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지운-
dc.creator우지운-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53-
dc.description.abstractThe creative element in human beings, is something that is constantly changing. It is an aspect which is continuously flowing and developing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the condition. Therefore art is something which cannot remain standstill. When we look at history or the history of art, it is evident that the desires of the artists kept bringing new ideas and expressions into the world. Humans are, in nature, curious about what they perceive in the world. They question the existence of objects and different lives. The human mind cannot simply be captured by the aesthetic appeal of art but they question its origin and they venture out to find its meaning and its existence until they find an answer. Many artists have enjoyed using the human body as a natural theme in creating sculptural work. In expressing the human figure, it began with realistic expressions. This changed to become more abstract symbolizing different issues and concepts. Different expressions and forms depend on the artist's perception and concept. His or her subjective views can create many original and unique works. The human figure is very apt for sculptural work because of the movement, rhythm, curves, volume, texture and so on, found in the human body. As a result artists liked expressing with the figure. In this study, I have concentrated on the female figure. I have emphasized the curves of the abdomen and the breasts in a pregnant woman and a woman in the rude. I have examined the curved forms of a pregnant womb and also the curves of a physically developed body of a fully matured woman. For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on the history of the human figure in ceramic art. I have examined the earthenware figures for they were the first figure works ever made. The earthenware figures expressed the reproductive organs, the breasts, the belly and the abdomen in order to show multiplicity and abundance. They were for superstious beliefs and the aesthetics of the time, preferred plentiful breasts, round bellies and full hips. Having examined the human body and the curves in it, it has been possible to see that the curve formations in a female figure is there for a purpose. It is there to help give birth to children and also for feed them. I have researched on the works of Korean artists who have worked with the female figure. Work <4> is based on a pregnant female figure and Works <1, 2, 3, 5, 6, 7, 8, 9, 10> are of the female nude. For Works (1, 2, 3, 5, 6, 7, 8, 9, l0>, I have used a stoneware clay body and for Work <3> the celadon clay body was used. In Work <4>, I have mixed the stoneware with the celadon clay body in a ratio of 1:l. The coiling technique was applied to Works <1, 2, 3, 4, 5, 6, 7, l0>, the throwing method was used for Work <8>, Work <9> was pinched and with Work <7> the surface was decorated. Small coils were used for Work <6> and slip was applied to Works <1, 4, 8, 9>. A matt white glaze was used. This also mixed with Fe_(2)O_(3) to make a beige glaze. A purple glaze was made using CoO mixed in with this matt glaze and a transparent glaze was applied to Work <6> MnO_(2)·CoO·Fe_(2)O_(3)·CrO_(3) have been mixed with a black glaze Works <5, 6> have been pit fired. The glazes have been dipped, sponged and sprayed. The works were first fired to a temperature of 850℃ in a 1.5㎥ gas kiln for 8 hours. the second firing was for 9 hours at a temperature of 1250℃ in a 1.5㎥ gas kiln. This study has enabled myself to observe the curves in the female body in detail. Not only are the formations artistically pleasing but they are created for a purpose in life. A continuation of this study will lead on to many different expressions in art. This has opened the door for future developments.;변화하는 인간의 창조성은 유동적이고 발전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예술의 미는 고정되어 있거나 정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미술사나 역사속에서 예술가들은 계속되는 욕구에 의해 새로운 표현을 찾고 있다. 인간의 마음은 미적인 것에 끌려 그것을 깊이 음미하려는 충동에 사로잡힐 뿐만이 아니라, 또한 한편으로는 그 다양한 것의 본질, 즉 궁극적인 것이 무엇인가 하는 의심을 갖고 끝까지 알아보려는 내면적 요구를 갖고 있다. 많은 예술가들은 자연에서 찾은 소재 중 특히 인간을 조형화하기를 즐겼다. 인체표현에 있어서도 사실적인 형상에서 좀더 이상적이고 상징적인 형으로 변형하여 작가의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변화해왔다. 인체는 조형작업에 적합한 운동감, 양감, 동세, 질감 등을 갖춘 소재로 무궁 무진한 창작의 대상으로 선호되고 있으며 많은 작가들에 의해 표현되어져 왔다. 본 연구자는 인체중 여체의 곡선미에 특히 관심을 갖고 그 곡선미의 상징인 가슴과 엉덩이를 姙婦와 裸婦의 형상을 통해 상징적으로 나타내보고자 하였다. 태아를 잉태한 모체의 확장된 곡선미와 성숙한 여인의 인체의미가 본 연구에서 찾으려는 조형미이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선 역사적으로 도자예술에서 인체를 다루기 시작한 士偶를 들었다. 士偶는 인간의 생식기관과 여체의 가슴, 배, 엉덩이를 강조하여 다산과 풍요를 빈 주술적 성격이 강했으며 그 당시의 미의 기준은 풍만한 가슴, 배, 엉덩이를 가진 여체였다. 그리고 인체와 곡선에서는 우리에게 어떤 가능성, 즉 '의미'를 주는 선의 일반적 개념을 살펴보면서 곡선의 의미를 찾았으며 그 곡선은 특히 출산 및 양육과 관계가 있는 여체에서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작품에 나타난 인체의 곡선미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작가들이 조형화한 작품들을 사진으로 제시하고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각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작품의 디자인과정에서는 본 연구자가 소재로 선택한 임부(작품 4)와 나부(1, 2, 3, 5, 6, 7, 8, 9, 10)를 변형시킨 작품 디자인 전개 과정을 그림으로 제시하여 이해가 쉽도록 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 태토는 조형물인 점을 감안하여 성형이 자유로운 석기 점토(작품 1, 2, 5, 6, 7, 8, 9, 10)와 산청토(작품 3, 8)를 사용하거나 석기점토와 산청토(작품 4)를 1:1로 섞어 사용하였다. 성형방법으로는 말아올리기(작품 1, 2, 3, 4, 5, 6, 7, 9, 10)와 판성형법(작품 9), 물레성형(작품 8) 핀칭기법(작품 9)을 하였으며 작품의 표면은 가는톱(작품 7), 얇은 코일로(작품 6) 장식하거나, 태토의 표면에 화장토(작품 1, 4, 8, 9)를 붓으로 덧발라 부드러운 효과를 첨가하였다. 시유방법은 베이지유(작품 7, 8), 투명유(작품 2), 백매트 기본유에 CoO가 함유된 보라유(작품 6), MnO_(2)·CoO·Fe_(2)O_(3)·CrO_(3)이 첨가된 흑유(작품 5, 6)를 덤벙하거나 분무시유하였으며 야적소성의 경우(작품 1, 3, 4, 9, 10)는 Fe_(2)O_(3), MnO, CuO, CoO를 발라주었다. 소성방법은 1.5㎥ 도염식가마에서 최고온도 850℃로 8시간동안 1차 소성을 하였으며 2차소성은 최고온도 1250℃로 8시간 동안 소성(작품 2, 5, 6, 7, 8)하였다. 야적 소성의 경우는 구멍뚫린 깡통에 톱밥, 나뭇가지, 과일껍질, 신문, 석유 등과 기물을 함께 넣고 4시간 동안 최고온도 1000℃까지 소성하였으며 젖은 흙으로 구멍을 막은 깡통은 만 하루동안 재워 둔후 작품을 꺼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품을 제작하여 여체 특유의 곡선미를 갖춘 조형물을 표현하였다. 흔한 소재인 인체표현에 있어서도 작가의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풍부한 조형미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았으며 좀더 다양한 경험을 통해 보다 미적 가치가 있는 조형물을 성형해야 하는 것이 향후의 과제라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본론 = 4 2.1. 토우를 통해 본 인체 = 4 2.2. 곡선과 인체 = 9 2.2.1. 선의 일반적 개념 = 9 2.2.2. 곡선과 인체 = 10 2.3. 인체를 소재로 한 현대도자 조형 연구 = 11 3. 작품 제작 및 해설 = 22 3.1. 디자인 과정 = 22 3.2. 제작과정 = 29 3.3. 작품 해설 = 31 4.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28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여체-
dc.subject주제-
dc.subject도자조형-
dc.title여체를 주제로 한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urves in the Female Figure as an Emphasized Expression in Ceramic Art-
dc.format.pagex,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