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보경-
dc.creator장보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40-
dc.description.abstractNow that there are few years left before it becomes 21st century, all the industries in our economy are facing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Already existing concepts are rapidly changing, consequently it is very hard for us to catch up with the changing speed. Fashion trend & customers' need are also changing with great speed and complexity. The basic frame of wearing ornaments whose trend has been continuous since 1900's, has lately been broken and new terminologies regarding dress & ornaments come to birth everyday and to meet these demands, various mew materials are being proposed continuously, which is enough to say "the Revolution of Dress & its Ornaments". Also we can recognize that the taste and individuality of modern society members are being diversified, accordingly the way of its expression is also be coming complicated and the phenomenon of free expression is being deepened day by day. The fashion industry will surely develop towards the direction where it can satisfy the integrated sensitivity & stimulus of the customers through the freedom of customer spirit. Textile industry had been focusing on the quantitative produc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kills and techniques until 70's & 80's, however, with the 90's, market opening, globalization trend, severe price competition with similar degree of technology, imported materials which have big difference in quality and in sensitivity and very difficult to catch up with, day to day advancement of materials, diversified sensitivity of customers and also various factors of change have made it essential for the fashion planning to be itemized and specialized. Especially, material has a big importance as one method to differentiate the fashion products. The material planning, which regarded to be the core of competition in the age of fashion material age,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when the planner has a wide range of knowledge & good understanding of the planning trend as well as in-depth knowledge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duction proces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terial planning which is an independent and very important job in the designing process and to figure out the way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new trend of specialized material planning for the purpose of its activa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and the material in the apparel makers were analyzed and the contents of real material planning works in the apparel planning was studied according to each designing process, and the importan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processes of the designing was explained, also the method of information collection, analysis and its practical use was explained. Many cases of material planning by apparel makers wars analysed through actual proofs and finally the way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in material planning process was presented. Accordingly in this study, main focus wa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material planning & selection which acts as the most important & direct factor in the differentiation of product planning in the apparel industry and the real case studies were implemented. Based upon this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 Firstly, even though the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 role of material planning is being expanded day by day, related business both in domestic & overseas industry still lacks in speciality. Secondly, there is little reliability in the already existing manpower due to the lack of enough education system for material planning specialists. Thirdly, in the area of lady apparel industry, material planning process is being implemented as to be independent & special in case of small & medium sized companies, however, in case of big group companies, success case of which can hardly be found. Fourthly, when the material planning is implemented, there was not enough data base for the information on the new material, companies & quantities. Based in the case studies & their results mentioned above, I propose like the following, for specialization of material planning in the apparel industry. First of all, we need various studies on the material planning which can efficiently meet the need of our donestic market, as there is not sufficient study on the special & systematic literatures on the material planning. Second of all, organization should be specialized & itemized by securing enough specialized manpowers. Also, education system for the material plannin specialist should be improved and the real OJT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real education of material planning specialization & new material development. Third of all, through the renovation of job implementing system, material planning work should be clearly defined & divided between the product planning department and the material department, enabling the operation of systemized work process possible. As well as the point mentioned above, material planning should become independent and should supply all the information & services for the product planning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implement the coordinator's role in the apparel industry.;21세기를 얼마 남겨놓지 않은 현재 사회 전반의 모든 산업들은 제3의 산업 혁명기를 맞이하고 있다. 기존의 개념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해 가고 그 변화 속도를 따라 잡기 힘겨운 것이 현실이다. 패션의 흐름이나 소비자 변화 역시 복잡하고 빠르게 변해가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지속되었던 창작의 기본 규칙들이 깨어지면서 새로운 복식의 용어들이 속속 등장하는가 하면 이에 적합한 신소재 방향도 다양하게 제안되는 가히 복식 혁명이라 할 만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현대 사회 구성원들의 기호와 개성 등이 점점 더 다양해져 가고 그 기호나 개성의 표현방식 역시 매우 복잡하고 자유로운 현상이 심화되어 가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비자 정신의 자유로움을 통한 복합감성의 자극과 충족의 방향으로 어패럴산업은 계속해서 나아갈 것이다. 70-80년대 기능과 기술개발 자체에 최종의 목표를 두고 양적 생산에만 기초한 섬유산업은 90년대 불어닥친 시장개방, 국제화의 물결, 또 비슷한 기술정도를 가진 제품과의 가격경쟁의 심화, 따라가기에는 너무 큰 질적, 감각적 격차를 느끼게 하는 수입 소재들, 하루가 다르게 고도화, 다양화되는 소비자 감성과 감당하기 어려운 수많은 변화의 요소들은 어패럴 상품기획의 세분화와 전문화를 필수적 상황으로 대두시키고 있다. 특히 상품의 차별화의 한 방법으로 소재는 기본적이며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다. 소재패션의 시대라고 할만큼 소재는 경쟁력의 포인트로서 중요시 여겨지고 있으며, 소재기획업무는 상품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과 폭넓은 지식은 물론 다양한 소재의 특성과 생산과정을 이해하여야 수행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복의 상품기획을 위하여 소재 기획 작업이 디자인의 하나의 과정이 아니고 독립된 중요한 업무로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전문화된 소재기획업무의 활성화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패럴 메이커에서 패션과 소재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어패럴의 상품기획에 있어 소재기획의 업무내용을 실무 진행순서뿐만 아니라 타부분과의 의사소통의 중요성 등 소재기획 업무내용과 소재 기획에 대한 정보수집 및 분석, 활용방법을 설명하고, 소재기획업무를 별도로 구성하고있는 어패럴 메이커의 소재 기획사례를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뒤, 대기업의 소재기획 업무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언한, 구조혁신을 통한 새로운 소재기획 업무의 운영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어패럴 산업에서 상품기획의 차별화에 가장 직접적인 요인으로서 소재기획과 선정에 중요성을 두고, 이를 위한 현 업무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기회의 중요성과 역할 기능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관련업무의 전문화 실태가 저조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소재기획 전문인력 양성의 교육 체계의 부족으로 인한 기존 인력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내 중소기업의 숙녀복 업체의 경우는 소재기획업무가 다소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업무로써 운영되고 있으나 대기업에서는 성공한 모델 케이스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소재기획을 할 때 신소재정보, 업체정보 및 물량정보 등의 광범위한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화가 되어있지 않다. 이와 같은 결과 및 사례조사 분석을 토대로 어패럴 산업의 소재기획 전문화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소재기획 업무에 대한 전문적·체계적인 문헌연구 및 조사가 부족하여, 국내 상황에 부응한 적합한 소재기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전문 인력을 확보하여 조직의 세분화, 전문화를 기하여야 한다. 또한 소재기획 인원의 전문적인 인력 양성체계에 대한 보완으로 대학 교육 내에서도 어패럴 소재기획에 대하여 소재 분류법과 용어, 섬유제품 분야의 품질 기준 및 취급 방법 등을 포함한 실무에 유용한 기초교육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업무 구조 혁신을 통하여 상품기획실과 소재실의 소재기획 업무에 대한 명확한 업무 구분과 체계화된 시스템(System)의 운영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소재 기획업무는 독립된 업무의 일환으로 상품기획에 모든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어패럴 산업의 코오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섬유나 옷감, 어패럴의 상품 기획 등에 관한 전문서는 많이 발간되어 있으나, 어느 것이나 성질, 성능, 생산기술, 가공기술 혹은 어패럴 상품기획 과정이나,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에 관한 것으로서, 어패럴의 상품기획에 있어서 소재의 선정 과정에 필요한 지식이나, 생산 등 소재 기획에 관한 문헌 연구가 부족하여, 분석적인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소재기획을 전문적인 업무로서 활용하고 있는 업체도 많지 않아,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용어정의 = ⅹ 1.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범위 = 2 2. 어패럴과 소재기획 = 3 2.1. 어패럴 산업의 특성 = 3 2.2. 어패럴 산업과 소재 = 8 2.3. 소재기획 = 13 3장. 업체별 소재기획 사례분석 = 51 3.1. 대기업 사례 = 51 3.2. 패션 전문기업 사례 = 57 4장. 어패럴 소재기획 특성화 방안 = 67 4.1. 목적과 기본 방향 = 67 4.2. 소재기획 업무 운영안 = 75 4.3. 예상효과 = 83 5장. 결론 = 85 참고문헌 = 8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87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어패럴-
dc.subject소재기획-
dc.subject전문화-
dc.subject대기업-
dc.title어패럴 소재기획 전문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기업의 소재기획 전문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Korean Apparel Maker Industry for Advanced Textile planning-
dc.format.pagex, 9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