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Title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n teacher's recognition of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Authors
김현주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아교육기관성교육교사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child sex education programs by examining the state of kindergarten sex educa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 sex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1. What do teachers think of kindergarten sex education? 2. What do teachers think of the content of kindergarten sex education? 3. What do teachers think of the method of kindergarten sex education? 4. What do teachers think of the problem of kindergarten sex education?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with the help of 278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Seoul area. In analyzing data, the collected questionaries were processed into a statistics by the SPSS/PC+ program and discussed in percentage by the frequ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recognized the purpose of kindergartens sex education in the following priority; 1) educating attitudes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males and females and cooperate, 2) understanding of physical and mental growing, 3) educating right attitudes toward sex, 4) forming habi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ased on experiences, education, the mean age of children they are teaching. 2. The frequently asked questions related to sex were the origin of a baby, birth, and the differences of the opposite sex's body and, as for the sex-related behavior, children were often touching their sex organs. The content of current sex education is sanitation lessons and physical protection, the origin of humans and birth, and kidnap and sexual abuse prevention and they believed it was necessary to focus on sexual behaviors education, sex educational terms, and kidnap and sexual abuse preventive education in the future. Teachers experienced sexual behaviors in kindergarte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aling with these behaviors based on experiences. 3. In kindergarten, sex education was given once or twice per semester in flexible manner according to theme. And teachers responded that it is appropriate to start sex education at the age of 3 or 4 and that there were no enough materials on sex education. The methods of current sex education were talks, fairy tales, role-playing, video tapes and slides watching, and animals and plants observation and in the future it was recommended to use video tapes and slides. Sexual terms being used currently were urine, feces, brazier, penis, vagina, uterus, breast, pregnant, anus, kiss, sperm and egg and at fist baby words were used and as time went by exact words were used. 4. As for the problems of sex education, teachers were having troubles because of lack of the materials on sex education, lack of knowledge on the content and methods of sex education, and lack of knowledge on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experiences, education, the mean age of children they are teaching. Compared to teachers with 5 year or less experience, teachers with 6 year or more experience were worried about lack of materials and side-effects. Whereas the graduates of 4-year-college were having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materials, the graduates of 2-year-college were having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their knowledge on sex and mixed age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because they felt shame. As a result,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 was not done systematically and there was a gap between recognition and practice because of lack of knowledge on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child sex education and lack of various experiences.;본 연구는 유아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현황 및 교사 인식을 조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내용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방법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실시상의 문제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내 현직 유아교육기관 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처리하여 빈도수에 따라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경력, 학력, 담당학급연령등의 변인으로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 성교육의 목적에 대해 교사들은 남녀의 역할과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협력하는 태도의 육성, 신체적·정신적 성장에 대한 이해, 성에 대한 건전한 태도육성, 기본생활습관의 형성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경력, 학력, 담당학급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유아 교사들이 유아들로부터 받은 성에 대한 질문으로는 아기의 기원과 출생과정, 신체차이에 관한 것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 내용은 청결교육 및 신체보호, 인간의 기원과 출생과정, 유괴 및 성폭력 방지에 관한 것이었고 앞으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성교육 내용으로는 성적행동 및 문제행동에 대한 교육과 성과 관련된 용어, 유괴 및 성폭력 방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가 경험한 성과 관련된 행동으로는 유아가 자신의 성기를 만지는 행동을 가장 많이 경험했으며 교사들은 성과 관련된 행동을 다루는 태도에 있어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성교육 실시시기에 대해 교사들은 생활주제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실시한다고 응답했으며 성교육 실시횟수에 대해 한 학기당 1-2회 정도 실시하고 있으며, 성교육 시작시기에 대해 성교육은 만 3-4세에 시작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성교육 교수자료 구비현황에 대해서는 성교육 교수자료와 교재가 충분하지 않다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현재 교사들이 성교육시 활용하는 활동으로는 이야기나누기, 동화들려주기, 역할놀이, 비디오 또는 슬라이드 보여주기, 동식물의 성장과정 관찰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면 6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은 동시, 동극, 노래활동을 많이 활용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담당학급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면 만 3세반, 혼합연령반 교사들이 관찰활동을 많이 하는데 비해 5세반 교사들은 비디오 또는 슬라이드 보여주기 활동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앞으로 성교육 활동시 바람직한 활동으로는 비디오 또는 슬라이드를 이용한 활동이라고 응답했다. 현재 성교육시 사용하는 성구조나 기능에 관계된 언어를 살펴보면, '소변', '대변', '브래지어', '고추', '잠지', '아기집', '젓가슴', '애기가졌다', '항문', '엉덩이', '뽀뽀', '아기씨'라는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성교육시 언어사용에 대해서 현재에는 처음에는 유아에게 친숙한 유아어를 사용하다가 점차 정확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교사의 경력, 학력, 담당학급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실시상의 문제점에 대해 교사들은 교재나 자료의 부족, 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지식부족, 성에 대한 지식의 부족 등의 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 학력, 담당학급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면 6년 이상의 경력교사들은 경력 5년 이하의 교사들에 비해 교재나 자료의 부족과 역효과를 우려했고 학력에 따른 차이를 보면 4년제 대학졸업 교사들이 교재나 자료의 부족에 응답한 반면 전문대졸업 교사들은 자신의 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담당학급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면 혼합연령 교사들은 쑥스럽고 거북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기관 성교육은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유아 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등 성교육 전반에 대해 정확한 지식과 다양한 경험이 부족하여 인식과 실제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