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창의성 개발을 위한 음악지도 연구

Title
창의성 개발을 위한 음악지도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Music Education for Development Creativity : Refering to Lower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Authors
오혜란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창의성개발음악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음악에서의 창의적 활동은 작곡만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연주, 감상등의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통해서 표현되어야 함을 일컫는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일선현장에서는 가창위주의 교육으로 연주, 감상, 창작교육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지도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술중심의 형식적인 교수방법에서 탈피하여 아동 스스로 창의적 경험과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통해 음악적 개념을 터득하고 음악적 통찰력과 감수성, 음악적 창의성을 개발시키는데 필요한 지도안을 제시함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MMCP의 개념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음악적 개념들을 분류하였다. 또한 즉흥연주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강조한 오즈프와 달크로즈, 가창을 통한 창작음악활동을 연구한 코다이, 감각적인 접근방법으로 국민학교 저학년에게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내세운 카라보콘, 건반에서의 창작즉흥연주를 제시한 페이스의 학습방법을 토대로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의 구성은 음악의 요소들을 음색, 다이나믹, 리듬, 멜로디, 화음, 형식으로 분류하여 음악적 이해력에 의한 개념을 파악케 하고 신체적인 동작을 통한 창의적 음악활동과 악기나 가창을 통한 창작즉흥연주, 놀이를 통한 표현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지도방안을 내세웠다. 또한 각 개념들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각 개념들의 기초내용들을 먼저 다루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개념적 접근법에 의한 지도안으로서 어느 단계의 아동들에게나 쉽게 개념을 이해시켜 음악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작곡에만 국한되지 않은 감상과 연주의 창의적 음악활동을 통해 창의성을 개발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안으로 그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In music a creative activity is not limited only to composition, but also expresses himself creatively through his various musical experiences, such as a playing, listening, etc., according to his personality. The fact is that trainings for playing, listening and creativity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combined and directed. This study is aimed at for presenting a guidance proposal necessary for developing musical insight & sensi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with a well understanding of a musical activities after emerging from formal and mechnical training method laying stress on technique. As a method of this study, I have presented an effective guidance proposal mainly for elementary schools and t h e lower classes on t h e basis of Orff and Dalcroze recognizing and emphasizing importance of improvisation play with MMCP's concept- ional learning thory as t h e central figure, Kodaly emphasizing a creative musical activity through singing as a training method, Carabo-cone seeking for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by a sensitive approach, and Pace's learning method of suggesting a creative improvisation play on a keyboard. This theme classifies musical elements by tone color, dynamics, rhythm, melody, harmony and form, as well as proposes a training method by a creative musical activity through bodily movement, a creative improvisation play through musical instrument and singing and a method of expression through play. I have also treated the basic subjects corresponding with each concept for the purpose of helping understood of such concept much easily. This study is, therefore, a guidance proposal by a conceptional approach and will help children at the certain stage not only understand easily the concepts but also have a great interest in music, and will be worthy of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of developing a creative musical activity and a musical creativity through listening and playing not limited only to compos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