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수미-
dc.creator홍수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9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7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ing principle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high school geography courses through the search for the consciousness of the matter of environment and environment education on the par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ethod of questionaire is taken up for the inquiry. The subjects of this inquiry include 260 students in Seoul, the metropolice, 150 students in an industrial city, Incheon, 60 in a small and medium sized city, Choon-chun, and 60 in a farming community. The investigation into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include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nterest, the degree of virtual contamination in the inhabited regions, general knowledge of environment, and the policy of environment. The investigation into the environment education comprises general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in geography class, teaching methods in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e guides at which should be aimed in environment education in every situations and geography class are as follows: At first. the environment education should be done. with the awarness of respective regional aspects; the awarness of virtual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vary in every situation. Secondly, despite of high awarness of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matter of environment and environment education, the degree of awarness of terms, representing the amou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f the government's policy toward environment is somewhat low. The majority become aware of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the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chiefly by mean of mass media, so the reinforcement of environment education toward these areas is required. Thirdly, the greatest emphasis of the students o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in which are at the formation of the pleasant environment. In view of their inactiv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preservation at home and in and out their campuses after school, the greatest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practical aspects of life with ecological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practice of environment education in every day life. Fourth, the current curriculum should be shifted from the emphasis on individual phenomenon and individual cases to those of multiple phenomena and materials dealing with common environmental issues. The field of study in class should be emphasized not only their own inhabitation areas but also other areas, which will help enhance the abilities to think in a comprehensive way and to make their decisions in a reasonable way. Finally, drills in recognitive function, dealing with photographs, maps, tables, and data, is required in environment education in geographic, class, in addition to these, the use of a variety of audio-visual aids and a variety of new teaching method are recommended.;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의식 조사를 통해 고등학교 지리과 환경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의식 조사는 설문 조사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지역의 고등학교 학생들로 대도시인 서울지역 260명, 공업도시인 인천지역 150명, 중소도시인 춘천지역 60명, 농어촌지역 6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 조사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와 거주지역의 체감오염도, 환경에 대한 일반지식, 환경문제 관련의식, 환경 정책에 대한 내용이며, 환경교육에 대한 의식조사는 일반환경교육, 지리과 환경교육, 환경교육 수업방법, 환경교육 실천 및 보전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 조사 내용 중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에 있어서는 전체 학생들이 비교적 관심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거주 지역별로는 대도시, 공업지역 학생들은 비교적 관심이 있다는 응답을 보인반면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에서는 별로 관심이 없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 지역에 따라 체감오염도 및 오염 원인 인식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경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의 인지도,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 정책의 인지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일상 생활에서 환경보전의 필요성이나 환경문제에 대한 내용을 대중매체를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를 통해서 얻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낮게 나타나 학교 환경교육의 영향이 미흡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경교육에 대한 의식 조사중 일반 환경교육에서는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었으며 환경교육의 목적으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 행동으로 실천하기 위해 환경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학교에서 환경과학을 배우는 학생들은 환경과학, 생물, 지리교과 순으로 환경문제를 많이 배웠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환경과학을 배우지 않는 학생들은 생물, 지리, 지구과학 교과에서 환경문제를 많이 배우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과 환경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지리과 환경교육을 통해 획득해야하는 가장 복합적인 수준의 사고 능력인 '인간 활동을 중심으로한 상호 관련성의 개념 도식'을 정리해 수업후 그러한 사고능력을 얻게 되었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부정적인 응답이 나옴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인간 활동이 수행되는 환경 조건과 그 인간 활동이 초래하는 생활의 질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간 활동과 그 활동 장소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는 내용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리과 일반 교육에서 주로 채택되고 있는 개별적인 현상 중심 및 개별적인 환경문제를 중심으로한 내용 조직에서 탈피할 필요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리과 환경교육에서는 사진이나 지도, 도표,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습자가 교육 내용을 학습자의 안으로 획득 할 수 있도록 사진, 지도, 도표, 데이터 등을 다루는 인지적 기능을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며, 거주하고 있는 생활지역이나 다른 생활지역을 학습의 장으로 하여 학습 활동을 한 적이 없으며 수업시간에 그러한 내용이 학습되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 수업 방법에서는 지리과 수업 시간에 시청각 교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다양한 시청각 교재가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또는 집단별 조사와 실험의 방법 및 토론 방법의 수업형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경교육 실천 및 보전에서는 환경교육 수업 후 가정이나 학급, 학교 밖에서 환경보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실천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잘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환경교육 및 지리과 환경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에 따라 체감오염도 및 환경오염원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지역화에 유의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및 환경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은 반면, 환경오염에 대한 구체적 지식 및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정책의 인지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환경보전의 필요성이나 환경문제에 대한 내용을 얻는 경로도 대부분 대중매체이므로 체계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학교 환경교육의 강화가 요구된다. 셋째, 환경교육의 목적 중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을 학생들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환경교육 수업후 가정이나 학급, 학교 밖에서 환경보전을 위한 자발적 실천이 잘 되고 있지 않음을 볼 때 실제적인 생활현장에서 환경교육의 생활화, 실천화가 꾸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좀 더 실용적인 면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리과 환경교육에서는 개별적인 현상 중심 및 개별적인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한 내용조직에서 탈피해서 여러 현상 또는 환경문제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수업수준에서 학생들의 생활 지역 및 생활 지역이 아닌 다른 생활 지역을 학습의 장으로 하여 종합적인 사고능력 및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길러 주는 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리과 환경교육에서는 사진·지도·도표·데이터를 다루는 인지적 기능의 학습이 필요하며 다양한 시청각 교재의 사용 및 수업 방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ⅶ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방법 = 2 3. 지리과에서 환경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 6 Ⅱ. 환경교육의 이론적 배경 = 9 1. 환경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 9 2. 고등학교 지리과에서의 환경교육 = 17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24 1.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분석 = 24 1) 관심도 = 24 2) 체감오염도 = 25 3) 환경에 대한 일반 지식 = 33 4) 환경문제 관련의식 = 34 5) 환경정책 = 35 2.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 36 1) 일반 환경교육과 지리과에서의 환경교육 = 36 2) 환경교육 방법 = 46 3) 환경교육의 효과 = 48 3. 지리과에서 환경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제의 = 51 Ⅳ. 요약 및 결론 = 53 참고문헌 = 57 부록 = 60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643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학생-
dc.subject환경문제-
dc.subject환경교육-
dc.title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the Consciousness fo Environment and Environment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dc.format.pageix, 8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