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혜정-
dc.creator서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5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nursery rhyme to see young children's change after practicing this program. This study is to know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activ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and controlled group in children's reading ability, reading interest, and comprehension skill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between two groups? 2. Is there a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between two groups? 3. Is there a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skills between two groups? Among 18 who are tested, nine are selected in S kindergarten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are selected in J kindergarten as controlled group. Bothe kindergartens are located in seoul and public.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six weeks, and the precedures for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Pre-test to know reading ability, interest about reading, and comprehension skills of young children.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nursery rhyme as experimental method of this study. ·Post-test to know reading ability, interest about reading, and comprehension skills of young children. The activ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nursery rhyme was applied to 9 members of experimental group, and nothing was applied to controlled group.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with activ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nursery rhyme than the controlled group. 2.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with activ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nursery rhyme than the controlled group. 3.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skills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with activ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nursery rhyme than the controlled group.;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를 총체적 언어 교육접근법에 기초한 활동으로 구성하고 이를 유아에게 실시하여 프로그램 실시 후의 유아의 변화를 통해 그 교육적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활동과 통제집단 간에 유아들의 읽기 능력, 읽기흥미, 동화에 대한 내용이해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읽기능력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읽기 흥미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동화에 대한 내용 이해도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인 S유치원과 J유치원의 만 4세 유아 2학급에서 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 총 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6주로서 연구절차는 유아의 읽기능력, 읽기흥미, 동화에 대한 내용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실험처치로서 동시의 통합적 접근, 그리고 유아의 읽기능력, 읽기흥미, 동화에 대한 내용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한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 9명에게는 동시를 통한 통합적 접근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통제집단 9명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읽기능력은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활동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유아들의 읽기흥미는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활동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유아의 동화에 대한 내용 이해도는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활동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총체적언어 접근법 = 5 B. 동시의 종류 및 교육적 가치 = 13 C. 관련연구 = 23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연구도구 = 28 C. 연구절차 = 35 D. 연구가설 = 39 E. 자료 분석 방법 = 3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0 A.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단원중심 교수법을 한 통제집단 간의 차이 = 40 Ⅴ. 논의 및 결론 = 47 A. 논의 = 47 B.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1 부록 = 58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14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동시-
dc.subject언어 접근법-
dc.subject유아-
dc.subject읽기-
dc.title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이 유아의 읽기 흥미와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n children's ability and interest in reading when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mursery rhyme is applied-
dc.format.pagevii, 9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