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우울성향, 대인지각 및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우울성향, 대인지각 및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s of Depression Person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hors
조현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우울성향대인지각대인관계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우울의 대인이론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1에서는 우울성향이 높은 사람들과 우울성향이 없는 사람들의 인상형성에 있어서 차이를 조사했고 연구2에서는 우울성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1에서 피험자298명이 간격이 2주일인 두 개의 회기를 가진 실험에 참가했다. 회기I에서는 피험자들은 32개 전공과 56개의 인성특성 형용사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했고, 회기Ⅱ에서는 56개의 형용사들로부터 선택된 4개의 인성특징형용사로 설명된 6명의 지각대상인물의 특징을 읽었다. 회기Ⅱ는 두 개의 지각상황이 있는데 범주상황에 있는 피험자는 각 지각대상인물의 학문 전공을 추측한 후에 그 인물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했다. 이는 지각자가 지각대상인물에 대해서 하나의 전공을 먼저 추측하게 함으로써 범주지각판단을 유도한 것이다. 절차지각상황에 있는 피험자는 처음에 자극인물의 선호정도를 평가한 후에 전공추측을 했다. 이는 지각자가 지각 대상인물에 대한 선호정도를 먼저 평가함으로써 지각대상에 대해서 절차지각판단을 할 수 있도록 역시 유도한 것이다. 전체 298명 중에서 범주상황 비우울 20명, 범주상황 우울 20명, 절차상황 비우울 20명, 절차상황 우울20명을 선택해서 최종적으로 분석했다. 연구2에서는 총 180명의 피험자가 참가했다. 피험자는 자신의 우울성향과 재확인 경향성을 평가했다. 자료처리는 연구1에서는 2(우울수준) X 2(지각상황) X 2(학문전공, 특성예언자) X 6(지각대상인물)로 변량분석을 하였고, 연구2에서는 우울성향과 재확인 경향성의 상관정도를 분석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성향이 높은 피험자와 우울성향이 낮은 피험자들 사이에 대인지각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지각과정에서 우울성향이 낮은 피험자들은 범주상황에서는 범주지각을 주로 하고, 절차상황에서는 절차지각을 하였다. 이에 반해서 우울성향이 높은 피험자들은 범주상황에서 또는 절차상황에서 상황에 관계없이 절차지각을 주로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우울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그들 스스로 생각하는 통제력부족에 기인하여 사회정보를 분석한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우울성향(BDI)과 재확인 경향성(DIRI)의 상관분석에서 우울성향과 재확인 경향성사이에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우울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재확인 경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This study was focused on interpersonal theory of depression. Study 1 explored depressed - nondepressed differences in impression formation on the basis of Pavelchak' ideographic techniqu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press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epressed and nondepressed undergraduate subjects(298) participated in a two session experiment in study 1, with session held exactly 2 weeks apart. In the first session, subjects rated 32 academic majors and 56 trait adjectives for likability. In the second session, subjects were given descriptions of six stimulus persons; each description consisted of four personality traits, taken from 56 traits rated during the first session. Subjected in the category condition were instructed to guess each stimulus person's academic major, then to rate that person for likability. Assigning a major to a stimulus person was presumed to activate a category for that person. Subjects in the piecemeal condition first rated each of the stimulus people for likability and then guessed their academic major. These subjects presumably would not have an activated category for the stimulus persons, thus would be forced to use piecemeal processing to arrive at their evaluation of them. 20 depressed - category, 20 depressed - piecemeal, 20 nondepressed - category, and 20 nondepressed - piecemeal data were selected by BDI from a total 298 subjects. The total of 180 undergradates participated in study 2.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DIRI(Depressive Interpersonal Reassurance Inventory). The data was analyzed by 2(level of depression) × 2(category as. piecemeal condition) × 2(predictor type) × 6(stimulus preson)mixed design Anova in study 1 and correlation between BDI and DIRI in study 2. The results of this a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ession formation between depressed subjects and nondepressed subjects. Depressed subjects were shown to use trait attributes in evaluating a person, even when induced to categorize the individual. Nondepessed subjects reile on category information when available, replicating Pavelchak' study. The results for depressed subjects are interpreted as arising from a motivation to engage in effortful analysis of social information, stemming from feelings of the lack of control over life events. 2.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BDI and DIRI,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 and reassurance seeking style. The result suggests that if one have higher depressive symptom, he/she tend to show higher reassurance seeking sty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