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중학교 1학년 물질의 특성과 분리 단원의 실험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틀과 채점기준 개발

Title
중학교 1학년 물질의 특성과 분리 단원의 실험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틀과 채점기준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ssessment Criteria and Scale for Four Chemistry Experiments in the Seventh Grade Science Textbook
Authors
정희정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Keywords
물질특성분리실험평가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s for the laboratory experiments which can be used easily b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 this study four chemistry experiments in the chapter of ''the property and the separation of substances" in the seventh grade science textbook have been modified to be more inquiry oriented, and students' group activity sheets as well as teachers' guides were developed. The experiments were composed of four steps, prediction, observation, explanation, and assessment. For each experiment two kinds of specific assessment criteria have been developed, one for grading students' group activity sheets and the other for grading students' individual skills and attitudes in the laboratory. The developed science inquiry experiments and assessment tools were practiced in two classes in the middle school. Some criteria which were not specific enough to classify students' responses in the group activity sheets were modified during the grading. The distribution of resulted students' scores was close to the gaussian cur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boratory scores obtained in this study and students' written test scores of science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l).;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이 객관적이고 타당한 평가 도구 및 기준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험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현장에서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탐구 실험서 및 그에 따른 구체적인 평가틀과 채점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에 의해 이루어졌다. 첫째, 현행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있는 물질의 특성과 분리 단원의 실험 주제중 4개의 실험 주제를 선정하여 탐구 실험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탐구 실험서는 학생들이 조별 실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학생용 실험서와, 이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용 실험 지도서 두 종류이고, 그 형태와 구성은 White와 Gunstone(1992)이 제안한 예상단계-관찰단계-설명단계의 3단계에 평가단계를 추가한 4단계의 형태를 취하였다. 또한 학생용 실험서는 조별 보고서로 제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협동학습을 유도하였다. 둘째, 조별 보고서 평가를 위한 평가틀과 개인별 수공적 기능 및 실험태도 평가를 위한 평가틀을 4개의 탐구 실험서마다 각각 개발한 후, 그에 따른 채점기준도 각각 개발하였다. 조별 보고서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평가틀에 대한 채점기준은 학생들이 학생용 실험서에 따라 조별 토론과 조별 실험을 통해 작성하여 제출하는 보고서를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평가하도록 하였고, 개인별 수공적 기능 및 실험태도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평가틀에 대한 채점기준은 조별 보고서를 통해 평가할 수 없는 학생들의 기구나 장치사용 능력, 협동학습의 진행여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과 채점기준은 각 실험서의 내용마다 필수적인 탐구과정기능 요소를 추출하여 평가틀을 구성한 후 흡족(3점), 보통(2점), 미흡(1점)의 3단계로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는데, 탐구과정기능 요소를 추출할 때에는 Collette와 Chiappetta(1989)가 제안한 과학적 탐구과정기능에 기초를 두었고, 3단계의 채점기준을 개발할 때에는 수업시간과 학생수, 평가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였다. 셋째, 개발한 탐구 실험서 및 구체적인 평가틀과 채점기준을 실제 현장에 적용한 후 평가틀과 채점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실험 진행 중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개인별 수공적 기능 및 실험태도 평가를 위한 구체적 평가틀과 채점기준으로 개인의 수공적 기능과 실험태도를 평가하였고, 실험 후에는 조별 실험과 조별 토론을 통해 작성하여 제출한 조별 탐구 보고서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별 보고서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평가틀과 채점기준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렇게 현장 적용을 통해 얻어낸 학생들의 답안을 토대로 현장 적용 전에 개발했던 평가틀과 채점기준을 비교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넷째, 실험평가를 실시하여 얻어낸 실험평가점수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 86명의 평균은 30점 만점에 21.1점(SD, 3.86)으로 나왔고, 히스토그램을 그려 본 결과 그 모양은 정규분포 곡선에 가까웠다. 또한 실험평가점수와 지식평가인 중간고사 이론점수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r= .63, p< .01)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탐구 실험서 및 구체적인 평가틀과 채점기준이 학생들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실험평가의 도구와 기준으로 변별능력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실험평가점수가 높은 학생이 이론점수도 높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