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creat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린이 집 교사와 부모의 놀이인식을 알아보며, 두 집단 간의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린이 집의 교사와 부모는 유아의 놀이 중요성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두 집단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어린이 집의 교사와 부모는 유아의 놀이증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두 집단간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 집의 교사와 부모는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활동이나 놀이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두 집단간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어린이 집 부모는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라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활동과 놀이감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5, 어린이 집 교사는 놀이와 교육과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의 어린이 집 교사 265명과 어린이 집에 유아를 보내고 있는 부모 21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Rothlein과 Brett(1987)의 연구를 김소양(1989)이 번안·수정 사용하였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의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처리하여 빈도수에 따라 백분율을 표시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교사/부모, 교사의 학력, 자격, 유아의 성, 연령등의 변인으로 x^2검증하였으며, 4점, 3점척도의 문항은 점수화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두 집단간의 비교는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부모의 놀이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 놀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지만, 두 집단간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놀이의 중요성을 부모보다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이유에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는 놀이의 중요성을 사회성 발달로 인식하였으며, 부모는 자아개념의 발달로 인식하였다. 놀이의 중요성의 이유에서 교사의 학력, 자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와 유치원 정교사의 자격을 가진 교사는 놀이의 중요성을 전인발달의 측면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를 졸업한 교사와 보육교사는 사회성 발달로 인식하였다. 놀이시간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사와 부모 모두 대부분의 시간을 놀이로 보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놀이와 비슷한 말을 교사는 즐거움으로 부모는 자기표현으로 인식하였으며, 놀이와 반대되는 말을 교사는 강요로 인식하였고 부모는 억압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와 부모는 유아의 놀이증진에 대한 인식에서 친구와의 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두 집단간의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놀이에 참여와 격려, 시간과 기회의 제공, 적절한 환경과 공간의 제공, 한가지 놀이에 치우치지 않도록 유도, 유아와의 충분한 대화등에서 부모보다 교사가 더 높은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놀이 방해요인으로 부모의 인식 및 태도를 가장 큰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활동과 놀이감에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놀이활동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 실외놀이와 역할·극놀이를 유아가 가장 선호하는 활동으로 인식하였지만 실외놀이, 역할·극놀이, 쌓기놀이등에서는 부모보다 교사가 더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공놀이, 운동놀이, 과학활동, 컴퓨터 활동등에서는 교사보다 부모가 더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감에서 교사와 부모는 실외놀이 시설과 퍼즐을 유아가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하였지만 실외놀이 시설, 역할·극놀이 자료, 블럭, 물·모래놀이 도구등에서는 부모보다 교사가 더 높게 응답하였으며 책, 악기, 과학 기구, 운동놀이 도구등에서는 교사보다 부모가 더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는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활동, 놀이감의 인식에서 유아의 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가 인식한 놀이활동에서 남아의 부모는 실외놀이를 여아의 부모는 역할·극놀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놀이활동에서 실외놀이, 쌓기놀이, 컴퓨터 활동등은 여아의 부모보다 남아의 부모가 더 높게 응답하였으며 역할·극놀이, 미술활동, 음악활동등은 남아의 부모보다 여아의 부모가 더 높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감에서는 역할·극놀이자료, 책, 악기등은 남아의 부모보다 여아의 부모가 더 높은 응답을 나타냈으며 교통기관 모형등은 여아의 부모보다 남아의 부모가 더 높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놀이와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수의 교사는 놀이를 모든 일상적 활동의 부분이다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며, 놀이를 이용하여 수업을 해야 한다, 놀이는 흥미영역에 포함되어야 한다등의 순으로 인식하였으며, 교사가 주도하는 놀이만 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등은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The purpose of this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play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parents.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importance of play, and are there any difference perceptions between two groups? 2. What ar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parents roles in promoting children's play and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wo groups? 3. What do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as children's favorite play activities and materials, and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wo groups? 4. What are child care center parents perceive as children's favorite play activities and materials and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children's sex, or age? 5. How do child care center teachers perceive play and child care center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is study consisted 210 parents with children from 3 to 6 years of age and 265 teachers of private child care center in Seoul. The basic survey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 Rothlein & Brett(1987) 」 and 「kim, So Yang(1989)」. In analyzing date, the collected questionaries were processed into a statics by the SPSS/PC+ program and discussed in percentage by the fre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1. Both teachers and parents regard play as an important, there was a difference.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importance of play teachers much higher than parents. The reason they recognize is differences, teachers thought that play was important for social development, whereas parents thaught that play was important for the self-conception development. There was a difference found in the teachers based on their education background and license. Most parents and teachers indicated that their children should spend most of their time in kindergarten in play because play value as a learning activity. 2. To Promote children's play, both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child-child interaction as an important factor. Bu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eachers think participate in and encourage play providing time opportunities is the more important factor. While parents think providing materials is the more important factor to promote children's play. 3. Both teachers and parents as children's favorite play activities and materials, recognize is different. Teachers and parents as children's favorite play activities mentioned outdoor play but movement play, science activity, computer activity is the teachers much higher than parents. Organize play, game, music activities is the parents much higher than teachers. Teachers and parents as children's favorite play materials mentioned outdoor play materials is the teachers much higher than parents. Book, music materials and science materials are parents much higher than teachers. 4.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as children's favorite play activities and materials in the children's sex is differenc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s the age. The boy's parent perceive favorite play was outdoor play and girl's parent favorite play was role and dramatic play. 5.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play was in the part of all practical life activities, must be class using the play, and play integrated in to the center of intere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놀이의 개념 및 중요성 = 6 B. 성인의 역할 및 인식 = 11 C. 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2 D. 관련 연구 = 27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대상 = 31 B. 연구도구 = 32 C. 연구절차 = 33 D. 자료분석 = 34 Ⅳ. 결과 및 해석 = 35 A. 놀이 중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 35 B. 놀이증진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 42 C.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활동과 놀이감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 44 D. 유아의 성·연령에 따른 선호하는 놀이활동과 놀이감에 대한 부모의 인식 = 47 E. 놀이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 52 Ⅴ. 논의 및 결론 = 54 A. 논의 = 54 B.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3 부록 = 70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07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어린이집-
dc.subject교사-
dc.subject부모-
dc.subject놀이-
dc.title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놀이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urvey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lay by child care center teacher, and parents-
dc.format.pageix, 8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