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종신-
dc.creator원종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26-
dc.description.abstract복식은 인류의 생존과 더불어 공존하고 있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문화의 발전 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후와 풍토 사회구조 및 경제적 여건과 생활풍습, 그 사회의 종교문제 등에 따라 독특한 복식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한국옷은 갑작스런 변화를 거부한다. 이점이 한국옷에 나타나는 가장 특징적인 요소인데 한복의 미는 지나친 과장을 거부하는 전통미와 고상한 배색 그리고 아름다운 곡선에서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의상은 종교에 많은 영향을 받아 왔는데 특히 조선 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유교를 국시로 삼았고 모든 생활과 문화는 유교적 도덕관과 우주관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영조때부터 사회가 안정 되고 문화가 번성하기 시작하자 한국의 복식은 외래 문화의 간섭없이 독자적인 복식 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전통 한복의 미를 창출해낸 복식 문화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본 연구자가 90년도 이후부터 이 분야에서 디자인을 해오면서 느낀 것은 현시대 우리는 우리의 색과 문양을 잃어가고 현 한복 시장도 무분별한 색, 그리고 전통 문양과 외래 문양의 부적합한 접목으로 한복의 우아함과 고상함을 퇴보시키고 있으며, 우리 문양과 염색 작업 방법에 관한 자료정리, 연구 또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지속적인 문양의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나 생산되는 양과 수요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재고가 늘고 한복 업계에 타격을 주고있는 실정이다 또한 끈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문양만으로는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식상한 이미지로 소비층에 다가가고 있는 것이다. 개량 한복과 장식성이 강한 한복, 대담한 디자인과 여러 가지 재료에 의해 제작된 한복 등이 나왔지만 생명이 오래가지 못하고 잘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우리 옷은 새로운 것을 추구하지만 급격한 변화를 거부한다는 것을 보여준 실례인 것이다. 현재까지 한복은 실루엣의 변화보다는 문양과 표현기법의 변화로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재단의 까다로움과 공정의 불편함으로 시장성이 없는 것도 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한복에서 사용된 기술과 재료 그리고 의상이 다르게 표현될지라도 진정으로 입을 수 있는 옷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섬유 예술을 하는 사람들에게 인식되어야 할 문제다. 그러므로 소재 연구와 더불어 새로운 작업 방법을 통해 독특한 질감과 조형미를 창출해 냄으로써 실용성과 간결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개성적 표현 욕구를 만족시키고 전통적인 미를 내재한 현대적인 디자인 방향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전통 복식의 발전과 지속적인 업체운영을 위해선 일본의 기모노와 같이 예술적 조형성을 부여한 고품격, 고부가가치의 중요성이 가미된 의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옷감 중 양단, 노방, 갑사, 사철깨끼에 색동,보자기, 누비 등의 바느질 기법을 도입하여 한국 전통 복식 중 저고리를 제작하였고 문양은 본연구자가 디자인한 것을 프린트하거나 직조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복식중 저고리, 마고자, 조끼를 중심으로 천의 질감과 누비, 색동, 조각보의 조형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되었다. 이러한 작품 제작 결과 나타나는 특징은 크게 3가지로 바느질법의 조형성에 따른 색의 대비, 면 구성, 소재의 개발로 나타난다. 첫째로, 조각을 이어 붙였을 때 생기는 책채의 대비와 그에 따라 파생되는 면 대비에 의한 효과. 둘째, 새로운 누비개념의 도입으로 절개되고 누벼진 문양에 의한 면구성에 의한 조형미. 셋째, 올풀기에 의한 Art Fabric, 겹치기, Soft Sculpture 개념에 의한 소재의 변형과 조합에 따른 재질의 변화이다. 넷째, 이러한 작업의 대중화를 위한 프린트 작업으로 이루어 졌다. 근래에 와서 섬유미술은 조소와 회화와 맥락을 같이하는 조형미술로 성장하고 다양한 재료의 개발과 영역의 확대도 이루어지고 있다. 섬유 의상 디자인은 의상 실루엣을 중점으로 연구하고 섬유예술가는 실루엣이 아니라 새로운 기법이나 소재 개발을 주 연구 목적으로 하므로 본 연구는 전통 복식의 기본 실루엣을 기본으로 소재의 질감과 기법을 중심으로 표현되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 우리복식의 전통 옷감과 바느질 기법이 고부가가치를 지닌 미학적 소재로서 새로운 가치를 지니고 발전될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으면 한다.;Clothing, as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life,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to cultural development. Moreover, climate, natural elements, society and lifestyle, and the religious aspects of a particular society contribute to the clothing culture as well. In this regard, Korean clothing or costume refuses sudden changes. This characteristic being a particular aspect of Korean costume, the beauty of Hanbok(Korean Costume) embodies the eleg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al beauty and expresses through its gracious lines and color combination. The costume of our countr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our religion. In particular,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tate that the confucian code of ethics adopted by the royalty of the Cohsun dynasty since its creation has dictated the parameters of our lifestyle and culture. As social stability was achieved ever since Youngjo era, coupled with the beginning of our cultural development, our traditional costume can be said to have achieved its gracious characteristics and beauty, uninfluenced by external forces. Despite the foregoing, this researcher has felt since 1993 in designing clothing in this particular area that our modem society and clothing has gradually lost its ability to preserve the beauty of the pattern, flow and color combination of our traditional costume and, by over-eagerly adopting foreign concepts which slowing replaced our traditional concepts, we find ourselves today with a lack o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areas of dying, design, etc.. As well, despite continuing research in patterns and designs, the manner and quantity of production is not in line with the market realities and demands and has greatly undermined the Hanbok industry of the country. Simply put, the desire to meet consumer demands through designs and patterns has led to consumerism. Irrespective of the appearance of newly altered Hanboks and the hanboks whose accentuation by accessories use several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and skills, their life cycle has been extremely short and have not been accepted readily. In other words, the above shows that our costume, while it demands newness or innovation, is not compatible with sudden changes. Up to the present, our Hanbok has been developing through the adoption of changes in its patterns and mode of expression rather than on changes to its silouette. The reason may be found in the lack of marketability and difficulty of production. What is crucially needed in the mentality of those involved in the apparel industry, both western and traditional, is that comfort and convenience should be a critical necessity, even if it means having to change the skill and material needed to produce Hanboks.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through experimentation of the materials of our Hanbok leading to unique and particular feel and sculpture, come to terns with the practical demands of the modern society while preserv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our costume. What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our industry and costume is further research to increase the added value of our products, just like the japanese Kimono. In this regard, this researcher has applied [new] stitching techniques used in our multi color sacs [bo-ja-ki] to our traditional fabrics such as silk, chiffon, lace and linen, and has expressed them through prints or woven fabric.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of formative arts of the cloths texture, multi-colored quilt and quilted sacs focusing on Korean Jacket (jeo-go-ri) outer coat worn by men over their jacket (ma-go-j a) and vest(cho-ki). The characteristics shown as a result of such work are as.follows; First, a work that has given a sense of form by folding the cloth or giving it a curve and producing a new quality of texture by combining linen thread in between white chiffon. Second, a work that provides semi-transparency and reflection of opaque and transparent cloth by using lace and linen. Third, an expression of new multi-color concept, creating a new quality of texture by loosening the linen strand and scratching the cloth. Forth, for the popularization of such work, it was done in painting. Today, textile art has become a modeling art that shoulders with sculpture and painti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he expansion of the field the textile fashion design focuses on the silhouette of the clothes while the textile artist focuses on new skills and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rather than the silhouette.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material's texture and technique on the basis of Hanbok's basic silhouette. As a result of such research, we hope that our traditional cloth material and stitching skills of our traditional Korean clothes will act as a base to create high added value and a new value as a material of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정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한국전통 복식(조선시대이후 여자저고리 중심으로) = 3 2.1 조선시대 복식 및 저고리의 변화 = 3 2.2 한국 전통 복식에 나타난 소재 및 색상 = 18 3. 한국 전통 복식의 현대화 = 26 3.1 누비, 색동, 조각보를 이용한 현대의상 = 26 3.2 현대 의상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 = 61 4. 작품제작 및 분석 = 68 4.1 제작의도 및 동기 = 68 4.2 제작 방법 = 68 4.3 작품 분석 = 76 5. 결론 = 111 참고문헌 = 113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587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소재변화-
dc.subject저고리-
dc.subject조형성-
dc.title소재변화에 따른 저고리의 조형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