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주영-
dc.creator박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6차 교육 과정이 실시된 후의 탐구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중 지필 검사에 의한 평가 즉 교육 현장에서 평가의 중심이 되고 있는 총합 평가(중간, 기말 고사)의 실태를 파악하여 탐구 능력 평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총합 평가 문항은 총 1990개로서 1996년도와 1997년도 2년 동안에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실시된 총합 평가 문항 중에서 서울·경기 지역의 9개 중학교에서 사용된 문항을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 도구는 국립 교육 평가원 분류틀(1989)과 허명(1984)의 과학 탐구 평가표를 수정 보완하여 제작한 것으로 총합 평가 문항 분석에 이용하였다. 총합 평가 문항 형식 분석에는 Mehrens과 Lehmann의 문항 유형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과학 탐구 문항 형식 분석은 1990년에 수학 능력 평가를 위해 중앙 교육 평가원에서 제작한 문항 형식을 중학교 단계에 맞추어 수정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합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과학적 지식 영역에서 79.35%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과학 탐구 과정에서 20.50%, 과학적 태도에서 0.15%가 출제되었다. NSTA(1982)에 의하면 탐구 내용의 알맞은 비율은 20% - 70%이다. 이에 비하면 탐구 문항의 비율이 다소 적음을 알 수 있다. 나. 목표 단위별로 보면 과학적 지식 영역에서는 개념의 적용 항목이 13.62%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다. 과학적 내용별로 보면 과학적 지식 영역에서는 개념에 관한 문항이 45.98%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과학 탐구 영역에서는 자료 해석 및 분석이 65.9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라. 행동 수준별로 분석해 보면 이해 수준이 43.47%로 가장 많았다. 마. 단원별로 비교해 본 결과 과학적 지식과 과학탐구영역 과학적 태도 각각의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총합 평가 문항 형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선택형이 전체의 75.4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서답형은 24.57%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답형 중에서도 단구형이 가장 많았고 논술형은 거의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과학 탐구 영역의 문항을 과학 탐구 평가표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자료 해석 및 분석 영역에서 가장 많은 출제 빈도를 보였는데 추론 항목이 34.80%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탐구 영역의 출제 형태는 소수의 항목에 출제 비율이 편중되었고 대부분 항목들에서의 출제율이 5% 미만으로 매우 미미하거나 아예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과학 탐구 영역의 문항 형식을 분석한 결과 탐구 문항은 선다형이 87.62%이고 서답형이 12.38%로 전체 총합 평가 문항 형식을 분류한 것보다 객관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식 중에서도 5지 선다형이 대부분이며 과정을 선택하는 문항보다 결과를 선택하는 문항이 더 많이 출제된 것을 알 수 있다. 탐구 문항에 이용되고 있는 문항 형식이 다양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 출제되는 총합 평가 문항은 탐구 문항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다소 낮은 경향이 있으며 그 문항 형식도 다양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탐구 중심의 교육 과정이 교육 현장에 효율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정부, 학자와 교사, 그리고 교육 행정가들의 지속적인 연구와 실질적인 시도가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고 이러한 연구들이 앞으로의 교육 과정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하겠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evaluation objectives, in the criterion refered evaluation system, were refered in middle school science course, and to analyze the percentage of given items and the question types The analysis of evaluation objectives in this study was based on 1990 items of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which were chosen from the midterm and the final examination from 1996 to 1997 since sixth curriculum in 9 randomly chosen middle school of Seoul, Anyang and Kunpo. The classification of evaluation objectives followed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al Evaluation's Objectives Classification Table, which was based on Bloom's and Klopfer 's classification scheme, and Scientific Inquiry Evaluation Inventory(Myung Hur, 1984). To confirm evaluation objectives, they were divided into two domains, the content domain and the behavior domain. The result of verified percentage difference we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items were classified by the content domain, the behavior domain, the lesson, and the year. 1) In case of contents domain, scientific knowledge contents were 79.35%, items of scientific inquiry contents were 20.50% and items of scientific attitude contents were 0.15%. It means lack of items scientific attitude items. 2) In the behavior domain, the comprehension level was more memorization and application level. 3) In the analysis by lesson, distribution showed much the same both in contents and in behavior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set-item in 1996 and in 1997, it showed the much the same.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1990 evaluation items selection-type items were provided up to 75.55% and supply- type items 24.57%, multiple choice form items among selection- type items were given up to 41.66%, essay items among supply-type items were only 5.37%. It means that item type is not variou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ems of scientific inquiry contents by SIEI. Interpreting and Analyzing Data was provided up to 65.93%. It means items were set only in some domain.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f inquiry items, multiple choice items of 5 options were provided up to 46.96%. Percentage of selection - type items is less than that of total items and multiple choice items of options asking a result were less provided than that of asking a process. In summary, this study found that the result of analysing items used in middle school did not fully reflect on the objective of the sixth curriculum as regards inquiry learning The objective of the sixth curriculum was not fully reflected on by items. as regards inquiry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4 C. 용어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교육 평가의 개념과 기능 = 9 1. 교육 평가의 개념과 기능 = 9 2. 교육 평가의 분류 = 12 3. 과학 교육에서의 평가 = 18 B. 과학적 탐구의 평가틀 = 20 C. 선행 연구의 고찰 = 3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5 A. 연구 대상 = 35 B. 연구 절차 = 36 C. 분석 도구 = 3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0 A. 목표 분류틀에 의한 총합 평가문항 분석 = 40 B. 총합 평가 문항 형식 분석 = 53 C. 과학 탐구 영역의 분석 = 56 D. 과학적 탐구 영역 평가 문항 형식 분석 결과 = 60 Ⅴ.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6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03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과학-
dc.subject총합-
dc.subject문항-
dc.title중학교 과학과 총합 평가 문항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7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