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향신-
dc.creator박향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8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881-
dc.description.abstract유아의 큰수세기 교육을 위한 교수 활동으로 Payne 과 Rathmell 은 '물체를 그룹짓고 수를 말하기', '그룹지은 수를 기록하기', '그림으로 나타내기'의 세 가지 활동을 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yne 과 Rathmell 의 큰수세기 교수 활동을 통하여 6세 유아의 수세기 발달 정도와 수보존 개념 형성 정도에 따른 큰수세기 능력의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알아보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수세기 발달 정도에 따라 큰수세기 능력에 차이를 보일 것인가? 2. 유아의 수보존 개념 형성 정도에 따라 큰수세기 능력에 차이를 보일 것인가?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D 유치원의 6세 원아 40명 이었다. 연구방법은 실험자가 유아들과 개별적으로 실험을 진행하면서 수세기 발달정도, 수보존 개념 형성정도, 큰수세기 능력을 본 연구자가 작성한 검사지에 체크해 나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χ^(2)검증으로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수세기 발달정도에 따른 큰수세기 능력에 있어서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a. '기계적·합리적 세기' 단계에 따른 큰수세기 능력에 있어서 합리적 세기의 단계에 있는 유아가 기계적 세기의 단계에 있는 유아보다 큰수세기 활동의 '물체를 그룹짓고 수를 말하기', '그룹지은 수를 기록하기', '그림으로 나타내기'를 전반적으로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 '물체를 한번씩 세기' 단계에 따른 큰수세기 능력에 있어서 물체를 한번씩 세기를 할 수 있는 유아가 할 수 없는 유아보다 큰수세기 활동의 '물체를 그룹짓고 수를 말하기'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나 '그룹지은 수를 기록하기'와 '그림으로 나타내기'에서는 '물체를 한번씩 세기'의 발달 정도가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 '1:1 대응을 사용하여 물체를 연결하기' 단계에 따른 큰수세기 능력에 있어서 '1:1 대응을 사용하여 물체를 연결하기'의 발달이 이루어짐에 따라 큰수세기 활동의 '물체를 그룹짓고 수를 말하기', '그룹지은 수를 기록하기', '그림으로 나타내기'를 전반적으로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의 수보존 개념 형성 정도에 따른 큰수세기 능력에 있어서의 관계는 보존개념이 형성된 유아가 보존 개념이 형성되지 않은 유아보다 큰수세기 활동의 '물체를 그룹짓고 수를 말하기', '그룹지은 수를 기록하기', '그림으로 나타내기'를 전반적으로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ayne and Rathmell mentioned three activities to represent numbers; 'The oral number name', 'The written numberal' and 'Base representation: directly indicating the number of groups' as a teaching method for children's numer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 of ability of numeration over 2 dizit numbers to degree of development of counting and formation of concept of numeral conservation through Payne and Rathmell's teaching method of numeration, To realize the above objective, the ,subjects of study were mad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ounting, is there any distinction in numeration over 2 dizit number? 2.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concept of numeral conservation, is there any distinction in numeration over 2 dizit number? The object of study was 40 six-year-old children is Seoul. The method of study was that the researcher used the checklist about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ounting, formation of concept of numeral conservation and ability of numeration over 2 dizit numbers while the researcher was progressing on activity with children indivisually. And the data was analysized with x^(2)-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 of ability of numeration over 2 dizit numbers to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ounting is as follows; a. In the stage of numeration, 'Rote counting' and 'Rational counting', the children in rational count- ing stage are generally better at the activities of 'the oral number name', 'the written numeral' and 'directly indicating the number of groups' than the ones in rote counting stage, b . In the stage of numeration, 'counting the things one time only', the children who can count things one time only are better at the activities of 'the oral numbernname' than the ones who can't. But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ounting one time only' has no effect on the activities of 'the written numeral' and 'directly indicating the number of groups'. c. In the stage of numeration, 'connecting the things using 1:l homology', the children are generally good at activities of 'the oral number name', 'the written numeral ' and 'directly indicating the number of groups '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nnect- ing the things using 1:l homology'. 2. In relation of ability of numeration over 2 dizit numbers to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numeral conservation, the children who have the concept of numeral conservation are generally better at activities of 'the oral number name', 'the written numeral' and 'directly indicating the number of groups' than the ones who don't ha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수세기 = 5 B. 수의 보존 = 12 C. 큰수 세기 = 17 D. 문제의 진술 = 23 Ⅲ. 연구의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실험 도구 = 25 C. 평가 및 자료처리 = 30 Ⅳ. 결과 및 해석 = 33 Ⅴ. 요약 및 결론 = 41 참고문헌 = 44 부록 = 46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863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큰수세기-
dc.subject능력-
dc.subject수세기수보전-
dc.subject개념-
dc.title유아의 큰수세기 능력과 수세기.수보존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Preschool Children's Numeration : In Relation with a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ounting and Conservation-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