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경-
dc.creator김선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5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eaching method which connects training in vivo with video-modeling in the classroom, using stationary purchasing skills. For autistic children, acquiring functional skills that are both age and community-appropriate is an important factor in living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with the non-handicapped.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autistic children of 7 to 8 years old who did not possess self-purchasing skills. Multiple-probe design was used on the subjects.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following : if the skills obtained through the intervention are generalized at other place; if the skills to buy items through the intervention are generalized to other items; if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is to be maintained 4weeks after its termin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1. Video training combined with community training increased the capability of stationary purchasing skills in autistic children. 2. The effect was generalized at the stationary shop other than where the training took place. 3. The effect was also generalized on purchasing other types of stationary. 4. The maintenance test conducted four weeks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showed that for all three children, the level was much higher than the basic level, albeit not reaching the level at the latter part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ining in vivo combined with video instruc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autistic children in acquiring stationary purchasing skills.;장애 아동에게 있어 생활 연령에 적절하고 자연적 환경에서 필요한 기능적 기술은 비장애인과 통합된 환경에서 더불어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회성과 의사 소통에 주된 결함을 갖고 있는 자폐아동들에게 지역사회 환경에서 가능한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한 지역사회기술의 교수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그 중요성이 정차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기술 중 학용품 사기 기술을 실제 문구점에서의 훈련과 교실 내에서의 비디오 모델링을 이용한 교수방법을 연계해서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용품 사기 기술은 아동이 스스로 문구점에 들어가서 구매할 학용품을 요구하고 돈을 지불하는 기술등 총 14단계로 되어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교수하기 위해서 실제 문구점에서의 최소 촉진법을 이용한 훈련과 연계해서 교실 내에서 비디오를 이용한 모델링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비디오 모델링은 비장애 또래가 문구점에서 학용품을 사는 장면들을 언어적 설명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적 언어 기술의 시연이 비디오 장면과 함께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 연령이 7-8세인 자폐아동이며 스스로 물건 사기를 수행할 수 없는 아동 3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고 중재의 효과가 훈련장소가 아닌 다른 문구점에서도 일반화 되는지와 훈련시 사용된 물건과는 다른 증류의 물건에도 일반화되는지가 평가되었다. 그리고 중재 효과가 4주 후에도 유지되는지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환경 훈련과 연계한 비디오 교수는 자폐아동이 독립적으로 학용품 사기 기술의 수행을 증가시켰다. 둘째, 이러한 효과는 장소가 다른 문구점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셋째, 다른 종류의 학용품 사기 기술에도 일반화되었다. 넷째, 실험처치 종결 4주 후에 실시된 유지검사에서는 세명의 대상자 모두 실험처치 후반의 수준에는 못미쳤으나 기초선 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폐아동들에게 지역사회 환경 훈련과 연계한 비디오 교수는 학용품 사기 기술을 수행하는데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자폐아동의 특성 = 5 B. 지역사회 중심 교육 과정 = 7 1.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의 정의 및 특성 = 7 2. 지역사회 중심 교육의 교수 원칙 = 10 C. 교육 환경에 따른 지역사회 기술교수 = 14 1. 지역사회 환경에서의 교수 = 14 2. 교실 내에서의 교수 = 16 3. 지역사회 환경 교수와 연계한 교실내 교수 = 19 C. 비디오를 이용한 지역사회 기술 교수 = 22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9 A. 연구 대상 = 29 B. 실험 기간 = 30 C. 실험 장소 및 실험 도구 = 32 D. 기술 선정 = 33 E. 학용품 사기 기술의 과제 분석 = 33 F. 실험 설계 = 34 G. 실험 조건 = 34 H. 자료 수집 및 측정 = 38 I. 관찰자간 신뢰도 = 38 Ⅳ. 연구결과 = 40 A. 지역사회 환경훈련과 연계한 비디오교수가 학용품사기 기술수행율에 미치는 효과 = 40 B. 지역사회환경과 연계한 비디오 교수가 학용품사기 기술의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 43 Ⅴ. 논의 및 제언 = 46 A. 논의 = 46 B. 제한점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8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93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역사회-
dc.subject환경실습-
dc.subject비디오-
dc.subject자폐아동-
dc.subject특수교육-
dc.title지역사회 환경 실습과 연계한 비디오 교수가 자폐아동의 학용품 사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