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정신지체아의 단기기억 개선을 위한 조직화전략의 탐색에 관한 일연구

Title
정신지체아의 단기기억 개선을 위한 조직화전략의 탐색에 관한 일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LVING SYSTEMATIZATION STRATEGY FOR IMPROVING "SHORT-TERM MEMORY"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Authors
최민숙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정신지체아단기기억개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turns out that mentally retarded children have the deficit of the short-term memory for they can't accept and organize the informations to input by themselv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the clustering-strategy, which made the children memorize the informations systematically by categorizing similarily, in order to know how to organize effectively the learning materials presented for improving short-term memory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number of categories and items per category of materials presented for teaching, clustering-strategy mad an affect on the result of learning clustering-strategy. The subjects were 70 mentally retarded children, whose mean CA (chronological age) was 8 to 12, mean MA (mental age) was 6 to 8, with mean IQ 55 to 80. Sixty of them was the categorized list group and ten was the uncategorized. The categorized list group was divided into two including thirty trained clustering-strategy and thirty not-trained, and int was also divided into three each, depending upon the number of categories and items per category. The learning effect of clustering-strategy and the effect of category sized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clustering and recall items, the latter of which was categorized in the same sorts and then memoriz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free recall task of the short term memory, the group trained by clustering-strategy took recall items more than the not-trained group significantly. 2.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e recall task of the short-term memory, depending upon the number of categorize and items per category. 3. The groups given clustering-strategy was higher than the not-given groups in the scores of clustering in the free recall task of the short-term memory. 4. I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lustering, depending upon the number of categories and items per category, in the free recall task of the short-term memory. 5. The categorized list group had recall items more than the uncategorized list group in the free recall task of the short-term memory. 6. It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call items and the scores of clustering when a group was trained by clustering-strategy in the free recall task of the short-term memory. In. conclusion, it could be stated that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could be learned by clustering strategy and to learn clustering-strategy was affected by the number of categories and items per category.;일반적으로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신지체아동은 단기기억에 장애를 갖고 있다고 하며, 이러한 단기기억의 장애중 한 원인은 정보를 투입(input)할 때 자발적으로 정보를 조직화해서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동의 단기기억력 향상을 위해서 제시되는 자료를 어떤 형태로 조직화하는 것이 효과적인가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같은 범주(category)끼리 묶어서 조직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군집화전략 (clustering strategy)의 학습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세부적으로 군집화전략을 학습시키는데 사용되는 제시자료의 범주수( categories)와 범주에 해당하는 항목수(items)의 변화가 어떻게 군집화전략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실험대상은 생활연령이 8세~11세, 정신연령이 6세~8세, 지능지수 55~80사이인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동 70명으로 제시되는 자료의 성질에 의해서 범주자료(categorized list)집만 60명과 비범주자료집단(Uncategorized list) 10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범주자료집단은 다시 군집화전략을 학습하는 학습집단 30명과 군집화전략을 학습하지 않는 비학습집단 30명으로 양분했고, 학습집단 비학습집단은 모두 다시 각각 범주수와 항목수가 다른 세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했다. 군집화전략의 학습효과와 범주크기의 효과는 같은 범주끼리 묶어서 기억한 정도를 측정하는 군집화량과 회상항목수를 측정해서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검증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단기기억의 자유회상과제에서 군집화전략을 학습한 집단이 군집화전략을 학습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서 회상항목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2. 단기기억의 자유회상과제에서 범주수와 항목수가 다른 세집단간에는 회상항목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단기기억의 자유회상과제에서 군집화전략을 학습한 집단이 군집화전략을 학습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서 군집화량이 유의하게 많았다. 4. 단기기억의 자유회상과제에서 범주수와 항목수가 다른 새집단간에는 군집화량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단기기억의 자유회상과제에서 범주자료 (categorized list)집단이 비범주자료 (Uncategorized list)집단에 비해서 회상항목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6. 단기기억의 자유회상과제에서 군집화전략을 학습했을 때에 회상항목수와 군집화량간에는 유의하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신지체아동에게 군집화전략을 학습시킬수가 있고, 군집화전략을 학습시키는 데 있어서 범주수와 항목수가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왔음으로, 정신지체아동에게도 적절한 교수전략을 사용하면 그들의 단기기억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정신지체아의 교육에 있어서 교수방법개선에 많은 관심을 갖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