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지연-
dc.creator남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태아 환경에 대한 미혼자와 기혼자의 지식 및 인식의 정도와 실천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태아 환경에 대한 미혼자와 기혼자의 지식 및 인식, 실천의 정도는 성별, 연령, 학력의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위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태아 환경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의 정도는 미혼자와 기혼자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태아 환경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실천의 정도는 남·여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미·기혼자의 태아 환경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실천의 정도는 각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6년 10월 9일부터 10월 16일에 걸쳐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대전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직장인, 초·중·고등학교 학부모, 그리고 일반 주민들 등 미혼 및 기혼 남·여 39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질문지로서 태아 환경에 대한 지식 정도를 묻는 8문항, 태아 환경에 대한 인식 정도를 묻는 8문항과 임신 중 태아를 위한 실천 정도를 묻는 8문항과 미혼 및 기혼 남·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묻는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질문지는 450부를 배부, 392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으로 자료 처리하였고, X, SD,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아 환경에 대한 지식과 인식 정도에 있어서 모두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태아 환경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실천 정도에 있어서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째, 연령이 낮거나 높을 수록, 학력이 높을 수록 태아 환경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실천은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t the adults recognize an importance of embryo environment by researching the current attitude of them to those and by observing the relations of several major fa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would be provided to preliminary par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points were set up as follows : 1. What difference is there to the viewpoint with acknowledgement and recognization between the unmarried and married? 2. What is the difference of acknowledgement, recognization and practice of embryo environment between the female and male? 3. What is the difference of acknowledgment, recognization and practice of embryo environment between the unmarried and the married with respect to varied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392 persons are who unmarried and married men·women such as college students, workers, parents having elementary·middle·high-school students, and general resident who live in Seoul, Kyongki-Do and Taejeon cities during 9 Oct.∼16 Oct. '96. The questionnaires used for this study had 8 question of embryo environment acknowledgement level, 8 questions of embryo environment recgnization level, 8 questions of embryo environment practice level and 4 questions of unmarried and married men·women's social·demographic background. Four hundred fif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92 questionnaires of them as used as a final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the SPSS/PC, and analyzed ; X, SD, and the t-Test.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bout the embryo environment recognization level and acknowledgement level, unmarried persons is higher than married persons in each cases. Second, about the embryo environment acknowledgment level, the embryo environment recognization level and the embryo environment practice level, women are higher than men in each cases. Third, the result shows that the embryo environment acknowledgement level, recognization level and practice level is higher if the person is younger or older, his academic background is hig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태아 환경의 중요성 = 4 B. 태교 = 7 C. 태아 발달에 미치는 환경 = 14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대상 = 30 B. 연구도구 = 30 C. 연구절차 = 31 D. 분석방법 = 3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4 Ⅴ. 논의 및 결론 = 52 참고문헌 = 61 부록 = 64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7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태아-
dc.subject환경-
dc.subject기혼자-
dc.subject태도-
dc.title태아 환경에 대한 미, 기혼자의 태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ttitude of the unmarried·married to embryo environment-
dc.format.pagevii, 7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