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경희-
dc.creator양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9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3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373-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현대 미술 교육의 보편적 의의는 "모든 인간은 그의 내면에 예술가적 바탕을 가지고 있다."는 확신에서 시작되며 미술 교육은 모든 사람에 의한 모든 사람을 위한 교육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미술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면 시각 장애아들을 위한 미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결여 되어있을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아동들을 위한 미술 교육 발전을 위하여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그림 표현 비교를 통하여 시각장애아동의 그림표현 특징을 규명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89명의 시각장애아동과 109명의 정안아동을 대상으로 인물화와 자유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집단의 아동화를 관점기준의 분석내용에 따라 서로 비교하여 백분율로 통계 처리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물화의 형태에 있어 정안아동은 사실적이며 장식적인 표현을 하는 반면 시각장애아는 사실적인 사람의 모습보다는 자신의 마음속에 담겨있는 주관적인 모습을 많이 그렸으며 선으로 단순하게 표현하는 아동이 많았다. 2. 인물화의 색의 사용수 비교에 있어서 시각장애아는 3가지이하의 색을 사용하는 아동이 많았고, 정안아동은 대부분이 7가지이상의 색을 사용하였다. 주조색 비교에 있어서는 정안아동이 연두색에 가장 높은 순위를 보이는 반면 시각장애아는 살색과 주황색 등에 높은 순위를 나타내었다. 3. 인물화의 구도에 있어서 정안아동과 약시아동은 균형잡힌 구도를 이룬 아동이 많았으나 맹아동은 전체적으로 퍼진 구도가 많았다. 4. 인물화의 배경에 있어서 정안아동은 한가지 색으로 여백을 꽉 메운 아동이 많았으나 시각장애아는 공백처리한 아동이 많았다. 5. 자유화의 유형별 구분에 있어서 정안아동과 약시아동은 표준형에 높은 순위를 보였으나 맹아동은 개인형에 높은 순위를 보였다. 6. 자유화의 색의 사용수 비교에 있어서 정안아동은 대부분 12가지 이상의 색을 사용하였으나 시각장애아동은 7가지이하의 색을 사용한 아동이 많았다. 주조색 비교에 있어서는 세 집단이 모두 파랑색 연두색 하늘색 등에 높은 순위를 보였다. 7. 자유화의 구도에 있어서 1, 2학년 정안아동과 약시아동은 기본적구도에 높은 순위를 보였다. 3,4학년 정안아동과 약시아동, 맹아동은 모두 전체적으로 퍼진 구도에 높은 순위를 보였다. 8. 자유화의 소재 비교에 있어서 정안아동은 주위환경이나 다양한 경험을 살려 여러 종류의 소재를 보이는 반면 시각장애아동은 자신이 만지거나 듣거나 친숙하거나 개념화 될 수 있는 것들만을 주로 그림의 소재로 나타내었다. 9. 전체적 특성 비교에 있어서 시각장애아동은 정안아동과 비교하여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표현에는 미숙하나 회화적 측면에서는 결코 뒤지지않는 표현을 한다. 또한 도식기에 접어든 정안아동의 그림이 일률적인 미술지도에 의하여 고정적이고 개념화된 느낌을 주는 것이 있는 반면 시각장애아의 그림은 정안아동의 그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신선하고 창의적이며 개성이 뚜렷한 그림을 그린다는 느낌을 주었다.;General meaning of modern art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fidence that man has artistic aptitude in his inside. And it also emphasizes that art education must be the one for all the people and by all the people. But, actually in Korea, studies about art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are not still made up vigorously and recognition about that is lacked. Therefore, this paper is suppos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through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normal children. To attain this goal, figure paintings and free paintings were sampled from eighty-nine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one hundred-nine normal children. The outcome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contence of data. The difference, being found in this paper, are following: 1. The 'form' in figure paintings: Normal children group are decorative and realistic, whereas visually impaired group are subjective inward and simple. 2. The number of 'color' in figure paintings: The number of color in visually impaired group is not beyond 3. However, the number in normal group is beyond 7. 3. The 'major color' in figure paintings: Normal group favors light green as major color, but visually impaired group, yellow-red. 4. The 'composition' in figure Paintings: The composition of normal and weak-sighted group is balanced, but the blind group paintings are drawn all over the page. 5. The 'background' in figure paintings: The majority of normal group fill the blank with one color. However, the majority of visually impaired group do not fill the blank. 6. The 'type' in free paintings: Normal and weak-sighted group show high grade in standard type whereas the majority of blind children show their own personal type. 7. The 'color' in free paintings: The number of color in visually impaired group is under 7, on the other hand, in normal group, the number is over 12. For the major color, both groups favor light-green, sky-blue, and blue. 8. The 'composition' in free paintings: As for normal and weak-sighted children, the first and the second year students show high grade in basical composition but, the third and the fourth year students draw the paintings all over the page. The blind children also draw spreading all over the paper. 9. The 'theme' in free paintings: Normal group's thema are various such as their diversing environment and their own experiences. But visually impaired group is limited. Their thema are tactile, auditive. In the above conclusi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can be understood more or less. And I think through this conclusion, some suggestions can be provided in effective method of Art Education goal and curriculum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시각장애아의 정의 = 4 B. 시각장애아동의 지각특성 및 미술활동특성 = 6 C. 정안아동의 발달에 따른 그림특성 = 11 D. 시각장애아와 정안아의 미술교육목표 및 내용 = 14 Ⅲ. 연구의 방법 = 21 A. 표집대상 = 21 B. 측정도구 = 22 C. 조사 절차 = 23 D. 자료 처리방법 = 24 Ⅳ. 결과의 분석 = 25 A. 관점의 기준 = 25 B. 인물화 비교 분석 = 31 C. 자유화 비교 분석 = 42 D. 전체적 특성 = 52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60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15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시각장애아-
dc.subject정안아-
dc.subject그림표현-
dc.subject비교 연구-
dc.title視覺障碍兒와 正眼兒의 그림표현에 관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ontents Analysis on the Drawing Expression of Visuality Impai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dc.format.page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