 2학년 공용) = 76 부록4. Quiz를 통한 실험 처치 형성평가의 실제-1학년 = 79 부록5. Quiz를 통한 실험 처치 형성평가의 실제-2학년 = 90 부록6. 실험전·후 DATA 모음 = 100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996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수학불안-
dc.subject중학교-
dc.subjectFreedback-
dc.titlefeedback을 이용한 수학불안 처치 및 성취도 향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2 학년을 대상으로-
dc.format.pageii,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